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ㅣ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세상에, 이런 책은 처음봤습니다. 역시나 MADE IN FRANCE 책 답네요.
한 두페이지면 끝나버릴 글을, 이렇게 현학적으로 쓸 수 있다니.
이 책에서 분류하는 나름의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UB(안읽음) / SB(대충 읽음) /FB(읽었는데 까먹음 / ibid (확실하게 읽음)
※ ibid는 책에 거의 없음
그리고 플러스로 뒤에 약호에 ++(매우 긍정),+(긍정),-(부정),--(매우 부정) 를 붙여서 말이죠..
대부분은, UB와 SB-FB 사이입니다.
밑에 달린 주석 또한 자신이 읽지 않았거나 까먹었음을 확실하게 드러내기도 해요.
특이한 책이죠.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이지만, 사실 일종의 은유일지도 모릅니다.
사실, 저도 제목에 낚여서 읽었어요.
"내가 읽지 않은 책"은 많습니다.
세상에 널린게 책이고, 현대에 들어와서 책이란 컨텐츠는 이제
'판매하기 위한 마케팅'으로서 내건 슬로건으로 "이 책을 읽지 않으면 안돼!"
같은 형식으로 올 겨울을 트렌드 하는 패션 아이템처럼 유행이 되고 있습니다.
단편적인 예로, 과거의 책들은 "고전"이라는 이름하에
필독서, 혹은 권장도서가 되어 "교양"이라는 명목 아래에 팔리고 있죠.
'Oldies But Goodies' 라는 말도 있지만, 과거의 책들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들이 살았던 장소와 역사를 이해해야 그들이
왜 그렇게 행동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는 법이죠. 사실 고전은 어렵습니다.
한 번 읽고 "읽었다"라고 하기엔, 세부적인 디테일을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면 그 책을 왜 읽어야 할까요? 그 책에 대한 정보는
도대체 어디에서 주워들었길래, 머릿 속에서 "읽어야지", "읽어야지"
맴맴 돌게 만들다가 읽어야 한다는 명령을 뇌가 내린걸까요 ?
그렇게 생각해보니, "읽어야 한다"라는 메시지는
저 위에서 우리에게 던지는 명령 처럼 느껴지네요.
또한 "그 책을 왜 읽어야 하는데 ?" 라는 질문에 대해 돌아오는 대답은 우리에게
"왜 아직도 그 책을 안 읽었냐 ?" 라는 핀잔으로 머쓱해질지도 모르죠.
그리고 일상 속에서 그 책에 대해 말할 수 있는 부분은, 200쪽, 300쪽 많게는
1000쪽 이상이 되는 책들에서 한 단락도 채 되지 못할 겁니다.
그리고 그 내용이 남들이 듣기에 재미 없을거 같으면, 그저 "읽었다."
한 마디로 끝나는게 대부분입니다. 뭐 감명 깊게 읽었다면
몇 마디 추가해서 말을 하겠지만요.
그렇기에 정말 그 책을 제대로 말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나마 그럴싸하게 떠들어 댈 수 있는 책은 대부분 "자신의 일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그런 내용은 자신의 일상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떠들어댈 수 있지만
거기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이 하는 일과 비슷한 사람 밖에 없을겁니다.
그렇다보니 여러 번 읽고 또 신경써서 읽지 않으면 단순히 "읽었다" 수준에서
일상 속에서 잊혀지고 희석되는 게 책 읽기입니다.
뭐 그런 의미로 이 책은 제가 떠들어댄 알맹이 없는 수다와 통하는 구석이 있습니다.
저자가 던지는 질문은 대략적으로 이렇습니다.
첫번째,
자신이 그 책을 읽었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알수 있을까요 ?
대부분은 이 책에서처럼 FB(읽었는데 까먹음)가 아닐까요 ?
사실 책을 읽으면서 꼭 무언가 남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 강박관념의 시작은 누군가에게 내가 읽은 책에 대해 말하고 싶어하는
혹은 자랑하고 싶어하는 일종의 속물근성일지도 모릅니다.
그 내용은 조금 더 뒤로 미뤄보도록 하죠.
두번째,
책을 대강 훑어보거나, 해설서나 요약본을 읽으면 그건 책을 읽은게 아닐까요 ?
책에 대해 평가 해야한다면 무조건 책을 정독해서 꼭 책의 내용 전부를 기억해야할까요 ?
오히려 정확한 내용을 기억해야한다는 강박관념들이
책의 대한 담론이 한계되어지는게 아닌가요 ?
세번째,
읽지 않았으면 무식한 놈이라고 이야기해도 되는걸까요 ?
읽었다고 해서 그게 꼭 자부심이고 교양이라고 불릴수 있는걸까요 ?
읽지 않은 책에 대해 읽지 않아도 그 책에 말할수 없다는 법이 어딨을까요 ?
그런 방식이 우리의 사고방식을 억누르고, 독서에 대한 편견을 만들어가는게 아닐까요?
"당신에게 독서란 뭐죠 ? 대체 그걸 왜 읽어요 ?"
글쎄요, 이 책을 읽으니까 혼란에 빠지네요.
진정한 독서란 무엇일까요.
사실, 이 만화가 어느정도의 해답일지도 모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