-
-
첫째아이 심리백과 - 첫째는 어떻게 세상의 리더로 키워지는가
케빈 리먼 지음, 이재경 옮김 / 살림 / 2012년 5월
평점 :
이번에 심리책을 만났는데 재미난 제목이네요~ 첫째아이 심리라.... 우리집에는 나도 애들 아빠도 그리고 딸아이도 첫째 랍니다. 물론 부부가 둘다 장남 장녀 이다보니 강한 성격이 있기는 해요. 하지만 남편은 위로 1살 많은 누나가 있어서 그래도 장남으로 그 역할을 항상 최선을 다해 하고 있고. 큰딸이자 큰며느리인 저도 그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있답니다. 그러면서 생각해보았어요. 첫째의 역할.... 정말 태어나면서 부터 정해진 그무언가가 있는것 같다는 생각을 했답니다.
이 책은 맏이의 강점과 약점 위주로 기술하여 맏이를 어떻게 양육해야 하는지 조언하고 있답니다.
첫째는 주도적이고 책임감과 강한 성공지향적인 성격으로 사회적 지도자들이 많다고 합니다. 체계적, 논리적, 분석적이라 전문분야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네요.
가정에서 제일 먼저 태어나 일정 시간 동안 부모의 집중적인 관심을 많이 받고 다른 형제들에 비해 부모가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고 하니간요. 처음 태어난 덕에 여러 특혜를 누린답니다.
반면 부모들은 맏이를 기를 때 양육의 경험이 없기에 맏이는 실험적인 아이가 된다는 점도 있어요.
동생이 태어나면 유일한 존재에서 나이가 많은 아이가 되어 특혜를 동생과 나눠야 하고 동생을 돌봐줘야만 하고 집안의 일을 대부분 맏이가 차지하거나 하여 책임감은 강하지만 예스맨이 되기 싶다.
맏이는 부모를 제외하곤 윗사람이 없기에 부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부모의 지나친 기대에 대한 중압감에 시달리거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네요. 책에서의 "맏이"라는 정의는 저자가 말하는 맏이의 성향을 지닌 둘째도 셋째도 모두 해당이 되는 것이다.태어난 순서도 중요하지만그밖의 환경요소도 맏이 성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저자는 이렇게 맏이가 항상 듣는 말등을 잘 구분하여 담아두었습니다. 저자의 글이 100 % 다맞다고는 할 수 없지만 공감되는 부분이 많은건 사실이였어요. 그리고 나역시 나의 첫째엑아이에게 어떠한 말을 하고 있는건지 고민하면서 글을 읽어 보았답니다. 나역시 그런 말을 들으면서 성장하면서 나름 힘들어 했었는데 나또한 그런 말을 내 아이에게 하고 있더라구요.
우리집에는 첫째와 막내가 있는거더라구요, 큰아이는 10살여아, 작은 아이는 7살 남아,,, 항상 균등하게 양육하려고 노력은 하지만 막내는 애교쟁이라서 보다보면 그모습에 제가 녹아져 잇더라구요. 반성해 봅니다. 큰아이에게 책임과 의무감 등을 아이에게 그대로 전달해 주고 싶지는 않으니깐요.
책을 덮으면서 모든 분석이 그러하듯 저자가 말하는 맏이 성향에 내가 100% 부합하지는 않는다고 생각을 해보앗습니다. 그리고 저자는 첫재아이가 리더가 될 수 밖는 것등의 포인트르 콕콕 정리해서 알려주고 있었습니다.
* 자신의 맏이 특성을 적극 활용하는 법
* 전진의 발목을 잡는 완벽주의 극복법
* 실패했을 때 오뚝이처럼 튕겨 일어나는 법
* 일과 인간관계에서 중용을 찾는 법
* 인생에서 진실로 원하는 것을 찾는 법
* 아이의 숙제를 대신 해 주지 않고도 아이를 우등생 만드는 법
* 배우자, 친구, 동료 등 맏이로 태어나지 않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법
아이가 세상의 주인이 되어 꼭 리더가 되어주길 바라지는 않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인생을 즐기면서 사는 현명한 사람이 되어 자신의 인생을 그 누구의 생각에 얽매이지 않고 당당했으면 합니합다. 천천히 한걸음씩 걸어가 보는것도 그다지 늦지 않을꺼란 생각도 해보았어요. 아이도 자신감있는 아이로 부보도 자신감 있는 부모로 성장해 나가길 바란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