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일곱 송이 붉은 연꽃 샘깊은 오늘고전 3
허난설헌 지음, 이경혜 엮음, 윤석남.윤기언 그림 / 알마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난설헌 허씨의 시 모음집이다.
그녀를 안다고 생각했었다.
홍길동전으로 유명한 허균의 누이,사임당 신씨와 비견되는 여류문인.
그러나 이책을 읽고서야 비로소 그녀를 알기 시작했다. 

 *거울 속 난새
난새는 봉황과 비슷한 전설의 새로 그 고운 노래소리를 듣고자 중국의 어느 왕이 새장에 가두었으나 한 줌의 모이를 위해 노래하는 새가 아니었던 난새는 3년이 되도록 한 번도 울지 않았다고 한다.
난새의 아름다운 노래를 듣고 싶었던 왕이 궁리끝에 난새의 앞에 거울을 놓자 난새는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보고 구슬피 울기 시작했고,
사람의 마음을 파고드는 긴 울음 끝에 난새는 거울에 제 몸을 던져 죽고 말았다.
흔히 거울 속 난새라 함은 자유를 박탈당한 괴로움에 비유되는데 남동생과 더불어 글 공부를 할 정도로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친정과는 달리 난설헌의 결혼 생활은 그리 순탄치많은 않았던 것 같다.
남편과의 사이도 소원했고 시어머니에게는 인정 받지 못한 며느리였으며 아이 둘을 잃고 그 무덤가에서 태중의 아이를 우려하는 시를 지었던 난설헌.
스물일곱 꽃다운 나이에 유명을 달리 하기까지 그녀의 인생은 조선시대 여느 여성의 삶과 다르지 않은 울분과 한의 인생이었을 것이다.
여자라는 겉껍데기속에 너무도 고고한 정신을 지녔던 허 난설헌의 시 세계가 그녀의 유언대로 거의 불타 없어졌다는게 아쉽다.

 

*이 세상에 귀양 온 선녀 
난설헌은 신선의 세계에 깊이 심취했던 듯하다.
그녀가 남긴 시중 반 이상이 신선 세계를 노래한 것인데 제약된 현실에서 그 이상을 맘껏 펼치지 못하니 자연 몽상으로 위안을 삼을 수 밖에는 없었을 것이다.
이 책의 제목인 몽중시의 '삼구홍타(三九紅朶)' 역시 그녀가 꿈에 신선의 세계에서 두 선녀를 만나 그들의 부탁으로 지은 시로 알려져 있다.
절묘하게도 그녀는 스물일곱 되던 해에 조용히 세상을 떠났는데 과연 신선이 현몽을 한 것인지 혹은 자살을 했는지 의견 또한 분분하다.
중요한 것은 유교 문화권속에서 여자가 글을 읽고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다는 것이 커다란 흠으로 여겨지던 시대에 난설헌은 독특한 개성이 묻어나는 시로써 억압된 사회 구조에 항거한 것이랄 수 있겠다.

 *다시 시집가는 선녀 
신선세계의 여왕인 서왕모는 짝을 잃고 외로이 지내는 선녀 동비를 시선 술랑에게 시집을 보낸다는 내용의 시. 
'정숙한 여자는 두 남자를 섬기지 않는다.'라는 조선시대의 재혼 금지법으로 인해 쓸쓸하게 살아가는 여인네들의 마음을 헤아렸다는 이 시는 한 편으로 난설헌 자신이 할 수만 있다면 이혼이라도 해서 자신의 인생을 살고 싶은 욕구를 달리 표현한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본다.
그러나 남편과의 사이가 안 좋았다 해서 그녀가 고집세고 이기적인 사람은 아니었던 것같다.
반대로 다정다감하고 애교 어린 귀여운 시를 남기기도 했으니 처음은 그렇지 않았으나 시간이 갈수록 멀어지기만 하는 남편과의 거리는 그 골이 한층 깊게 느껴졌을 것이다.
어느 작품에서는 활기있게 뛰어 놀던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는 시도 있고 용맹무쌍한 남아의 기개를 칭송한 시도 있으니 그녀의 성격 됨됨이를 짐작케 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짧은 그녀의 생애중 한창 꽃을 피울 아름다운 시절을 별당에서 쓸쓸히 지냈을 그녀는 죽어서 신선 세계로 돌아가 행복하였을까?

 이 책은 어린이 용으로 나온 책이긴 하나 그 내용은 상당히 심오하다.
다듬어 쓴이가 바로 동화작가 '이경혜'이기 때문이다.
한시라 하면 어렵다는 선입견이 있어 널리 읽히지 못하는게 사실인데 작가는 좀더 쉽고도 이해하기 쉬운 번안 시집을 내 놓은 것이다.
게다가 원래의 시가 지니고 있던 향기나 감정을 흩어 놓지 않으면서 시 한 편 한 편마다에 붙인 해설은 내가 미처 알지 못하고 지나쳐 버린것을 되새김 해 알게 해준다.
이 책을 만나게 해준 문학동네 '알마'에게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