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백 년째 열다섯 텍스트T 1
김혜정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백년째 열다섯

제목부터 눈길을 끈다!!

오백년째 열다섯이라니!

오백년 째 열 다섯

돌이켜 보면 같은 삶은 없었다.

새로운 인연을 만나면 새로운 삶이 시작되었다.

우리 신화와 옛 이야기에서 탄생한 매력적인 K판타지

최초의 야호에게 구슬을 받아 오백 년 동안 열다섯 살로 살아온 비밀스러운 운명과 눈부신 성장이 펼쳐진다!





수상한 세쌍둥이

봄, 여름, 가을은 야호족이다.

사실 이 세 쌍둥이는 할머니, 엄마. 딸이다.

할머니, 엄마는 변술을 사용해 열다섯이고 딸은 오백년째 열다섯 모습 그대로이다.

곰인 웅녀가 환웅을 만나 단군을 낳고 인간과 동물 사이에 중간자가 되어 달라고 했고 령이 그 제안을 받아들였다. 령과 여우족에게도 도움은 청하고 신단 위에서 월식이 시작되는 순간 구슬이 내려왔고 그 구슬을 령이 삼켰다. 환웅이 주문을 외우자 령의 입에서 구슬이 나왔고. 여우들은 그 구슬을 삼켰다.

그 구슬을 삼킨 여우들은 사람이 되었고, 사람이 된 여우들이 야호족이다.

야호족과 호랑이족이 서로 사이좋게 지내기로 했지만..

여우족은 호시탐탐 령의 구슬을 탐냈다..

구미호 이야기를 많이 듣기도 하고 드라마에서도 환생. 불멸의 이야기들을 자주 접했는데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는 내내 소설 속으로 흠뻑 빠져들었으며, 누구나 알고 있는 단군 이야기에서 시작하여 여우. 호랑이 족이 서로 싸우며. 얽히고 설키는 이야기가 흥미진진했었다.

령과 가을 관계

가을이가 서후였을 때 덫에 걸린 흰 여우를 구해주고 집에 데려가 치료해주었는데 그 여우가 령이었다.

야호족의 시작인 최초의 구슬을 받고 오백년째 살아가는 가을이. 자신을 구해준 가을이네 세 모녀를 종야호로 만들어주었다.

가을이와 신우

사람에게 마음을 주지 않은 가을이었지만 신우에게 마음이 간다. 신우는 가을이의 존재를 알면서도 있는 그대로 편견없이 받아주는 아이였다. 가을이가 신우를 좋아하는 마음을 이요해 호랑이족이 신우로 둔갑해 가을이를 위험에 빠트리기도 한다.

가을이의 선택

가을은 야호에게 환영받는 존재가 아니다.

야호로 사는 건 쉽지 않고, 열다섯으로 살아가야 하기에 누구에도 마음을 줄 수 없다.

령이 주고 호랑이족과 싸움을 하게 된 가을이..

가을인 어떻게 되었을까요?

구슬 전쟁

구슬을 다으리는 법을 훈련하고 배우면서 가을이는 야호들을 진심으로 이해하게 되었고, 가을이는 구슬전쟁에서 구슬을 다스렸다. 가을은 야호뿐만 아니라 호랑이피가 흘러 야호족과 호랑이 족을 다스릴 수 있었다.

열다섯이란 나이는 완전하지 않다.

고민과 번뇌도 많고, 한참 나 자신에 대해 고민은 하는 나이다.

작가는 왜 열다섯이라는 설정을 했을까?

우리 인생에서 열다섯이란?

열다섯 아들에게 물어보았다..

평생 열 다섯 살로 산다면?

싫어..

난 어리지 않는데 어른들은 어리다고 생각하며 자신을 무시한다고. 인정받고 싶다고.

열다섯 나이는 내 인생에서 나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나를 탐구하는 시간이 아닐까 생각한다. 아이도 아니고 청소년도 아니기에 인정받고 싶은 나이인듯 하다.

그래서 어른에게도 반항아닌 반항도 하는 시기.!

《오백년째 열다섯 》은 한국 신화를 바탕으로 한 판타지 소설이다. 열다섯 살이긴 하지만 비밀스러운 운명을 받아들이면서 눈부신 성장을 하는 가을이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에 대해, 삶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도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