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고 싶다는 말처럼 아픈 말은 없다
최인숙 지음, 이진 그림 / 매직하우스 / 2015년 1월
평점 :
오랫만에 접해보는 시집이다.
<보고 싶다는 말처럼 아픈 말은 없다>
제목만 보고 확 끌렸다.
소설책같은 경우는 제목에 하고싶은 말이 담겨있듯 내용이 제목으로 표현이 된다.
하지만 시는 그렇지 않다.
가장 대표되는 시라고 해야 하나?
그런데 보통 제목에 포함된 느낌이 담긴 내용들의 시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예전에 내가 접한 시들은 그냥 글만 있는 시들이 많았다.
오랫만에 접한 이 시집은 아기자기함과 개끗함이 담긴 시집이다.
표지에서 보듯 시에 따라 다 그림이 있다.
그렇고 보니 이 시집에 있는 시들은 짧다.
정말 예전부터 우리가 알고있는 시를 보면 어떻게 이럴 수가!
학창시절에 시를 외우고 시에 담긴 함축적인 의미를 헤아리느라 힘들었다.
거기다 긴 시라면 더 죽을 맛이었다.
이제는 그런 수험생의 입장이 아니라 편안히 시를 접할 수 있어 참 좋다.
아픈 말
'보고 싶다'는 말처럼
아픈 말은 없다.
불쑥 튀어나와
일상을 헤집어 놓는 말.
자꾸 기다려지는
그리움이 눈물 흘리게 하는 말.
사랑에 대한 슬픔을 겪을 수록, 나이가 들 수록 점점 더 그 말이 가슴에 스며든다.
눈시울이 붉어진다.
시라는 건 소설처럼 한꺼번에 한번 보고 마는 것이 아니라
무료할 때 허 할때 센치해 질때
다시 읽고 또 읽고 되새김질 하듯 어느 한 곳의 시를 꺼내 읽는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봄이 오는 이 시점에서 더 추운마음이다.
이렇게 춥고 허 할때 시를 읽으면 참 좋다.
허한 빈 구멍을 시로 채워주어 더 춥게 느껴지는 마음을 조금은 막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