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떡과 초콜릿, 경성에 오다 - 식민지 조선을 위로한 8가지 디저트
박현수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3월
평점 :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현대의 간식이 주는 즐거움과 함께, 과거의 간식이 지닌 의미를 되새겨보고 싶다. 허니버터와 같은 현대의 간식이 주는 달콤함 속에서, 조상들이 즐겼던 소박한 간식의 따뜻함을 느끼고 싶다. 그들의 간식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삶의 작은 기쁨이었고, 그 속에는 사랑과 정성이 담겨 있었울것 같다. 이번에 이런 간식과 관련한 신간을 읽을 기회가 있었다. 박현수님의<호떡과 초코릿, 경성에 오다>였다. 저자는 식민지 조선 시대의 디저트에 대해서 정감있게 이야기 해 준다. 간식은 어떻게 보면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임을 인식하면, 책를 통해 우리의 식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 같다.
우리 조상님들 특히,조선 시대의 디저트는 단순한 간식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당시 사람들의 삶의 방식, 사회적 지위, 그리고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식민지 조선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다양한 디저트들은 사람들에게 위안과 즐거움을 주었으며, 그 속에는 고난의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꿈과 희망이 담겨 있었다. 저자는 식민지 조선 시대의 여러 디저트를 살펴보고, 그들이 지닌 의미와 사회적 맥락을 아기자기하게 설명해 준다. 책을 통해 조선 시대의 사람들의 감정과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다방은 고독한 꿈을 가진 이들이 모여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장소였다. 이곳에서 제공되는 커피는 그들의 고독을 달래주는 역할을 했다. 다방에서의 커피는 사회적 소속감을 찾고자 하는 이들의 갈망을 표현하는 수단이었다. 이태준의 표현처럼, 다방을 찾는 이들은 특별한 소속이 없는 사람들이었고, 그들이 선택한 커피는 그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였다. 다방의 창가에 앉아 먹는 따뜻하지만 시큼한 커피는, 마치 잊혀진 꿈을 다시 꺼내는 듯한 느낌을 주었을 것이다. 그들은 서로의 눈빛을 통해, 그리고 커피를 나누며, 잠시나마 현실을 잊고 꿈을 꿀 수 있었다. 이러한 순간들은 그들에게 소중한 기억으로 남아, 고난의 시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었다. 다방에서의 커피는 그들의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한 감정의 상징이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만주가 널리 알려진 계기는 갈돕회와 깊은 연관이 있다. 갈돕회는 경성에서 고학을 하던 학생들의 모임으로, 만주를 판매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만주는 그들의 정체성과 연대감을 상징하는 음식이었다. 만주를 통해 그들은 서로의 고난을 나누고, 식민지 현실 속에서의 연대감을 느꼈다. 만주는 또한 그들이 처한 사회적 억압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었다.만주를 나누는 순간, 그들은 배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꿈과 희망을 나누는 것이었다. 만주를 나누며 나눈 대화 속에는 그들의 고난과 아픔이 담겨 있었고, 그것은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힘이 되었다. 만주는 그들에게 서로의 마음을 연결해주는 다리와도 같았다. 그들은 만주를 통해, 식민지 조선의 현실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의지를 다졌다.
호떡은 하층 계급이 주로 먹던 저렴한 음식으로, 그 자체로 사회적 계급을 반영하고 있었다. 호떡을 먹는 것을 부끄러워했던 이유는 단순히 가격 때문만이 아니었다. 그것은 당시 조선인이 지닌 중국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었다. 호떡은 그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사회적 차별을 느끼게 하는 요소였다. 이러한 부끄러움은 식민지 시대의 복잡한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고 있으며, 호떡은 그 속에서 고난을 겪는 이들의 소박한 위안을 제공했다.호떡을 먹는 순간, 그들은 그 속에 담긴 역사와 아픔을 함께 느끼고 있었다. 호떡의 달콤함은 그들에게 작은 행복을 주었지만, 동시에 그들이 처한 현실을 상기시켰다. 호떡은 그들에게 사회적 계급의 상징이자, 그들이 겪는 고난을 함께 나누는 매개체였다.
라무네는 조선에 처음 선보인 탄산음료로, 그 인기는 문명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당시 사람들은 시냇물이나 샘물 대신 라무네와 같은 청량음료를 마시며 문명의 혜택을 누렸다. 라무네는 식민지 조선에서의 새로운 삶의 방식을 상징하는 요소였다. 그것은 사람들에게 상쾌함과 함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식민지 현실 속에서의 작은 기쁨을 선사했다. 라무네를 마시는 순간, 그들은 마치 새로운 세계에 발을 내딛는 듯한 기분을 느꼈다. 탄산이 터지는 소리는 그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었고, 그들은 라무네를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꿈을 꿀 수 있었다. 라무네는 그들이 겪는 고난 속에서도 작은 기쁨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었다.
조선인들이 소비한 초콜릿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체였다. 초콜릿은 선물로 애용되었으며, 사람들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김말봉의 소설에서 등장하는 초콜릿은 그 자체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고, 그것을 나누는 행위는 사람들 간의 정서를 더욱 깊게 연결해주었다. 초콜릿은 식민지 시대의 고난 속에서도 사람들에게 작은 행복을 제공하는 요소였다. 초콜릿을 나누는 순간, 그들은 서로의 마음을 나누는 것이었다. 초콜릿의 달콤함은 그들에게 위안이 되었고, 그들은 초콜릿을 통해 서로의 아픔을 이해하고, 함께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얻었다. 초콜릿은 그들에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체였다.
...
식민지 조선 시대의 디저트는 그 시대 사람들의 삶과 정체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였다. 다방에서의 디저트는 고독한 꿈을 가진 이들의 소속감을 찾는 수단이었고, 만주는 연대감을 상징하는 음식이었다. 호떡은 사회적 계급을 반영하며, 라무네는 문명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초콜릿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매개체였고, 군고구마는 겨울의 따뜻함을 제공했다. 빙수는 어린이들에게 행복을 주는 특별한 음식이었다. 이러한 디저트들은사람들의 삶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며, 그 속에는 고난의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꿈과 희망이 담겨 있었다. 조선 시대의 디저트를 통해 우리는 과거의 문화와 정체성을 되새기고, 그 속에서 현재의 삶을 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