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시 - 내 것이 아닌 아이
애슐리 오드레인 지음, 박현주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시>는 아이를 낳은 가정에서 마땅히 일어날 수 있는 흔한 일들을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최악의' 스릴러로 탄생시켰다. 아이가 태어난 후 부부 사이에 찾아오는 변화와 어린 아이를 키우는 동안의 무기력함, 나와는 다른 인간을 키워내야 한다는 두려움, 엄마라면 마땅히 이래야 한다는 모성에 대한 압박을 예민하게 감지하고, 절묘하게 심리 스릴러로 풀어냈다.일단 읽기 시작하면 손을 놓기가 어려운 책이다. 읽는 내내 슬프고 안타깝고 무서웠다.

화자인 블라이스의 독백과 함께 교차되는 외할머니 '에타'와 엄마 '세실리아'의 이야기는 끊임없이 결여된 모성에 대한 암시가 반복되며 , 도무지 속을 알 수 없는 딸 바이올렛이 커가면서 더더욱 긴장감의 끈을 놓을 수가 없게 한다. 대물림되는 '모성의 부족'이 학대를 대물림하고 그것이 결국 작은 괴물을 만들어내는 결과를 낳는 운명의 굴레처럼 비추기까지 한다. 하지만 그녀들이 좋은 아내, 좋은 엄마가 되는데 실패한 것은 자기 자신 때문일까, 아이 때문일까? 정말 그 두 가지 중 하나만 원인일까? 애초에 그녀들은 좋은 아내, 좋은 엄마라는삶을 원하기는 했을까? 왜 그들의 이야기에서 '모성'만 남았을까?

아이가 태어난 이후의 가정은 아이가 없던 때의 가정과는 전혀 다르다. 겪어보기 전엔 알 수 없는 일이다.
하물며 에타는 사랑하는 사람의 참혹한 죽음을 겪은 이후 아이를 낳았고, 세실리아는 원치 않는 임신으로 꿈꾸던 삶을 포기해야 했다. 화자인 블라이스는 계획된 임신을 했지만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몰랐다. 아이는 기대와는 다른 전혀 별개의 존재라는 것, 아이를 낳은 후의 생활은 상상 밖의 그것이라는 것.

아이를 낳은 후 한동안 피폐했던 감각을 잊을 수 없다. 아이가 눈을 뜨면 아이가 잠 드는 순간만을 기다렸고 해가 뜨면 밤이 오기만을, 어서 이 하루가 지나가기만을 고대했다. 아이를 안는 게 능숙하지 않다는 말을 듣고 대성통곡을 하기도했다. 엄마가 아니기를 바라면서 반면으로 또 능숙한 엄마이기를 또 바랬다. 그리고 간절하게 혼자인 순간을 원했다.선뜻 입 밖으로 꺼내기 힘든 고통과 고민 속에서 ‘왜 나는 아이가 사랑스럽지 않은가?’고민하던 시간이 분명히 있었다. 그것은 내 탓도 아이의 탓도 아니었다.
책 속의 남자들은 '엄마로부터' 딸을 보호하는 다정한 아빠면서 하나같이 아내에게 '엄마'의 역할을 강요한다.
그들은 양육에서 한 걸음 떨어져 그들이 보고 싶은 모습만 보고 사랑하고 싶은 만큼 사랑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그들의 역할은 단지 거기에서 끝난다.그들의 생활은 크게 변하는 게 없고 어떤 상황에서도 엄마는 엄마의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

블라이스는 힘든 육아를 하며 딸인 바이올렛과의 관계가 자신의 기대와 같지 않자 절망한다.
그것이 바이올렛이 선천적으로 그렇게 태어난 탓인지, 블라이스의 육아 태도에서 비롯된 때문인지 독자들은 명확하게 알기 어렵다. 블라이스 역시 아들을 잃은 후에도 확신하지 못한다. 끊임없이 딸을 의심하고 또한 자신을 의심한다. 하지만 블라이스는 바이올렛을 미워하면서도 희망의 끈을 내내 놓지 못한다.

그들은 자신의 엄마처럼 되고 싶지 않았지만 엄마를 이해하게 되었고,한 편으로는 딸이 자기처럼 되지 않기를 바랬다.
블라이스는 엄마이면서 상처받은 딸의 마음을 간직하고 있기에 갈등하고 혼란스러워한다.
바이올렛은 상처받은 아이일까, 아니면 타고나길 냉혹하게 태어난 괴물일까?
우리는 그 답을 알 수가 없다.
첫 아이를 키울 때의 무지함, 혹은 자신의 상상과 달랐던 아이의 존재를 깨달았을 때 느끼는 공포감을 잘 그려낸 소설이다.

아이는 이미 태어나는 순간 당연히 내 것이 아니고, 나와는 별개의 존재로 살아가지만...
나 때문에 이 아이가 잘못되지는 않을까 평생 걱정과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가 없는 엄마의 삶과 그 무게가 현실적으로 와닿는 책이었다.
그러면서도 한 편으로는 ...이런 상상을 나만 한 것이 아니었구나 하는 안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