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두리 없는 거울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박현미 옮김 / arte(아르테)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표지가 너무 이뻐서 내 마음을 움직인 책이다.

보통 나는 공포, 호러 책을 잘 읽지 않는다.


(어릴 때는 무지 좋아했고 겁없는 소녀였다,

어릴 적 우리집 화장실은 집밖에 있는 그야말로 변소 였다.

그런데 자다가 한 밤중에 잘도 갔다.

울 엄마는 어린게 겁도 없다고 하셨다.

하지만 크면서 점점 겁이 많아지고, 스릴러 이런 영화만 보던 내가 어른이 되서는

공포, 스릴러는 보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이 책은 너무 이뻐서 주저없이 선택을 했다.

이런표지를 보고 누가 공포, 호러? 라고 할까?

그런데 우리나라식 공포, 호러랑은 다르다.

우리나라는 깜짝깜짝 놀라면서 간담이 서늘하다면,

일본 특유의 공포는 깜짝 놀라는 공포는 없지만

알아갈 수록 너무 무서워지는, 그래서 다음을 진행할 수 있을까라는 결심을 하게한다.


일본의 <기묘한 이야기>란 프로를 안다면 이 책도 아~~ 할 것이다.

그 기묘한 이야기에 계단의 하나코 작품의 원작이라니 조금 친숙하지 않은가?

나만 그런가?ㅎㅎㅎ


츠지무라 미즈키라는 작가는 처음 접하는 작가인데

이 작가는 공포, 호러로 일가견이 있는 작가라 한다.

초등3년 때 처음 쓴 이야기가 호러소설이었을 만큼 어릴 적 부터 호러와 미스터리를 좋아했다고 힌디.

또한 일본의 나오키상을 수상한 작가이기도 하다.


[나오키상]

아쿠타가와상과 더불어 일본에서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으로

아쿠타가와상이 순수문학에 수여되는 반면, 나오키상은 주로 대중 작가의 통속 소설에 수여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나오키상 [直木賞]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이 책은 5편의 단편이 이루어졌고,

모두들 추억 속 어린시절 아이들을 중점으로 이야기는 꾸며져있다.


계단의 하나코

그네를 타는 다리

아빠, 시체가 있어요

테두리 없는 거울

8월의 천재지변


우리도 어린시절, 사춘기 시절에 흔히 겪었을

학교괴담이나 친구, 주변의 모든 일들에 대한 것들이 이야기꺼리가 되며

공포나 미스테리의 대상이 된다.

그렇지만 내가 생각하는 공포는 어둡고 먼가 소름끼치는 환경이 설정된 장소였는데

이 책에 나오는 이야기는 다르다.

아이들의 시각에서 보는 것이기 때문이고,

내가 너무 커 버려서 자극적이고 우리가 흔히 공포물이라고 하는 선입견에 사로잡혀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표지에서의 아름다움이 말해 주듯이쁘고 아이들의 마음을 대변하는 그런 소설인것이다.

아이들이 등장하고, 아이들이 추체인 소설!

그러면 왜 표지가 저렇게 아름다운지, 내용이 왜 어른들이 보기엔 무섭게 느껴지지 않는지 알 수 있다.

그게 일본문화와 일본문학의 한 부분인것이다.


왠지 이 소설을 읽으며 어린시절을 뒤 돌아보는 회상과 추억을 떠오르게 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