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사 - 신화가 아닌 보통 사람의 삶으로 본 그리스 로마 시대
개릿 라이언 지음, 최현영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 로마신화는 언제 읽어도 재미나고 흥미롭다.

이 책은 제목에서 부터 호기심을 자극한다.

거꾸로 읽는 로마사라..

거꾸로 읽는다는 말이 무엇일까?

그리스 로마하면 왕족이나 신이 제일 먼저 생각난다.

허나 이 책은 신화가 아닌 보통사람의 삶으로 본 로마시대 이야기라니 궁금했다.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사

신화가 아나 보통사람의 삶으로 본 그리스 로마 시대

보통사람들은 그리스 로마시대에 어떤 삶을 살았을까?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사》는 36가지 질문에 답을 담고 있다. 질문을 통해 알아보는 그리스 로마인의 생활상이 궁금하고, 이 책이 이야기하는 방식도 흥미롭다.

이 책의 목차를 보면 질문들이 평범하다?

그리스 사람들은 왜 바지를 입지 않았는지. 무슨 음식을 먹었는지. 신화존재를 믿었는지. 헬스장이나 운동선수들의 모습, 노예이야기 등 로마시대에 주된 특징에 대한 질문들이다.

내가 알고 싶고 궁금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 읽는 재미도 솔솔하다..

어떻게 시간을 기록하고 약속을 했을까?

아테네인들은 시간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다. 로마인들은 시간 개념을 사용했지만 무척 특이하게 사용했다. 낮과밤을 12부분으로 나누었는데 각 부분은 계절에 따라 늘었다 줄었다 했다.

시계가 있는 곳도 있었지만, 신뢰성이 떨어졌다. 초기 해시계는 막대기 혹은 기둥이 세워져 움직이는 그림자를 보고 시간을 대략적으로 알아냈다.

밤이나 흐린 날에는 클랩시드라(물시계)가 활용할 수 있는유일한 시계였다.

월은 거의 30일이고. 1년은 365일로 구성

유대인의 1주 개념은 우연히 7일로 같았는데 점점 행성에 의한 요일 구분에 동화되어 유대인의 안식일은 토요일이 되었다. 후기 로마제국 주민들은 우리와 같은 연도. 월. 주 개념을 사용했다.

그리스로마인들도 처음에는 시간을 알아가는데 시간이 걸렸군요.. 유대인들에 의해 1주일이 7일이 되고, 처음 안식일은 토요일이었는데 지금은 일요일이라니.

몰랐던 내용을 알아가는 재미가 솔솔하네요.

그리스. 로마인들도 신화를 믿었을까?

그리스와 로마의 종교적 활동은 토착적이고 전통적이며 세속적이었다. 사람들에게 신앙을 장려하기는 했지만. 신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보다는 신들을 위해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가 훨씬 더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그리스. 로마이들은 자신들의 신화를 믿었을까? 짐작하다시피 명확한 답은 없다.

당시 문맹자였던 대다수의 생각은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상류층 구성원들은 대중이 신화를 문자적으로 받아들인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스로마신화를 보면서 그리스로마인들이 신들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궁금했는데. 신들보다는 신들을 위해 무얼하는 것에 집중했던 것 같아요.

신을 숭배하는 모습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같네요.

그리스로마인들이 문맹이 많았다는 사실은 첨 알았네요

다양하고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그리스 로마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어서 그리스인들이 더 친근하게 느껴졌어요.

마지막에는 그리스로마시대의 단기 속성 강좌로 세계사 시간에 들었던 알렉산드라, 포에니전쟁. 헬레미즘시대처럼 아는 내용이 나오니 너무 재미나고 흥미롭더라구요. 학교 다닐 때는 세계사가 너무 어렵고 힘들던데 지금 다시 세계사를 보니 재미나기도 하며,

전반적으로 세계사를 아우러서 큰 흐름으로 보면서 공부할 수 있어서 유익했어요.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사 》는 로마사에 대해 궁금하거나 우리가 알던 로마시대의 모습이 아닌 실생활과 보통사람들이 로마시대를 어떻게 살았는지 아는 재미가 솔솔한 책이랍니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