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달토의 소원 사탕 그래 책이야 30
오민영 지음, 송효정 그림 / 잇츠북어린이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학교를 마치고 집에 가는 길,

유나는 '달나라 토끼의 소원사탕' 이라는 사탕가게를 발견한다.

달나라 토끼가 소원을 들어주는 사탕을 판다고 했다.

 

마침 얄미운 차예린을 이기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예린이를 이길 수 있는

"뭐든 1등" 사탕을 고르기로 했다.

마법을 중지시키고 싶을 때는 "방귀 뿡 사탕"을 먹으면 마법이 풀린다고 했다.

다음날 1등 사탕을 먹고 진짜 유나는 뭐든지 1등을 하게 된다.

그런데 달리기를 하다가 예린이가 유나의 발에 걸려 넘어지고

아이들은 예린이에게만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그래서 유나는 다시 사탕가게를 간다.....

(뒤의 내용은 직접 읽어보시길...)

 

학창시절에 나보다 잘하는 친구를 부러워 하고 질투했던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시절 얼굴도 하얗고 매일 소시지반찬을 싸오던

공주방을 가진 외동딸이었던 친구가 참 부러웠던 기억이 난다.

지금 생각하면 별 것도 아닌 소시지반찬이 부럽고, 신기한 지우개를 가진 게 부럽고

왜 그렇게 부러운 게 많았던지......

 

지금 우리 아이들도 그럴 것이다.

우리가 생각지 못했던 소소한 것들을 서로서로 부러워 하고 있을 것 같다.

하지만 그런 것보다 우정을 키워나가는 것에 더 집중한다면 더 좋을텐데.....

 

마지막 작가의 말이 정말 감동적이었다.

달토가 유나에게 마지막으로 했던 말

"인간은 마음만 먹으면 뭐든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태어난답니다앙. 자신이 가진 힘을 믿으세요옹."

 

초3 아이가 단숨에 읽고 너무 재미있다고 전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등 엄마 말의 힘 - 베테랑 현직 교사가 알려주는 초등 대화법
김선호 지음 / 길벗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 점차 자아가 강해지면서 아이와 이야기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부모의 이야기에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던 시기가 지나면서 나름대로 판단이라는 것을 하는 것 같다. 나는 대화라고 하는 것이고 아이에게는 잔소리라고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그래서 초등아이와 대화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곧 사춘기에 접어드는 아이와 어떻게 하면 친구같은 사이를 유지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하면서 막상 아이가 말을 걸어오면 휴대폰에 눈을 고정한 채 성의없는 대답을 할 때가 많다.


이 책에서는 아이의 무의식 속의 작은 '강아지'라는 표현으로 아이의 심리를 설명해 주고 있다.우선 아이도 나와의 대화를 원할까? 무슨 대화를 하고 싶을까? 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나 자신조차도 엄마와 이야기할 때 내가 하고싶은 얘기를 하고 (엄마의 답은 중요하지 않다.) 속이 후련해졌던 경험도 있고, 어느 순간 엄마의 잔소리가 길어졌다 싶으면 전화를 끊고 싶은 충동이 느껴져서 핑계를 대고 끊었던 적도 있다. 대화를 하고 싶지만 하고 싶지 않다는 그런 아이러니?


(117쪽 부분발췌)

한 교육관련 재단에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화 실태 조사를 했다. 부모에게 자신의 고민을 이야기하느냐는 질문에 자주한다라는 응답은 17.6%에 불과했다. 일상적인 대화조차 하지 않는 환경에서 자신의 고민을 부모에게 이야기하는 것은 지극히 당여한 수순이다. "대화는 엉덩이로 하는 거다"


요즘 아이도 나도 스마트기기를 보는 시간이 너무 길다. 가끔 같이 동네산책을 하는데 1시간동안 폰을 안 보니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게 된다. 아이에게 이것저것 묻기도 하고 애가 하는 소소한 이야기들을 듣기도 하고 그런 시간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겠다. 초등시기에도 대화를 잘 하지 않으면서 어른이 되었을 때 부모와 대화를 잘 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겠다.


책의 뒷부분은 문제 있는 자녀와의 대화법(분노조절, 짜증, 열등감 있는 자녀와의 대화) , 자녀와 공감하는 대화법(친구문제, 거짓말, 폭력, 우울) 에 대해서도 적혀 있다. 자녀와 계속 미주알고주알 이야기하기 원하는 부모가 있다면 그것은 워워~~라고 말해주고 싶다. 그렇다고 자녀가 먼저 대화를 청하지 않으면 내버려두는 것도 안된다. 그러면 어쩌라고?? 평소에 적당히 내가 너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고 네편이라는 내용의 대화들을 넌지시 수시로 던져준다. 그러면 자녀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부모와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기초는 놓아진 것이다. 

자녀는 마냥 어리기만 한 존재가 아니고 이제 한 인간으로서 성장해 나가고 있다. 그 길목에서 부모로서 울타리가 되어 주고 정서적으로 지지해 주고 힘든 일이 생길 때 함께 이야기나눌 수 있도록 어떻게 대하고 이야기를 나누어야 할 지 이 책이 큰 도움이 된다. 꼭 자녀와의 대화법이 아니라 타인과의 대화법에도 적용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일 년 내내 방학이에요! 꿈터 어린이 28
김경옥 지음, 최현묵 그림 / 꿈터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원을 다니고 공부를 많이 해서 불만 가득한 시완이는 

어느날 아빠의 회사를 따라 필리핀에 가서 살게 된다.

엄마는 국제학교를 다녀서 시완이의 영어실력이 향상되겠다고 기뻐하셨지만

시완이는 영어에 조금 적응되자 곧 과외선생님과 함께 공부를 많이 해야했다.


공부에 힘겨워하던 시완이네 가족이 기분전환을 위해 나들이를 갔다가

식당에서 필리핀아이와 사고가 났고 그렇게 필리핀 친구 우타를 알게 된다.


우타네 학교는 일년 내내 방학이라고 했다. 시완이는 그점이 너무 부러웠다.

그리고 둘은 농구게임으로 내기를 하고 그 결과 우타는 시완이네 집에서 하루 지내고 시완이의 학교에도 따라가게 된다.


사실 우타의 아빠는 한국으로 일하러 왔다가 사고로 돌아가셔서 

우타가 아픈 엄마를 대신해서 돈을 벌어야 했다. 그래서 우타의 학교는 방학이 아니라 학교에 다닐 수 없었던 것이다. 우타의 눈에 비친 시완이의 모습은 어땠을까 생각이 들었다.


공부에 짓눌린 시완이와, 공부를 하고싶어도 학교에 갈 수 없었던 우타의 이야기를 통해서 

아동의 권리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필리핀의 수상촌 아이들의 생활모습과 국제학교의 생활모습을 정말 리얼하게 그려내서 마냥 핑크빛 동화는 아니었다. 하지만 수상촌에서 살며 학교에도 가지 못하고 돈을 벌어야 하지만 당당하고 자신감 넘치는 우타의 모습에서 큰 호감을 느꼈다. 단지 환경이 그렇게 된 것 뿐이지 누가 더 잘나거나 못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3 아이에게 책을 보여주었더니 표지만 보고 "우와! 일년 내내 방학이라니 정말 좋겠다!" 를 외쳤다. 

아이가 읽고 난 후 어떤 것을 느낄 지 궁금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엔 아무것도 없어 1 - 버리기 마녀의 탄생
유루리 마이 지음, 정은지 옮김 / 북앳북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에 있는 잡동사니를 버려야겠다고 결심하게 해 준 책임...그런데 저자는 너무 심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그램의 용기 - 앞으로 한 발짝 내딛게 만드는 힘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 나온 한비야의 신간...역시 실망시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