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 대가 알아야 할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의 미래 - 인간의 삶, 사회 그리고 컴퓨터 과학 기술을 함께 보다! 처음 만나는 디지털인문학
전승민 지음 / 팜파스 / 201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살아가고 헤쳐 나아갈 시대는 컴퓨터 인공지능 지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참 많이 들어요. 4차 산업혁명의 미래라,,,,
현시점에서는 단순히 농사만 지어서는 절대 잘 살수 있는 길이 없다고 합니다 생산을
해서 가공을 거쳐야 그나마 손해를 보지 않고 물건을 판매 구매할 수 있다고들 전문가들은 이야기 합니다. 그래서 농사를 하시는 분들도
나이드신분들이 아닌 젊은 사람들이 해야 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아직은 농사를 짓는 분들은 아직까지는 나이라 지긋하난 어른분들이 많고 젊은
농사꾼들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생산과 판매가 쉽지 않다고들 이야기 합니다. 산업혁명의 미래는 무엇인지 10대인 딸아이가 관심이 아직은 없지만
아이가 살아가야할 세대적인 변화를 어떻게 생각할까요?
이 책의 저자는 '동아사이언스' 수석
기자인 과학 전문 기자 전승민 기자입니다. 요즘은 과학고나 과학을 전공하는 사람이 많이 줄었다고 들 이야기 합니다. 가장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로봇과 인공지능이 어느 수준에 와 있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지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미래를 바라보고 준비를 해야 할
지에 대해 아이들이 알기 쉽게 설명해 줍니다. 이젠 작은 컴푸터를 모두들 손에 들고들 다니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우리는 은행업무나 물건을
쇼핑하고 영상을 보면서 대화를 하고 있는 현재이니깐요~ 이제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해 판단을 내리고 복잡한 명령을 대신하는 세상이 왔습니다.
그러고 보면 정말 우리가 어릴적에 만화로나 생각했던 일들이 이제는 현실이 되어 우리앞에 있는것입니다.
기가 지니나,,, 다른 빅스비로 불리우는 것은 참으로 우리에게 편리하고
신기한 세상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지니나 빅스비는 컴과 주변 생활 기계들은 연결하며 키고 끄고를 가능케 하고 집안의 모든것을 확인하고 조절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현재 새로은 아파트에 입주하면서 버튼이 아닌 터치 스크린으로 불을 켜고 끄고 가스나 전기까지 일괄소등 잠그기로 한번의
터치로 스마트폰의 어플로 조절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 아이들의 시대는 4차 산업혁명의 미래는 또 무엇을 다르게 변화할까요..... 무인
자동차의 예를 보더라도 말이지요. 로봇이란 영화의 이야기가 단순 공상이 아닌 현실이 되어 가고 있다는것이지요.
이 책의 저자는 이러한 기술이 인간의 일자를 빼앗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직업을 만들어 주고, 꿈을
이루도록 도와 준다고 말합니다. 걱정이되기는 합니다. 무인 판매를 하는 편의점으로 현재 사람이 설 자리가 줄어들고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기계화로
사람이 일할 수 있는 자리가 즐어들고 있으니깐요~ 그리고 미래에는 인공지능, 데이터 처리 분야 개발자, 로봇 전문가, 로봇 제어
시스개발/관리자, 통신 및 보안 전문가, 의료/헬스케어 시스템 전문가, 센서/인터페이스 기술 전문가, 문화 기술 전문가, 에너지/환경 기술
전문가, 과학 기술 해설 전문가 등이 중요해지고 새롭게 각광 받을 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우리아이들의 직업은 우리가 생각하는것 과는 많이
다를것이니깐요~
중학교 3학년인 현진이는 이책을 읽고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하였습니다.
이책을 처음봤을때 이런 분야 쪽은 큰 관심이 없었기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읽게되었다. 이책의 줄거리는 크게 ㄴ누자면 첫번째는 슴트폰의 유래와 스마트폰이 얼마나 대단한지에 대해서 나온다. 그리고 중간쭘에는 요즘 가장
관심이 있었던 코딩에 대해 나온다. 마지막에는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인간같은 기계에 대해 나온다. 이 내용중 가장 기억에 남은 내용은 인간보다
뛰어난 기계가 등장한다면 이라는 부분이었다. 인산이 기계한테 복종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다행인진 모르겠지만 아직 그런
로봇을 만들 수 없다는 글을 보고 안심이 들었다. 이책을 다 읽고 난 후 나는 컴퓨터 과학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그동안 과학은 다 어려운
것인줄만 알았는데 이책을 통해 과학이 마냥 어려운 곤 아이라고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평소에 고학이 어렵다는 생각을 가지 친구에게 추천해
주고싶다고 느끽 되었다.
현진이는 책을 읽으면서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고 이야기 했었답니다. 추리소설류를 요즘
아이가 읽기만 했었거든요. 하지만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부분의 이야기라고 이야기나누며 아이랑 책을 보았어요. 과학이 단순히 어렵다고만 생각하지
않기로 했으니 다행이란 생각도 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