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과서 수학으로 배우는 인공지능 3 - 수학아, 인공지능을 알려 줘! ㅣ 교과서 수학으로 배우는 인공지능 3
박만구 외 지음 / 주니어김영사 / 2022년 11월
평점 :

인공지능은 요즘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가는 밈! 핵심적인 과학기술이라 볼 수 있는데요^^ 저희집에도 인공지능 스피커들이 있는데요~ 시리랑, 샐리랑, 지니, 알버트가 있어요! 여러분들 댁에도 하나 이상 있으시죠? "샐리야~ 오늘 날씨 어때?", "지니야~ 조용한 음악 틀어줘" 등등 우리 생활의 일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인공지능이죠. 근데 인공지능이 어떻게 이런일을 할 수 있는지 혹시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는 사람, 혹은 그렇지 못한 사람으로 나눠질 텐데요. 이미 영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선진국에선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때부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인공지능 교육을 하고 있데요. 우리나라도 2025년부터 초중고등학교에서 지금보단 더 많은 시간동안 인공지능 교육을 할 계획이라고 하던데 ... 기대해봅니다!
*인공지능의 작동원리는 수학입니다* 아주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공지능이 처리하도록 하는데요. 이때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찾아내는데 수학을 이용해요. 그래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려면 수학을 연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는거에요^^
아이들이랑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신기했던! 챕터는 "사물인식"이에요. 며칠전 애슐리퀸즈라고 뷔페를 다녀왔었는데 음식을 먹은 후 접시를 치워주는 로봇이 왔다갔다 다니는거에요. 너무! 신기한거있죠! 호출버튼을 누르면 어느새 스르륵 테이블쪽으로 다가와 접시를 수거하고는 자리로 돌아가요. 그리고 사람이 지나가거나 어떤 장애물이 있을땐 피해가거나 멈추고요. 어떻게 작동하게 되는지 정말 궁금하더라구요! 마침 이 책안에 사물인식 챕터가 있어서 아이들이랑 흥미진진 하게 읽어보게 되었는데요. 바로 "화소" 였어요. 영어로는 픽셀! 이요. 사진을 확대했을때 사각형 모양의 점들이 보이는데 그게 바로 화소에요. 인공지능은 이미지데이터의 화소값을 계산하여 사물을 인식해요!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 아이들도 저도 넘넘 신기해서 정말 집중해서 책을 읽은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