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답고 위태로운 천년의 거인들 - 개발과 손익에 갇힌 아름드리나무 이야기
김양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3월
평점 :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나라 산림에서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나무가 소나무일 것이다. 애국가에도 나오고, 사시사철같은 푸른 빛을 잃지않아 조선시대 선비의 절개의 상징으로도 의미가 깊어 한국인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는 나무이다. 소나무는 사시사철 푸른 잎을 가지고 있다. 소나무는 특성상 땅이나 흙의 종류에 관계없이 잘 자란다. 소나무의 잎은 땅에 떨어지면 땅속의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땅을 비옥하게 해준다고 한다. 소나무가 흙을 비옥하 게 해주면, 그 땅에 다른 종류의 나무들이 자리잡게되어 소나무는 그 땅에서 밀려나서 다른 곳으로 가게된다고 한다. 요즈음 도심의 거대화와 오염의 증가 등으로 예전에 우리의 곁에 있었던 나무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 같아 아쉽다. 마을 어귀에 있었던 성황당 앞의 나무들은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언제 없어지는 지 모르게 잘려지곤 한다. 백년 혹은 천년을 버텨온 나무들인데.... 이번에 우리나라 전국의 아름드리 나무에 대해 상세하게 알려주어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우리의 천녀의 거인들에 이야기 하는 흥미로운 신간을 읽을 기회가 있었다. 김양진님의 <아름답고 위태로운 천년의 거인들>이었다.
세상의 오래된 거인들이 우리 곁에서 사라지고 있다. 오랜 세월을 견디며 마을을 지키고, 계절의 변화를 몸소 겪어내며 그늘을 드리운 나무들이 개발과 편의라는 이름 아래 조용히 쓰러지고 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 그들의 뿌리는 잘리고 가지는 베어진다.
우리나라 어느 마을의 당산나무는 수백 년 동안 사람들의 기원을 듣고 소원을 담아왔다. 아이들은 그 아래에서 뛰어놀고, 어른들은 나무 그늘 아래서 더위를 피하며 서로의 안부를 묻곤 했다. 그 나무는 단순한 자연물이 아니었다. 마을 사람들의 기억이 스며든 살아 있는 존재였고, 공동체의 중심이었다. 하지만 개발이라는 거대한 파도가 마을을 덮칠 때, 나무의 운명은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새로운 도로를 내고, 현대적인 건물을 짓는다는 이유로 단번에 베어졌다. 그 자리에는 멀끔한 아스팔트와 반듯한 도로가 들어섰다. 그러나 사람들은 깨닫지 못했다. 그늘이 사라지고, 공기가 메마르며, 마을의 정서적 중심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나무는 하나의 생태계다. 하늘과 땅을 연결하고, 새들의 보금자리이며, 작은 곤충들의 세상이기도 하다. 거대한 줄기 안에는 수백 년의 역사가 새겨져 있으며, 뿌리는 깊숙이 땅을 붙잡아 토양이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돕는다. 오래된 나무 한 그루는 단순한 식물이 아니라, 수많은 생명체가 함께 살아가는 공간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 나무들을 함부로 대하고 있다. 수백 년을 살아온 보호수조차 경제 논리 앞에서는 무력하다. 행정적 보호를 받는다고 해도 민원과 이권 앞에서는 그 가치는 쉽게 무시된다.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도시 미관을 개선하기 위해, 혹은 단순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오래된 나무들은 쉽게 베어지고 방치된다. 몇 백 년을 견뎌온 거목이지만, 한순간의 결정으로 사라진다. 그리고 우리는 점점 더 많은 폭염과 홍수를 맞이하게 된다.
가로수 또한 같은 운명이다. 여름날 뜨거운 햇빛을 막아주고, 도시의 삭막함을 덜어주는 가로수들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다. 전깃줄과 간판을 가린다는 이유, 꽃가루가 날린다는 이유, 도로를 확장해야 한다는 이유로 베어진다. 하지만 가로수가 사라진 도시는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미세먼지에 더욱 취약해진다. 우리는 나무 한 그루의 소중함을 잊은 채, 그들이 우리에게 베풀던 수많은 혜택을 잃어가고 있다.
저자가 소개하는 나무들은 제주도의 비자나무, 경주의 은행나무, 담양의 대나무숲, 그리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오래된 느티나무와 소나무들 등 오랜 세월 동안 자연과 인간의 역사를 함께해 왔다. 비자나무 숲은 수백 년을 버티며 강한 해풍을 견뎌왔고, 경주의 은행나무는 신라 시대부터 그 자리에서 마을을 지켜왔다. 담양의 대나무숲은 청량한 바람을 선사하며 우리의 정신을 맑게 해 주고, 천연기념물로 보호되는 느티나무와 소나무들은 우리의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무들조차 인간의 욕심 앞에서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오래된 나무를 단순한 자연물이 아닌, 살아 있는 존재로 인식해야 한다. 그들이 품고 있는 역사와 문화를 존중하고, 생태계의 일부로 보호해야 한다. 한 그루의 나무를 지키는 것이 단순히 환경 보호가 아니라, 우리의 삶을 지키는 일임을 깨달아야 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딘가에서 한 그루의 거대한 나무가 쓰러지고 있다. 그 나무가 사라진 자리에는 삭막한 공간만이 남을 것이다. 우리는 그 공간이 얼마나 허전하고 쓸쓸한지, 너무 늦기 전에 깨달아야 한다. 우리 곁의 천년 거인들이 더 이상 위태롭지 않도록, 이제는 우리가 나서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