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안간힘을 쓰는데도, 진짜 사람들은 내가 변화하기를, 그들과 같아지기를 바란다."

"가끔 나는 정상인들이 얼마나 정상적인지 궁금하다."

기술의 발전으로 자폐로 태어나는 사람이 사라진  근미래, 마지막 자폐인 세대인 '루'는 회사에서 자폐에서 정상인이 될 수 있다는 치료법을 제안받는다.(제안이라 쓰고 협박이라 읽는다.-_-)
이 책은 루의 시선을 통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진다. '정상성'이란 무엇인가?
''루'는 늘 궁금해한다. 자신의 감정과 욕망은 정상적인지. 그리고 그가 바라보는 정상인의 삶은 왜 이리도 자신의 상식을 벗어난 것인지. 그렇다면 자신의 상식이 '비정상'이기 때문인지.
자폐 아이를 1년간 돌보며 그런 고민을 했었다.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는 아이의 고요한 눈을 들여다보며, 그저 다를 뿐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는 그 아이를 향한 급우들의 우월감 어린 시선과 비웃음을 바라보며. 나는 교실에 있는 아이들 중 누가 '더 나은 사람'일까 늘 궁금했다.

"달라서 힘들 때도 있지만, 잘못은 아니야."
한 사람의 인생에는 평생을 쌓아올린 시간과 세계가 있다. 우리는 서로를 이해해야 한다고 하지만 그것이 '정상'의 범위를 벗어나면 그것은 이해되어야 할 세계가 아니라 당연히 바꿔야 할 세계가 되어버린다. 그 어떤 이해도 없이 그들은 가엾고, 가엾지만 후순위로 밀려나도 마땅한 존재가 된다.

과연 정상성이란 무엇일까. 자신의 일을 하고 정해진 루틴대로 삶고 나름대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누군가를 좋아하고 무엇보다도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아도,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비정상'으로 규정하는 것이 옳은 것일까?

그의 시선을 통해 바라보는 세상.루에게 무례한 사람들의 태도는 단지 자폐가 아닌 타인의 존재에 대한 무시다. 자신의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들을 단편적인 잣대로 판단하고 격리하거나 갱생시켜야 할 대상으로 보는 혐오의 시선. 우리가 정상화시켜야 할 것은 과연 어느 쪽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