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제 당신의 손을 놓겠습니다 - '나'를 위한 관계 덜어내기 수업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큰숲 / 2025년 3월
평점 :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내가 싫어도 어쩔 수 없이 사회적인 관계를 구축하며 살아가야 만 하는데, 사회적인 관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여러가지 갈등이 생길 때가 많아 인간관계를 어떻게 하면 좋게 유지할 수 있을 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곤 한다. 역시나 어려운 것이 인간 관계인 것 같다. 오늘 이러한 인간관계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관한 서책을 읽었다. 기시미 이치로의 <이제 당신의 손을 놓겠습니다>였다.인간은 본질적으로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존재다. 우리는 가족, 친구, 동료 등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삶의 의미를 찾고, 정서적 지지를 받으며, 사회적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그러나 모든 관계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거나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관계는 서로의 감정과 기대가 얽힌 복잡한 구조물이다. 저자는 이러한 관계의 본질을 탐구하며, 우리가 어떻게 더 나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지를 제안한다. '나를 위한 관계 정립'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과정인 것이다. 관계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저자는 가족관계나 친구관계가 자동으로 좋은 관계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관계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 관계가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우리는 종종 관계의 외형에만 집중하고, 그 안에 숨겨진 복잡한 감정과 기대를 간과한다. 친구와의 관계에서 우리는 종종 그 친구가 나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생각하지 않고,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에만 집중한다. 그러나 진정한 관계는 서로의 감정과 기대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데서 시작된다. 따라서 관계를 맺기 전에 그 관계가 나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깊이 생각해야 하며, 이를 통해 더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특히 복잡하다. 많은 부모가 자녀가 혼자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보다는, 실패를 두려워해 과도하게 의존하게 만든다. 이는 자녀가 스스로의 삶을 살지 못하게 하고, 결국 부모의 인생을 대신 살아가게 만든다. 저자는 이러한 관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부모는 자녀가 독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자녀는 부모의 기대에서 벗어나 자신의 길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서로의 기대와 감정을 솔직하게 나누는 것이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할 것이다. 부모와 자식 간의 대화는 서로의 이해를 깊게 하고, 관계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자녀가 자립적인 인격체로 성장하는 데 필수적이며, 부모 또한 자녀의 독립을 지지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인간은 본능적으로 타인에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존이 지나치면 관계가 불균형해지고, 결국 서로를 억압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는 의존과 지배의 관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끊어낼 각오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불필요한 관계는 과감히 정리하고, 진정으로 나를 이해하고 지지해줄 수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 이는 나 자신을 위한 선택이며, 나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이다. 의존과 자율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서로를 존중하고 지지하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자는 사랑을 강조한다. 사랑은 자유를 추구하는 감정이다. 누군가에게 속박당하고 감시당한다고 느낄 때, 우리는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을 잃게 된다. 저자는 진정한 사랑은 서로를 구속하지 않고, 각자의 자유를 존중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관계의 본질을 이해하고, 서로의 개성을 인정하는 데서 시작된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유로움을 느낀다면, 그 결속은 더욱 강해질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상대방을 지배하려는 욕구를 버리고, 서로의 자유를 존중하는 관계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계는 서로의 성장을 촉진하고, 각자가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행복은 각자 다르게 정의된다. 저자는 자신의 인생이 다른 사람의 인생과 같을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지만, 이는 오히려 나를 잃게 만드는 길이다. 나만의 고유한 행복을 찾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 다르게 사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나의 성격과 외모를 받아들이고, 나만의 길을 걸어가는 것이 진정한 행복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을 더욱 사랑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는 서로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하며, 이를 인식하는 것이 겸손한 태도라고 강조한다. 우리는 서로 다른 배경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각자의 생각과 감정이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차이를 인정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진정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타인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관계의 깊이를 더하고,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는 데 기여할 것이다.저자는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기존의 관계를 점검하고, 나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강화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는 과감히 정리해야 한다. 이는 나 자신을 위한 선택이며, 더 나은 삶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관계는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변화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정립 과정은 우리가 더 나은 사람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며, 진정한 연결을 찾는 데 필수적이다. 우리는 관계의 본질을 이해하고, 의존과 자율의 균형을 맞추며, 나만의 고유한 행복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또한, 타인을 이해하는 것의 한계를 인식하고,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더 나은 관계를 형성하고, 진정한 연결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관계는 유지하는 것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변화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기 떄문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