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티처 김경일의 생각 실험실 BIG TEACHER
김경일.마케마케 지음, 고고핑크 그림 / 돌핀북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 분야에서 TV, 유투브, 강연으로 요즘 가장 대중적인 소통을 열심히 하고 있는 학자가 김경일 교수일 것 같다. '마음의 지혜', '김경일의 지혜로운 인간생활', '타인의 마음', '적정한 삶', '인지심리학은 처음이지?', '심리 읽어드립니다', '십 대를 위한 공부 사전' 등 많은 저서를 쓰기도 했다. 이번의 책은 '채사장의 지대넓얕' 시리즈를 저술한 마케마케 또한 쉬운 언어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작가이다. 이 두 사람이 같이 초등학생을 위한 심리학 입문서를 출간한 것이다.



   인간의 사고 특성을 생활과 관련시켜서 설명한 '생각에 대한 생각', 의사결정의 여러 요소를 다룬 '판단관 결정은 어려워',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접근 동기와 회피 동기를 다룬 '동기를 이용해봐' 그리고 기억 저장과 활용을 다룬 '우리 모두는 창의적이야' 까지 4개의 큰 꼭지로 이루어져 있다. 생활 속에서 경험이 가능한 짧은 동화를 시작으로 개념을 접근하고, 심리학 개념 정리를 김경일 교수님 캐릭터가 나와 다시 정리해 주고, 마지막 만화로 다시 한번 정리하는 책의 구성이다.




   대학교 1학년 때 들었던 심리학 개론 수업에서 배웠던 동기관련 수업이 이렇게 쉽게 이해되다니 신기했다. 접근 동기와 회피 동기는 기억에 없는데 이번 기회에 새로운 지식도 배우게 되었다. 어른도 읽고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다. 그리고 이 둘의 환상적인 적용방법은 다름아닌 일기라는 것도. 초등학교 중학년 이상이면 누구나 심리학이라는 분야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가교를 놓는 책이다.


*네이버 미자모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한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빅티처김경일, #마케마케, #고고핑크, #생각실험실, #돌핀북스, #심리학입문, #심리학기초, #어린이박학다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만두 열림원어린이 동시집 시리즈
김유석 지음 / 열림원어린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열림원 어린이 동시집 시리즈 중의 하나이다. 작가 김유석은 1989년 전북일보 신문춘예 시 당선을 시작으로 2013년 조선일보 신문문예에 동시게 당선되며 동시도 쓰고 있다고 한다. <상처에 대해서>외 두 권의 시집을 냈고, 현재 농사를 지으며 지낸다고 한다. 동시집에 염소, 제비, 청개구리, 뱀 등 동물을 다룬 동시가 많이 나오는 것이 작가가 머물고 있는 환경과 관련 있는 것 같다.

책표지에 그려진 동그란 산뜻한 분홍색은 책 처음부터 끝까지 크고 작게 계속 나온다. 보통은 동시와 그와 관련된 그림이 삽화 형식으로 그려지는게 보통인데 분홍색 원이 여기저기 또는 시 전체 배경을 분홍색으로 구성한 것이 점이 특이하다.

시의 특성을 살펴보며 시를 배우기에 좋은 시집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추천하고 싶다. 물론 동시는 꼭 아이들만 읽는 것은 아니다. 아이의 관점에서 쉬운 단어로 이루어진 시라서 표현력을 배우기에도 좋다.

 



왕만두

뭔가를 꾹 참고 있는

엄마 얼굴

퉁퉁 불다가

기어이 속이 터진다

뜨거운 엄마를

호호 불 틈이 없다

뜨겁거나 말거나

그럴 땐

고개 푹 숙이고

우물우물 삼켜야 한다

14쪽


알쏭달쏭 우리말

보슬비는

흙먼지 위에 포슬포슬 내리는 물가루 비

여우비는

호랑이 장가가는 날 살짝 뿌리는 심술비

작달비는

망아지처럼 달려와서 엄마 텃밭 망치는 망굽 비

가랑비는

할머니 귓속에 낮잠 불어 넣는 간지럼 비

단비는

나 혼자서만 맞고 싶은 그 여자애 이름

46쪽

주변에 관찰할 수 있는 사물이나 동물의 관점에서 보는 세상이 어떨지 동물을 의인화해 볼 수도 있다. 시를 처음 써 본다면 예시로 보여주기 좋을 듯 싶다.

거미

넌 왜

공중에 거꾸로 매달려 있니?

난 지금

지구의 무게를 재는 중이야

거꾸로 보면

눈금이 더 잘 보이거든

저 뾰족한 빌딩들을 헐어내면

지구가 덜 무거울 텐데

내 작은 몸 하나만 공중에 띄워도

지구가 조금 가벼워질 텐데

너도 한번 물구나무서 봐!

80쪽

이슬비 내리는 마당에 말랑말랑 기차가 갑니다

석탄도 기름도 때지 않는 기차가

촉촉한 흙 위에 레일을 깔며 소리 없이 갑니다

아주 느릿느릿 기어가는 저 기차를 타면

시간표가 필요 없는 마을에 닿을 것만 같습니다

(중략)

연락도 안 했는데 어떻게 알았을까?

하나 둘 개미들이 모여듭니다

요리조리 기차를 갈피더니

안 되겠군, 집에 데려가 고쳐야겠어!

힘쎈 일꾼개미들이

덜커덩덜커덩

레일도 없는 길을 끌고 갑니다

124~125쪽

시를 먼저 듣고 또는 읽고 시의 제목을 유추하는 방법으로 아이들에게 상상하는 자유로움을 주기에도 좋겠다. 이 시의 제목은 '지렁이 기차'다.

*네이버 미자모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한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왕만두, #김유석, #동시집, #열림원어린이, #동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학생의 세계 - 가끔은 발칙한,
이금주 지음 / 프리즘(스노우폭스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춘기를 앞둔 부모에게 아이의 사춘기 세계를 입문하기 전에 마음을 가다듬기 좋은 책이다. 요즘은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사춘기 조짐이 보이는 아이도 여럿이라 초등학교 고학년 학부모의 조기교육 부모교육 책이기도 한 것 같다.

저자는 중학교 2학년 아들을 둔 학부모이자 20년 동안 중학생을 가리치는 교사이다. 사춘기 감별사라고 자부한다고 하는데 시종일관 묵언수행하는 아이를 둔 답답한 부모의 마음을 알기에 중학생과 함께 생활하고 관찰했던 이야기를 글로 썼다고 한다.

이 책은 부모로서의 마음과 교사로서의 감정을 진솔하게 서술하고 있다. 총 4개의 챕터로 나뉘어져 있고, 한 꼭지의 글이 길지 않아서 긴 흐름으로 읽지 않아도 된다.



  • 어느 초등학교를 나왔는지에 영향을 받는 시기는 길게 봐야 3월 한 달뿐이다. (24쪽, 사립초 출신 교우관계를 고민하는 학부모에게)

  • 여러분은 지금도 충분히 예뻐요. 여기서 더 예뻐지면 곤란할 정도로 예뻐요. 아름다운 외모도 중요하지만 공부도 해야죠. 뇌섹녀도 매력 있잖아요. (35쪽, 수업시간 거울과 꼬리빗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아이에게)

  • 나는 가정통신문을 배부하거나 부모님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할 때, 부모님이라는 말 대신 보호자라는 말을 사용한다. (41쪽, 다양한 가족의 형태의 아이를 대할 때)

  • 진정한 인싸들은 우선 해보고 안 되면 그때 어렵다는 의사를 표현한다. 무조건 안 된다, 못한다 등 거절의 메세지를 남발하지 않는다. (74쪽)

  • 남학생들은 우중 운동경기를 즐긴다. (78쪽, 남학생의 추억만들기)

  • 피곤한가 봐. 근데 계속 이렇게 수업 듣지 않고 잠자면 네가 시험 볼 때 어려움을 겪을 것 같아. 네가 힘들까 봐 선생님이 걱정된다. 그래서 깨운 거야. 그래도 힘들면 말해주렴. (91~92쪽, 수업시간에 자는 학생에게)

  • 적정 거리두기는 중학생과 잘 지내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98쪽) 나만의 원칙은 묻고 싶은 질문이 다섯 개라면 한 개만 묻는 것이다. (101쪽)

  • 너의 이런 잘못을 보니, 내가 너무 속상하고 너의 앞날이 걱정돼서 내가 잠을 못 이루겠고. (106쪽, 학교를 오기 싫은 아이에게 인정에 호소하며)

  • 공부 잘하는 척, 돈 많은 척, 힘센 척. 이 세가지 잘난 척만 하지 않아도 아이들과 동화되는 데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다. (138쪽, 중학생이 생각하는 모범생의 기준)

  • 혈기 왕성한 아이들은 오늘 따지고 내일 따지고 모레 또 따져도 기력이 남아돈다.(145쪽, 늘 억울한 중학생)

  • 3월은 새 학기라 버틴다. 4월은 이제 적응돼서 학교생활에 재미 좀 붙였으니 그냥 한번 버텨본다. 5월은 여러 가지 행사로 며칠 학교를 빠지니 그 낙으로 버틴다. 6월은 버텨낼 명분이 전혀 없다. 버텨야 하는데 날씨는 불쾌하고 하라는 것은 많으니 짜증만 난다. 그리고 극혐하는 시험도 다가온다. 6월에는 중학생을 조심하세요. 이들이 가장 날카로워지는 시기거든요. (180쪽)

  • 세상이 달라진 것인지 내가 유교걸에 꼰대인건지 아리송하지만, 현금이 오가는 암묵적 거래와 받은 만큼 준다는 아이들의 사고방식이 내 상식에선 이해하기 힘들다. (183쪽, 생일선물을 현금과 문화상품권으로 주고 받는 아이들)

  • 퇴근했는데 입에 인스턴트 간식을 급하게 집어넣고 가방을 바꿔 메고 곧장 다른 직장으로 한 번 더 출근하는 내 모습을 상상해 본다. 그러면 아이를 볶고 싶은 마음이 조금 진정된다. (211쪽)

  • 오늘 날씨처럼 네 모습이 참 밝네. 보기 좋다. 오늘 날씨처럼 네 모습이 참 참하다. 예뻐. 중학생은 구체적인 행동을 언급하며 논리적인 말투로 칭찬하는 걸 매우 싫어해요. 되도록 간결하고 짧은 칭찬이 좋아요. (219쪽)

  • 인생은 원래 그런 거야. 앞으로 살면서 힘든 일이 얼마나 많은데 이런 걸로 슬퍼해. (225쪽, 슬퍼하는 중학생에게 절대 하면 안 되는 말)

  • 3위: 오늘 학원 쉬어.

2위: 괜찮아.

1위: 네가 최고야. 잘했어.(227쪽, 중학교 1학년 가장 듣고 싶은 말)


저자가 기록해 놓은 여러 가지 일화들을 보면서 얼마나 아이들에게 열정을 가지고 있는지 새삼 느껴졌다. 그리고 그들과 멀어지게 될까봐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고 오히려 거리두기를 하는 모습이 사춘기 학부모와 같지 않을까 싶다. 중학생도 몸만 큰 아이인지라 마음도 아프고 그 아픔을 헤아려주지 못하는 환경에서 자라서인지 여러 가지 이유로 요즘 '분장'이 있다고 한다. 처음에는 분장이 화장인가 싶어서 다시 보니, 분노조절장애를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누구보다 성장통을 앓고 있는데 옆에서 해 줄 수 있는 게 없어서 모두 힘든 상황일 것 같다. 어른으로서 해 줄 수 있는 것이라면 그저 따뜻한 눈길이 아닐까 싶다.

마음의 성장통을 앓고 있는 아이들에게 가장 좋은 약은 따뜻한 관심이다. 주변 어른들과 친구들의 관심은 몸과 마음이 아픈 중학생을 치유할 수 있는 최고의 처방전이다.

165쪽

*미자모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한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가끔은발칙한중학생의세계, #중학생활, #박금주, #프리즘, #부모교육, #사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타고라스의 정리 - 공 하나로 시작하는 신나는 과학 탐험 키즈 유니버시티 21
크리스 페리.마이크 지니티 지음, 정회성 옮김 / 책세상어린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에 배운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중학교로 기억된다. 지금 교육과정에서도 중학교 2학년에 배우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 책의 구성으로 봐서는 초등학교 중에서도 저학년을 목표로 쓴 책 같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내용을 초등학생에게 설명을 하려고 하는 것보다 색종이 놀이하는 느낌으로 다가가는 것 같다. 반신반의하며 아이와 읽었는데 초등학교 1학년 아이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듯하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증명을 두 가지 방법으로 보여주는데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 또는 중학교 아이에게도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배우기 전에 봐도 좋을 듯 싶다.

지은이 크리스 페리는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고, 지금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공과대학교 양자 소프트웨어 및 정보 센터 교수로 있다고 한다. 공동 저자 마이크 지니티는 미국에서 활동하는 어린이 그림책 작가로 수학과 관련된 책을 쓰고 있다고 한다.


한 가지 궁금증은 어떤 도형 아래에는 그림자가 있고, 어떤 도형 아래에는 그림자가 없어서 무슨 차이인지 잘 모르겠다. 원을 설명하면서 공을 보여주는데 공은 입체도형이고, 다음에 나오는 정사각형은 평면도형인데 둘 다 그림자가 있다. 그리고 왜 '원'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공'이라고 표기했는지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아무리 궁리를 해도 답을 찾을 수가 없다. 오히려 아이들에게 입체도형과 평면도형을 혼돈을 줄 수도 있을 것 같다.

*미자모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하게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피타고라스의정리, #크리스페리, #마이크지니티, #정회성, #책세상어린이, #초등수학, #유아수학, #키즈유니버시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전명 말모이, 한글을 지킨 사람들
김일옥 지음, 김옥재 그림 / 스푼북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종 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이 지금의 한글과 같다고 막연하게 생각했는데 생각해보니 띄어쓰기나 표기법이 현재 사용하는 한글과는 차이가 있다. 띄어쓰기가 되어 있지 않은 한글은 읽기에 그리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다. 할버트 선교사를 시작으로 독립신문 창간호에 이르기까지 띄어쓰기가 시작되고 사전 편찬회가 결성된지 거의 30년 만에 '조선말 큰 사전'이 완성되었다. 이 과정을 이 책에서는 영화를 보듯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저자 김일옥은 지금 우리가 쓰는 말과 글이 조선어 학회 학자들에 의해 다시 태어난 거라 다름없다라고 했는데 너무 과대평가한 것이 아닌가 싶었는데 책을 다 덮고 이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게 되었다. 역사 책에서 다뤄지는 조선어 학회의 업적을 자세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다.

   초등학교 중학년 이상이라면 쉽게 읽어 나갈 수 있고,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 추천한다. 언어학자들이 한글을 지키기 위해서 한 노력에 감사하는 마음이 절로 생긴다.

말글 운동은 문화적 민족 운동임과 동시에 가장 깊이 생각해 먼 미래를 내다보는 민족 독립운동이다.

47쪽

   한글의 모아쓰기와 풀어쓰기(ㅎ ㅏ ㄴ ㄱ ㅡ ㄹ)방식을 두고 논쟁을 하는 장면, 약 7년동안 일만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서 전국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지방 말 조사활동 등 몰랐던 한글을 위해 노력한 모습을 새롭게 알게 되기도 했다.

   일제 감정기에 옥고를 치르면서도 연구에 매진했던 조선어 학회 33명의 이름을 한 번씩 읽어보는 것으로 그들의 헌신과 노력에 감사하는 마음을 전한다.

 


*미자모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