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진 게 지독함뿐이라서 - 상위 0.001% 전설의 벤츠 딜러가 일과 돈을 초고속으로 키운 태도
윤미애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2월
평점 :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주변의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자주 듣고자 한다. 저자의 성공 이야기는 개인의 성취를 넘어,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자동차 딜러로서 치열한 삶을 산 자서전을 읽었다. 윤미애님의 <가진 게 지독함뿐이라서>였다. 저자는 '연봉 10억 원대의 국내 유일 여성 벤츠 이사'로 성장하고, '200억 원 자산가'가 되는 성과를 이루었다고 한다. 저자의 인생 이야기를 듣고 어떤 지독함이 있었는지 알아본다...
저자가 이야기 하는 지독함이란 무엇인가?
세상에는 우리가 쉽게 오해하는 직업들이 많다. 그중 하나가 수입자동차 딜러다. 사람들은 그들이 언제나 고급 정장을 입고, 명품을 걸치며, 세련된 태도로 고객을 대하는 모습을 보며 차 한 대만 팔아도 엄청난 수익을 올릴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그들도 일개 영업사원이자 세일즈맨이며,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자신을 꾸미고, 프로페셔널한 자세를 유지할 뿐이다. 이들의 태도는 단순한 겉치레가 아니라, 고객을 대하는 준비된 자세이며, 철저한 노력과 자기관리가 만든 결과다. 이러한 오해는 결국 우리가 성공을 바라보는 방식에서 비롯된다. 우리는 성공한 사람들의 현재 모습만을 보지만, 그들이 그 자리에 오르기까지 얼마나 지독한 노력을 기울였는지는 간과하기 쉽다.
“지독한 독종이 성공한다”라는 말이 있다. 근성의 문제가 아니다. 한 사람이 성공하기 위해선 집요한 노력과 끊임없는 자기 개발이 필요하다. 과거 삼성의 초대 회장 이병철조차 질투했다고 알려진 현대 그룹의 정주영 회장은 그 대표적인 예다. 그는 근검절약을 바탕으로 집요한 노력을 거듭했다. 출근 시 차비를 아끼기 위해 걸어 다녔고, 그 결과 구두가 빨리 닳아 징을 박고 다닐 정도였다. 그가 회장이 된 후에도 그의 생활은 소박했다. 17인치 텔레비전과 20년 된 소파가 전부였던 그의 집에 도둑이 들었으나 훔쳐갈 것이 없어 초조해했다는 일화는 그의 삶이 어떠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렇게 악착같이 절실하게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희생하고 인내하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지독하다’는 표현을 쓴다.
지독함을 통해 성취한 인물은 비단 정주영 회장뿐만이 아니다. 한 유튜브 영상의 댓글에서 “그녀의 지독함을 닮고 싶다”는 글이 화제가 된 바 있다. 이는 대한민국에서 자동차 세일즈의 최정상에 오른 저자에 대한 이야기다. 그녀는 사회적 불평등이 만연한 시절, 여자라는 이유로 차별받던 환경을 뚫고 해외 자동차 업계 1위 브랜드인 벤츠에서 상위 0.001%의 세일즈 우먼이 되었다. 하지만 그녀의 성공은 단순한 행운이 아니었다. 그녀는 단순히 벤츠를 팔아서 200억의 자산을 만든 것이 아니다. 한 번의 구매 고객을 6대 재구매로 연결하고, 끊임없는 선순환을 만들어내는 전략적 세일즈 방법을 통해 성공을 일궈냈다.
그녀의 성공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지독함이란 단순한 근성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그녀는 세일즈를 하면서 끊임없는 배움을 추구했다. 부동산 투자를 위해 부동산학과에 편입하고, 박사 과정까지 바라보는 등 자기 계발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녀는 단순한 자동차 판매를 넘어, 고객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고객 한 명 한 명의 고충을 24시간 해결하는 자세로 접근했고, 이는 결국 높은 재구매율로 이어졌다. 그녀의 목표는 단순히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었다.
책 속에서 그녀는 자신의 커리어를 돌아보며 이야기한다. 전문대를 졸업한 후 정보통신업체에서 일하던 그녀는 어떻게 BMW에 입사해 성공적인 판매를 이끌었는지, 강북에서 서초로 옮기며 차장의 직함으로 내려갔음에도 벤츠로 이직하여 다시 도전했던 경험을 공유한다. 걸레질부터 시작해 고객관리를 철저히 함으로써 결국 재구매율을 높이고, 고객을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평생의 파트너로 삼는 방법을 익혔다. 그녀의 성공은 단순한 판매 능력이 아닌, 끊임없는 노력과 자기계발, 그리고 고객과의 관계 구축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결국, 지독함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단순한 집착이 아니다. 그것은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향해 끝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끊임없이 배우며,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우리는 때때로 성공한 사람들을 보며 그들이 특별한 능력을 타고났다고 생각하지만, 그들이 이룬 성취는 대부분 지독한 노력과 희생의 결과다. 단순한 세일즈 노하우나 재테크 방법을 배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중요한 것은 자기 믿음을 바탕으로 사람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신뢰를 쌓으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지독함이란 결국, 자신에 대한 믿음과 사랑에서 출발한다. 자신의 가능성을 믿고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를 독려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진정한 성공이 탄생한다. 우리는 모두 자신의 분야에서 ‘지독한’ 사람이 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얼마나 절실하게 목표를 원하는지, 그리고 그것을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노력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책을 덮으며 나 자신의 지독함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