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수꽃 초록별 샤미 SFF환경동화 10
고수진 지음, 해마 그림 / 이지북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록별 샤미10

은하수꽃

글 고수진, 그림 해마

단단한 용기 그리고 함께하는 마음으로

“지구의 초록빛을 찾아 줘!”

“반드시 바리별섬으로 가서 이 은하수꽃 씨앗을 심어야 해.”

기후 재앙이 시작된 지금

우리가 놓치면 안 될 마지막 기회 『은하수꽃』

먼지로 뒤덮인 지구, 말라 버린 희망

환경 오염과 이상 기후가 만들어 낸 악몽

언더시티에 소등을 알리는 사이렌이 울린다. 지하 도시의 밤이 시작된 것이다.

햇빛 한 줌 들어오지 않는 언더시티에서는 정해진 시간마다 울리는 사이렌과 중앙 광장의 거대한 조명으로 아침과 밤이 구분된다.

언더시티는 스마트 네트워크와 인공 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첨단 지하 도시였다.

그러나 수십 년이 흐르는 동안 자원과 에너지가 고갈되면서 어느새 손쓰기 어려울 정도로 쇠락했다.

작품 속 언더시티는 스마트 인공 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첨단 지하 도시다.

가까운 미래, 인간의 욕심으로 망가진 지구에 더스트 증후군이라는 병이 퍼진다. 사람들은 이를 피해 지하 도시로 몸을 숨기지만 이내 다가온 어두운 그림자에 희망을 잃는다.

콜록콜록 끊이지 않는 기침과 얼룩덜룩 보라색 반점, 삽시간에 찾아온 병은 많은 사람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끔찍한 병에서 모두를 구할 하나뿐인 치료제 은하수꽃을 연구하던 아르의 엄마는 아르에게 증상이 시작되자 더딘 연구에 결국 전설 속 은하수꽃을 찾으러 떠난다.

그런 엄마와 연락이 끊기자 아르 역시 언더시티를 탈출하려고 한다. 과연 아르는 무사히 엄마 그리고 은하수꽃을 찾을 수 있을까?

미세 먼지로 뒤덮인 하늘, 숨 쉬기 어려운 탁한 공기. 전 세계는 지구가 보내는 경고로 점점 위태로워지지만, 환경 오염과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부족하다.

거칠고 메마른 오늘의 지구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초록빛의 싱그러운 지구를 되찾을 수 있을까?

『은하수꽃』은 이를 나보다 타인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 그리고 단단한 용기에서 찾는다.

온갖 어려움과 불행에 맞닥뜨려 넘어질 때에도 함께라면 툭툭 털고 일어나 손을 맞잡고 다시 나아갈 수 있다.

이 작품은 환경 오염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가 놓치면 안 될 마지막 기회이자 희망인 ‘은하수꽃’을 선물한다.



손을 맞잡아 주고 등을 밀어 주는 친구와

은하수꽃을 찾아 바리별섬으로 가자!

『은하수꽃』은 인간의 욕심으로 망가진 지구에서 환경 오염과 이상 기후로 병든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다.

마스크와 헬멧이 없으면 독성 먼지에 중독되어 끔찍한 병에 걸리는 극한의 환경과 부족한 식량으로 싸움을 멈추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오늘날 미세 먼지를 피하기 위해 마스크를 쓰는 우리, 환경 오염과 이상 기후로 고통받는 전 세계인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주인공 아르는 여러 차례 큰 위기를 맞닥뜨린다.

더스트 증후군을 피해 지하 도시로 몸을 숨겼지만 끝내 병을 피할 수 없었고, 유일한 치료제인 은하수꽃을 찾아 떠난 엄마를 따라나섰지만 결국 만날 수 없었다.

하지만 아르는 좌절하지 않고 은하수꽃이 숨겨져 있다는 바리별섬으로 향한다. 어

떻게 이런 상황 속에서 멈추지 않고 나아갈 수 있었을까. 작은 힘이 모이면 거대해진다. 손을 맞잡아 주고 뒤에서 등을 밀어 주는 친구와 함께라면 가능하다.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

‘함께’ 만들어 가는 초록빛 내일

누구에게나 어둡고 어려운 순간은 찾아온다. 앞이 보이지 않아 깊은 슬픔에 빠질 때면 잠시 숨을 고르고 주변을 둘러보자.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그 자리에서 언제나 나를 기다려 주고 있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더는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에도 포기하지 말고 용기를 내 친구에게 손을 내밀어 보자.

“희망은 아직 끝나지 않았어”라는 아르의 말처럼, 어떤 어려움을 맞닥뜨려도 맞잡은 손과 함께하는 걸음이 우리를 희망으로 이끌어 줄 것이다.

깊은 여운을 주는 책이였답니다. 절망속에서도 희망을 찾고 용기를 내어보아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