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법, 나를 닮은 첫 음악
권민경 외 지음 / 테오리아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나간 일에 대해 되돌아보는 건 지난 소절을 되감기 하는 것과 같다. 나의 '첫 음악'에 대해 생각하는 일 또한 그럴 것이다. -권민경

소설가, 시인, 뮤지션, 디자이너 등 10명의 작가들이 인생에서 있어 어떤 첫 음악과, 그 시절을 이야기한다. <제법, 나를 닮은 첫 음악>이라는 제목처럼 글을 읽다보면 음악과 닮은 그들의 어떤 부분을 가만히 떠올려보게 된다.
글을 읽고, 글 뒤의 작가 소개를 확인한다. 그리고 처음으로 돌아가 글을 다시 읽는다. 두번째 읽기에서 나는 아주 조금 더 아는 척을 할 수가 있다.
듣는 것보다 눈으로 보는 것에 열광하며 밴드의 로고와 앨범 표지로 음반을 선택하던 작가 이기준의 직업이 '그래픽 디자이너'에다 새 앨범을 디자인하고 있다는 이야기에 감탄하기도 하고.
'연극이 끝난 후' 연극 동아리의 실감나는 뒤풀이 과정을 묘사한 이희인 작가의 글은  '여행자의 독서'에서 언급했던 연극 경험이 떠오르기도 했다.그리고 주말 밤마다 가슴을 설레게 했던, 지금 다시 들어도 가슴이 울컥한,  영화 프로그램의 그 음악의 이름을 처음 알았다.(충격!)
글을 읽으며 나 역시 어떤 순간들과 음악들이 스쳐지나갔다. 밤이 무서웠던 나의 10대 시절을 함께 했던 라디오, 듣는 순간 함께 있던 그 사람과 장소와 공기까지 떠오르는 음악, 영화에서 유일하게 기억나는 그 장면에 흘러나오던 노래, 처음으로 이름을 기억한 피아노 연주곡, 나를 울게 했던 그 가수 등. 잘게 쪼개진 나의 순간과 잊혀진 시절과 변해버린 모습들의 처음에 음악들이 있었다.

"이 곡 속에서 나는 조금도 이방인이 아니었다. -김겨울"

"그런데도 나는 왜인지 항상 혼자 남아 옛 거장의 진면목을 곱씹으며 오래오래 감탄하는 쪽이었다.-김목인"

"기억의 가장자리는 부서지고 가장 나빴던 시간과 좋았던 시간만이 체로 걸러진 듯 선명하게 남아 있다.-나푸름"

"나는 음악을 '갖고 '싶었다. CD를 사서 집으로 돌아와 구석에 쌓아두면 그 날은 새벽 출근도 버겁지 않았다.-민병훈"

"나를 아무도 모르는 도시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하듯이, 낯선 곳을 쫓아다녔다.내가 쓴 시를 누군가 읽어줬으면 하는 단순하고 순수한 마음에 동해, 전국 각지를 돌아다녔다.-서윤후"

"이런 작은 순간들을 위해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살아가고 싶게 만드는 작은 순간들이 있다는 게 행복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송지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