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지음, 프레드 포드햄 그림, 문형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빠져보던 프로에서 소개되어 화제가 된 책이죠.

책 소개에 빠져서 두 번이나 읽게 된 책 <멋진 신세계>

책을 읽어보고는 정말 놀라고 책을 한 번 읽어서는 이해하기 힘들었던 책인데요.

이번에는 그래픽 노블로 만나보게 되었네요.


멋진 신세계 그래픽 노블 _올더스 헉슬리


책을 출간한 시기는 정말 놀랍게도 1932년도 작품인데,

어쩜 이리도 놀라운 미래 사회 풍자소설이 탄생되었는지,

과학의 발달이 너무나 슬프게 다가왔던 책이기도 하네요.


한 번 책장을 넘기면서 내용에 빠져들면 그 책에서 헤어나기 힘든 내용이지만,

멋진 신세계 쉽지 않은 책이기에

그래픽 노블로 특별하게 만나보면 다른 느낌으로 이해되기도 하네요.

멋진 신세계 결코 가볍지 않으면서 단순히 읽고 덮기에는 살짝 무게감이 있네요.

책에 출간 당시에 시대적인 내용이 살짝 담겨 있는데,

이 책이 주는 가족이라는 의미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지요.

가족에 의미가 다르게 전해지면서, 

인간이 모두 배양실에서 태어나고 그들의 계급도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이라는 계급으로 나뉘면서 

수면학습실에서 세뇌되는 최면 학습을 통해서 자신에게 정해진 계급에 만족,

타 계급은 싫어하면서 증오하도록 학습시키는 등에 또 다른 의미가 

사라진 세상 속에서 알파 계급의 버나드 마르크스라는 주인공을 만들고

야만국의 존을 문명국으로 데려오는 이야기를 담고 있지요.

자신이 놓인 현재가 어떤 상태인지에 따라서 이 책에 해석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데,

스트레스가 심해져 있는 지금에 나에게 불행이 닥쳐와 있는 불안한 상태에서 

인간이 가장 행복한 순간이라도 생각하는 순간은 다르고,

모든 인간이 행복한 문명국 사회도 야만국의 존의 눈으로 보면 전혀 행복해 보이지 않기에

내가 생각하는 부분도 동일하게 느껴지네요.

정해놓은 목표에 도달해야만 행복을 얻게 된다는 말을 하지만,

행복은 불행 뒤에 찾아오면 더 크게 느껴지는 만큼,

불행이 없었다면 진정한 행복도 느낄 수 없기에 다를 수 있지요.

우리가 찾는 행복은 어떤 미래를 설계하게 될지 너무나도 궁금하고 

모두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는 것 같아요.

하나는 버리면 하나는 얻을 수 있다는 법칙 같은 것이 아닐까 싶네요.

내가 가진 것에 만족할 수는 없지만, 조금은 삶에 희망을 주면서 

조금은 노력하면서 달라진 삶을 기대해 보게 되는 것 같아요.

삶을 조금 다르게 해석하는 시간으로 멋진 신세계 다시 만나보게 되었네요.

    좋아요
    댓글
    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