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조하는 삶 - 무위에 대하여
한병철 지음, 전대호 옮김 / 김영사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사회는 성과와 목표 달성을 중시하는 문화로 가득 차 있다. 우리는 매일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더 많은 성취를 이루기 위해 뛰어다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강박관념은 우리의 삶을 지배하며, 각 개인은 더 많은 노동과 소비를 통해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삶의 방식은 진정한 행복과 만족을 가져다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우리는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번에 이러한 현대 사회의 속박에서 벗어나 무위의 가치를 다시금 조명하는 책을 읽을 기회가 있었다. 한병철님의 <관조하는 삶>이었다. 그는 '관조적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우리가 무언가를 더 해야만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진정한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음을 주장한다고 한다. 우리 현대인들은 끊임없이 생산성과 효율성을 추구하지만, 그 과정에서 스스로의 존재 결핍을 더욱 심화 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 무위 '는 게으름이 아니라, 삶의 본질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중요한 태도라는 것이다. 우리가 단순히 알고 있는 무위인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상태가 아니라, 의도와 목적 없이 세상을 바라보는 상태라는 것이다. 저자는 우리가 바쁘게 살아가는 일상에서 잊고 지낸 '관조'의 순간을 되찾아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고 한다. 아직은 그 의미가 희미하게 다가온다. 저자의 책 속으로 들어가 본다.


저자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나 아렌트의 <비타 악티바>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한나 아렌트는 20세기 철학과 정치 이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상가로, 그녀의 저서 『인간의 조건」에서 제시한 '비타 악티바(Vita Activa)' 개념은 현대 정치철학의 중요한 논의 주제가 되었다. '비타 악티바'는 단순히 행동하는 삶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 방식과 인간이 사회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을 탐구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아렌트는 이를 통해 인간의 활동이 어떻게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서 의미를 가지는지를 설명하고자 했다. 렌트는 '비타 악티바'를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노동(Labor), 작업(Work), 행위(Action). 이 세 가지는 인간의 활동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각각의 특성과 의의를 지닌다. 노동(Labor): 노동은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활동으로, 인간이 자연과의 관계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해야 하는 일이다. 이는 반복적이고 순환적인 특성을 가지며, 인간의 생물학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아렌트에 따르면, 노동은 인간의 조건 중 가장 기초적인 형태이지만, 그것이 주는 의미는 제한적이다. 노동은 결국 생명의 지속성을 위한 수단일 뿐, 인간 존재의 진정한 의미를 탐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노동은 생존을 위한 수단에서 벗어나,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적 위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그러나 아렌트는 노동이 인간의 존재를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우리는 노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할 수 있지만, 그것이 우리를 진정으로 충만하게 만들지는 못한다. 기술과 예술의 발전으로 인해 작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아렌트는 작업을 통해 인간이 세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낸다고 보았으며, 이는 현대 사회의 창조적 활동과 일맥상통한다. 우리는 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공동체와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다. 아렌트의 행위 개념은 현대 정치에서 시민 참여와 정치적 행동이 강조되는 지금, 행위는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공동체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아렌트는 행위를 통해 인간이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다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현대 사회는 끊임없는 경쟁과 성과 지향적인 삶의 방식으로 특징지어지고 있다. 우리는 매일 더 많은 일을 처리하고, 더 많은 소비를 하며, 끊임없이 자극을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삶의 방식은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며, 오히려 고립감과 외로움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재독 철학자 한병철은 '관조적 삶(Vita contemplativa)'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며, 무위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저자는 현대인들의 성취 욕망과 인스턴트식 도취에 묶여 있는 현실을 비판하며, 더 이상 무엇인가를 성취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삶에서 벗어나, 순간의 아름다움과 세계의 본질을 바라보는 태도를 촉구한다. 그는 우리가 무언가를 더 해야만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의도와 목적 없는 활동을 통해 진정한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관조적 삶'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상태가 아니라, 우리의 주변 세계와의 깊은 연결을 통해 새로운 통찰과 이해를 얻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조는 현대 사회에서 잊혀진 덕목으로, 우리의 존재 방식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 저자는 고대 철학자들부터 현대 사상가들까지 다양한 관점을 통해 무위의 숨겨진 가치와 그 창조적 힘을 탐구하며, 깊은 성찰을 요구한다. 우리는 어떻게 무위의 가치를 통해 진정한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지, 그리고 현대인으로서 이 관조적 삶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를 깊이 있는 저자의 분석 과 조언을 들어 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현대 사회의 압박 속에서도 더 나은 삶의 방식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

관조하는 삶, 총리뷰

현대 사회에서 무위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작품이다. 저자는 무위를 통해 우리가 잃어버린 인간의 본질과 창조성을 회복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무위는 단순히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상태가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 는 창조적인 힘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삶의 본질을 성찰하고,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압박 속에서도 무위를 실천함으로써, 우리는 더욱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본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