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박지원은『열하일기』를 썼을까? - 박지원 vs 심환지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41
정명섭.장웅진 지음, 이일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지원은 왜 열하일기를 썼을까?

정명섭 장웅진 글/ 이일선 그림

자음과 모음

이 책은

이 책은 어렵고 딱딱한 역사이야기를

법정공판을 통해

아이들에게 역사에 흠뻑 빠져 들게 하였습니다.

우리 역사를 자연스럽게 깨달을면서

동시에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책입니다.

흔히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 말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역사 교과서나 역사책은

역사 속 ‘승자’만을 중심으로 이야기합니다.

역사 속 라이벌들이 한자리에 모여 재판을 벌이는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에서는 교과서 속 역사 이야기가 원고와 피고,

다채로운 증인들의 입을 통해 흥미롭게 펼쳐집니다.

이에 따라 독자들은 편견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시각으로

역사를 파악하며 다양한 각도에서 역사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에 소개되는 사건과 내용은

현재 초?중?고 사회, 역사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주제들로

아이들은 이 책을 통해 역사를 이야기로 이해하며 바라보는 안목을 키울 수 있습니다.

중학교 국사와 고등학교 국사를 비교하여

교과서에서는 실학에 대한 이야기들을 어떻게 다루는지 알려주어요.

이 책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해 설명을 해주어요.

<실학 반대파>

원고 심환지- 조선후기 때 문신으로 정순왕후가 수렴청청할 때 영의정에 올랐던 인물

원고 측 변호인 - 이대로

원고 측 증인 - 채체공, 정순왕후(영조대왕의 부인), 제임스 팔레 (조선사를 연구한 인물)

<실학파>

피고- 박지원

피고 측 변호사 - 김딴지

피고 측 증인 유형원, 박제가, (지구가 자전하고 있다는 설을 주장한 인물), 정약용

프롤로그

<열하일기>라? 흥미롭겠군!

자자 조용히 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굼부터 영혼들을 위한 성리학 세미나를 시작하겟습니다.

갓을 쑨 도포 차림의 영혼이 입을 열자, 의자에 앉은 채 웅성대던 영혼들이 입을 다물었다.

<중략>

저런 심환지라는 양반이 한국사 법정에 소송을 걸었군요.

<중략>

제가조선사 쪽 전공이 아니사러 말이지요, 게다가 재판을 하게 되면

성리학이니 실학이니 어려운 이야기가 나오게 될텐테

저는 그것에 대해 도통 아는 바가 없습니다.

<중략>

이미 애기해 버렷으니 할 수 없군요, 근데 정 정말로 실학에 대해서 모른답니다.

제가 살아 있을 때 쓴책을 드리지요, 그것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그럼 잘 부탁드립니다.

그래 어떻게든 되겠지, 근제 책 제목이 열하일기 네 책을 준다더니 웬 일기장?

열하일기 - 조선 정조 때 청나라를 다녀온 박지원의 기행문집.

종래의 언행문과 달리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열하일기는 독특한 문장력과

당시 사회를 실랄하게 풍자한 내용으로 걸작으로 손꼽힙니다. .

실학의 등장과 발전

- 18세기 후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사회와 우리나라에서 성리학은

정치, 사회, 문화의 근본이 되는 원리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중략>

도시에서는 대상인이 등장하여 산공업을 지배하고 부를 축적한 반면,

영세 상인은 점차 몰락하는 등 여러가지 사회적 모순이 드러나면서

사회 현실을 개혁하고자 실학이 서서히 등장하게 되었지요.

<중략>

이후 실학은 농업 중심의 개혁론, 상곡업 중심의 개혁론을 비롯하여

민생 안정과 부국강병을 목표로 폭 넓게 확대되었으며,

18세기 가장 활발히 발전하였습니다.

원고- 심환지 대리인 - 이대로 변호사

피고 박지원 대리인- 김딴지 변호사

청구내용

아 심환지는 조선의 사대부 영혼들을 대표해서 박지원을 비롯한 실학자들을 고발합니다.

실학자들은 과거제를 폐지하고 토지를 공평하게 나누자는 말도 안 되는 논리를 폈습니다.

ㅡ<중략>-

또한, 박지원을 비롯한 실학자들은

국가에 아무런 공이 없음에도 불구라고 승자들의 마을에서지내는데,

이는 부당하고 생각합니다.

이에 저를 뜻을 같이하는 사대부 출신의 영혼들과 하며

고소장을 제출하는 바입니다.

입증자료

중학고 국사 교과서

고증학고 국사 고과서

열하일기

북학의

이 책은

한국사를 전공하고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현직 교수와 교사로,

교과 과정의 핵심적인 내용을 비판적으로 읽어 내고 있습니다.

기존의 역사 도서나 교과서가 설명으로 전개되는 것과 달리

원고와 피고가 변호사를 통해 소송을 벌이는

‘법정식’ 구성으로 극적 재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이로써아이들은 역사 속 인물들의 치열한 공방을 따라가며

역사를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

역사를 바라보는 눈을 키워 줍니다

초등학생인 우리 아들은 좀 어렵다고 하지만 아이에게 실학이 어떤건지 알겠어.라고 물이니 잘은 모르지만 나라가 어지러워지니까 사람들이 잘못된 것을 바로 고치자 해서 만들어진 것 같다고 하네요.아이가 어느정도 실학에 대해 어렴풋이 아 ~ 이런게 실학이다 라는 걸 알게 되었네요. 또한, 이책은
조선 후기, 실학의 등장 배경과 실학의 내용,

그리고 실학이 백성들에 미친 다양한 변화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여폭넓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학의 가치와 현대적 의의 및 당시 도입되었던 선진 문물에 관한 소개가
사진과 함께 제시되어, 청소년 역사 교육의 이해를 넓히게 도와 줍니다.
본문 외 “열려라 지식 창고” “주제와 연계된 논술 문제 풀이”
“역사 유적지 탐방” 등에 관한 내용도 수록되어 있어, 도서를 읽고 이해한 뒤,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잇습니다. 단순히 역사를 외우는 방식이 아니라 함께 법정에 서며 서로 주장을 펼치는 과정을 통해 아이들이 스스로 판단하고 이해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이 책을 읽고 자신이 생각한 내용들을 토대로 문제를 풀거나 다양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알게 해주는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