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역사 - 우주에서 우리로 이어지는 138억 년의 거대사
팀 콜슨 지음, 이진구 옮김 / 오픈도어북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 인류의 역사에서 발전한 과학 이론의 모든 것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는 흥미로운 신간을 읽을 기회가 있었다. 너무나 거대한 우주론에서 부터 우리 인간의 가장 작은 세포에 이르기 까지 모든 과학적인 이론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이론적으로 어렵게 설명하고 있지 않아 쉽게 읽을 수 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제목이 재미있다. 팀 콜슨의 <존재의 역사>이다.

인간의 존재에 대한 질문은 항상 우리를 사로잡아 왔다. "우리는 누구인가?" "어디에서 왔는가?"라는 물음은 인간의 근원적인 탐구심을 자극하며, 이 질문들은 수많은 학문과 사상의 발전을 이끌어냈다. 팀 콜슨의 『존재의 역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과학적, 철학적, 개인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책은 빅뱅으로 시작하는 우주의 기원에서 출발한다. 우주는 138억 년 전 강렬한 에너지를 품은 점에서 폭발적으로 팽창해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다. 저자는 물리학, 천문학, 화학 등 다양한 학문을 총망라해 이 거대한 여정을 설명한다. 우주가 미세한 확률 속에서 생성되었다는 점에서 인간 존재는 그야말로 기적이다. 이 과정에서 우주가 결정론적으로 계획된 결과인지, 우연한 사건의 집합인지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펼쳐진다. 책에서는 우주가 결정론적으로 계획된 결과인지, 아니면 우연의 집합인지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펼쳐진다. 이 질문은 독자로 하여금 우주의 기원과 인간 존재의 관계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러한 우주론에 대해서 단시 암기식으로 외우기만 하지만,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이 우주론에 대한 논쟁이 현재에도 진해되고 있다. 우리도 이제는 이러한 논쟁에 대해 고민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저자는 이러한 사유를 통해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주고 있다.

콜슨은 생명의 탄생과 인간 유전체의 형성까지 상세히 설명해 준다. 지구의 탄생, 생명체의 진화, 인류의 출현은 물리적 법칙과 우연이 결합한 결과로 설명된다. 특히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개인의 개성이 형성된다는 점은 인간 존재의 독특함을 강조한다. 과학은 인간 삶의 필연성과 우연성을 동시에 탐구하는 도구로 작용한다. 인간 존재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해 저자는 과학적 탐구가 어떻게 인간의 삶을 형성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탐구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설명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 자신의 위치와 역할을 다시금 돌아보게 한다. 흥미로운 점은 저자가 과학을 종교적 관점에서 해석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학부 시절 '생명의 신비' 수업에서 창조론을 믿는 과학자들이 많다는 말을 들었던 기억이 떠오른다. 그러나 팀 콜슨은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무신론자의 입장에서 과학적 탐구가 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은 독자들에게 과학과 종교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유의 여지를 제공한다.



콜슨은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학문적 여정을 녹여내며 독자와 소통한다. 저자는 과학적 설명에 유머를 섞거나 과학계의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덧붙여 이야기를 더욱 생동감 있게 만들어 준다. 이로 인해 딱딱한 과학적 사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며, 과학적 지식뿐 아니라 학자로서의 그의 인간적인 면모도 접하게 된다. 저자의 따뜻하고 친근한 문체는 독자에게 편안함을 주며,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책을 읽는 내내 독자가 저자와 함께 탐구의 여정을 떠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저자는 우주의 결정론과 확률론에 대해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달해 준다. 대학 교양 시간에 배웠던 우주론이 생각났다. 우리는 유명한 철학자로만 알고 있는 칸트도 우주론에 대해 이야기 했었다. 칸트는 우리 은하, 즉 '밀키웨이’가 우주에 존재하는 수많은 ‘섬 우주’ 중 하나일 뿐이라고 추론했다. 이러한 관점은 밤하늘에 보이는 무수한 별들이 모두 성운에서 수축하여 형성된 것처럼, 우주에는 우리 은하와 같이 성운에서 수축하여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은하들이 많이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칸트는 우리 은하가 우주에서 유일하거나 특별한 존재라고 가정하는 것보다, 우주에는 우리 은하와 같은 다른 은하들이 많이 있다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우주적 조화’의 원리에 부합하며, 우주에는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 천체는 없다는 '코페르니쿠스 원리’와도 일맥상통하다. 칸트의 이러한 추론은 나중에 천문학적 발견들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현대 우주론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사상 중 하나가 되다.



반면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는 우리 은하가 우주 전체라고 보았으며, 나선 성운들이 우리 은하 내에 위치해 있다고 믿었다. 섀플리는 안드로메다 은하가 우리 은하 내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멀어야 한다고 봤다. 이 논쟁은 에드윈 허블이 안드로메다 은하 내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하면서 종결되었다.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가 약 250만 광년임이 밝혀지면서, 커티스의 '섬우주' 주장이 사실에 가까웠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대논쟁을 통해 우주에는 수많은 은하가 존재하며, 우리 은하는 그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정말 우주는 아직까지 우리가 완벽하게 이해하기는 너무나 큰 존재인 것 같다....

『존재의 역사』는 철학적 사유를 자극하는 책이다. 책을 읽으며 '우주의 존재가 필연적이었을까, 아니면 우연일까?'라는 질문은 독자의 머릿속에 오래 남는다. 모든 것이 우연의 연속이라면 인간은 그저 우주의 먼지 같은 존재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미미한 존재가 우주의 모든 것을 탐구하고 성찰한다는 점에서 인간은 우주에서 가장 특별한 존재로 여겨진다. 팀 콜슨은 결국 이렇게 결론 내린다. 우리는 우주적 확률의 기적 속에 존재하며, 유한한 시간을 의미 있게 살아가야 한다. 『존재의 역사』는 우주의 기원에서 인간의 존재에 이르는 거대한 여정으로 이끌며, 과학적 탐구와 철학적 성찰을 아우른다. 두께만큼이나 깊고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어 과학과 인생의 의미를 고민하는 모든 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