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박한 공기 속으로
존 크라카우어 지음, 김훈 옮김 / 민음인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에베레스트, 그 이름만으로도 사람의 가슴을 뛰게 하는 이 산은 언제나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끼께 한다. 그러나 이 산은 인간의 도전 정신과 한계,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비극을 상징하는 장소다. 우리는 역사 속에서 일어난 여러가지 안타까운 사고에 대해 알고 있다. 우리는 많은 영화와 소설을 통해서 때로는 인간의 무모함에 의해서 일어난 비극, 때로는 오르지 못할 것만 같은 산을 정복하려는 이들의 욕망과 그들이 겪은 고통과 희생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이번에 새로운 형식의 <희박한 공기 속으로>를 읽을 기회가 있었다. 저자 존 크라카우어는 자신의 성취를 자랑하기 위해 이 글을 쓴 것이 아니다. 그는 그날의 끔찍한 사건을 기억하고, 그 속에서 인간의 본성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희박한 공기 속으로는 인간의 한계와 자연의 위대함에 대해 이야기 한다. "희박한 공기 속으로“… 제목에서 부터 에베레스트의 고산 지역이 떠오른다. 이 작품은 인간의 본성과 도전, 그리고 자연과의 복잡한 관계를 이야기하는 깊이 있는 서사이다. 크라카우어는 에베레스트 등반을 통해 극한의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독자에게 생존의 의미와 존재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책은 1996년 에베레스트 등반 중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 세계적인 등반 가이드인 로브 홀과 그의 라이벌 스콧 피셔를 포함한 여러 등반대가 에베레스트 정상에 도전하는 과정에서, 그들은 극한의 환경과 맞닥뜨리게 된다. 정상에 도달한 기쁨도 잠시, 갑작스러운 눈 폭풍과 극심한 추위 속에서 생존을 위한 치열한 싸움이 시작된다. 저자 존 크라카우어는 자신의 경험과 다른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 사건을 재구성하며, 에베레스트 등반의 상업화와 그로 인한 인간의 열망과 한계를 깊이 있게 전달해 준다. 책은 퓰리처상 최종 후보에 오르고 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리뉴얼 완전판에서는 생존자 아나톨리 부크레예프와의 논쟁과 화해 과정을 추가하여 사건의 복잡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책 속의 인물들은 각기 다른 배경과 목표를 가지고 에베레스트에 도전했다. 로브 홀은 자신의 사업을 홍보하기 위해, 스콧 피셔는 자신의 쿨한 이미지를 과시하기 위해, 그리고 남바야스코는 기록을 세우기 위해 이 험난한 길에 나섰다. 그들은 모두 각자의 이유로 이 극한의 환경에 발을 내딛었지만, 결국 그들의 선택이 가져온 결과는 비극적이었다. 특히, 로브 홀의 결정은 많은 이들의 생명을 앗아가는 원인이 되었다. 그는 사람들의 욕망과 열망을 이해하면서도, 그들을 안전하게 이끌어야 할 책임을 저버렸다. 이러한 선택은 인간의 본성이 가진 모순을 드러낸다. 에베레스트에서의 등반은 정신적, 감정적 고통을 동반하는 여정이다. 저자는 저산소 상태에서의 고통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그로 인해 인간이 얼마나 무력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정신이 몽롱해지고, 기본적인 판단력조차 잃어버리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는 도전을 감행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인간의 본성과 욕망,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비극을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었다

책은 인간의 한계와 도전, 그리고 그에 따른 윤리적 질문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등반가들이 극한의 환경에서 자신을 어떻게 시험하는지를 보여주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갈등과 도덕적 딜레마를 심도 있게 구성하고 있다. 특히, 그는 등반가들이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욕망이 어떻게 그들을 위험한 상황으로 이끌 수 있는 읽는 재미를 배가시킨다. 'Into Thin Air'의 영화화 작품인 ‘Everest’와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희박한 공기 속으로'에서, 크라카우어는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건을 분석한다. 영화 ‘Everst'는 자연을 정복하려 모였던 사람들이 직접 재난 속으로 들어가면서 벌어지는 과정을 인물에 포커스를 맞춰 개인적인 경험과 감정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독자가 더 강한 감정적 연결을 느낄 수 있다. 영화는 실패와 후회를 통해 인간의 한계를 탐구하고 있다. 같은 소재를 작가와 감독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는 가를 비교해 보는 것도 또 하나의 재미라 할 것 같다. 우리는 자연의 위대함을 존중하고,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며 도전해야 할 것이다. 에베레스트는 그 자체로 경이로운 존재이지만, 그 곳에서의 경험은 결코 가볍지 않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