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의 함정 - 가짜 뉴스와 미디어 리터러시 북극곰 궁금해 23
이사벨 메이라 지음, 베르나르두 P. 카르발류 그림, 김파비오 옮김 / 북극곰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극곰 궁금해 시리즈 23

좋아요의 함정 

이사벨 메이라 글| 베르나르두 P. 카르발류 그림 | 김파비오 옮김



l 디지털 원주민을 위한 지혜로운 인터넷 생활 지침서​

l 온라인에서 무심코 좋아요를 누르는 너를 위한 책

l 가짜 뉴스에 대처하는 현명한 온라인 생활 지침서


인터넷에는 왜 가짜 뉴스가 활개를 칠까? _가짜 뉴스에 현혹되지 않는 법 

오늘날 세상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은 전혀 새삼스럽지 않다. 

우리는 인터넷에서 뉴스를 보고, 정보를 검색하고, 친구를 사귀고, 감정을 소비한다. 

인터넷 없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 없다. 

무한대에 가까운 영토를 항해하는 동안, 우리는 자주 눈 깜짝할 새에 길을 잃는다. 

빛의 속도로 내달리는 인터넷을 쫓아가며, 우리는 늘 생각할 시간이 부족하고, 쉽사리 감정을 배출하고, 현실의 ‘나’를 망각한다. 

인터넷은 하루에도 수십만 권 분량의 정보를 쏟아낸다. 

구글에는 늘 질문에 대한 답이 준비되어 있으며, 어떤 취향과 편향이라도 그 견해를 뒷받침해 주는 ‘전문가’들이 등장한다. 

지난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백신이 자폐증을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하는 전문가가 등장했고, 그런 주장은 헛소리라고 꾸짖는 전문가도 등장했다. 

이 많은 정보 가운데 우리는 어떻게 진실을 가려낼 수 있을까? 무엇이 제대로 된 뉴스이고 무엇이 가짜 뉴스일까? 

아쉽게도 우리 뇌는 게으르다. 

기존에 쌓아 올린 신념과 관성에 따라 움직인다. 내 생각과 다른 주장은, 그게 사실이라도, 애써 무시한다. 

가짜 뉴스와 잘못된 정보는 우리의 확증 편향을 자양분 삼아 증식한다. 

인터넷 정보를 비판적 사고로 가려내기에는, 늘 그렇듯이, 시간이 부족하다. 작가는 사람들이 가짜 뉴스에 현혹되는 주요한 원인으로 확증 편향을 지적한다. 

또한 가짜 뉴스에 현혹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독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득해요.

신인류는 왜 소셜 네트워크에 열광할까? _디지털 원주민을 위한 생활지침서

청소년 세대는 휴대전화를 손에 들고 태어났다. 제대로 문장을 말하기 전에 휴대전화를 켜고 화면을 넘긴다. 

유전자부터 남다른 디지털 원주민에게 휴대전화는 또 하나의 손이다. 

제3의 손은 주로 의사소통 도구로 쓰인다. 

청소년들은 유튜브, 카카오톡, 틱톡,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에 열광한다. 

돌이켜보면 인류는 늘 집단과 무리를 이루며 생활해 왔으며, 호기심으로 새로운 이야기(콘텐츠)를 찾았다. 

무한대에 가까운 소셜 네트워크는 신인류에게 더없이 즐거운 놀이터이다. 

누군가의 사진과 영상에 ‘좋아요’와 ‘공유’를 누르며 도파민을 내뿜는다. 

누구라도 스스로 콘텐츠 생산자가 될 수 있으며, 심지어 직업으로 삼을 수도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세상은 언제나 눈부시게 반짝이지만, 그래서 더더욱 우리는 화이트 아웃에 빠지곤 한다. 

이제 우리는 소셜 네트워크에 게시하기 위해 현실을 조작한다.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게시하기 위해 화려한 옷을 걸치고, 값비싼 음식을 시키고, 멋진 풍경이 펼쳐진 장소를 찾는다. 

가상 세계의 ‘좋아요’ ‘공유’ ‘조회수’가 현실의 행복 지수를 결정한다.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무너지는 인터넷 세상에서 지혜롭게 생활하는 방법은 뭘까? 

이 책은 진지한 질문과 유머를 잃지 않는 논리적인 전개와 현명한 답을 찾을 수 있는 디지털 생활 지침서이다.


인터넷 세상은 결국 우리 손끝에서 시작된다!

우리가 보이지 않는 거인들이 쳐놓은 거미줄에 걸려 허우적거리는 나방이라고 해도,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가 개인과 사회에 비극을 불러일으켰다고 해도 우리는 여전히 휴대전화를 놓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작가는 낙관한다. 

왜냐하면 우리 뇌의 일부가 확증 편향에 기대며 게으름을 피울 때, 또 다른 영역에서는 새로운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는 신경세포(뉴런)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편리하고 화려한 거품 세상에 빠져 허우적거리지 말자고 경계한다. 

작가는 범람하는 정보에서 거짓과 진실을 가려내고, 보이지 않는 거인들의 상품이 아니라 주체적인 디지털 원주민으로 살아가고, 가상 세계가 아니라 현실에 발 딛고 살아가자고 제안한다. 


새로운 인터넷 세상의 시작은 놀라울 만큼 간단하고 쉽다. 

우리는 정보를 공유하기 전에 사실인지 확인하고, 자기 생각과 반대되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어느 정도까지 상품으로 남을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휴대전화 전원을 켜고 끄는 건 결국 우리의 손끝에 달려 있다! 


다시한번 생각해보고 결정에 신중을 기해야 겠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