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 자존감 수업 - 암기식 수학은 어떻게 아이를 망치는가
샬리니 샤르마 지음, 심선희 옮김 / 앵글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수학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즐기면서 자신감을 키우는 법을 배울 때 진짜 재미가 생긴다”
<수학 자존감 수업>은 수학 문제를 잘 푸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아니라, 수학이 즐거워지는 원리를 탐구하는 책이라서 무척 흥미롭게 읽었다. 저자가 강조하는 부분은 “타고난 수학 머리는 없다”는 사실이다. 수학을 잘하지 못하는 것은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자신감을 잃었기 때문이라는 말에 깊이 공감하게 된다.
나는 학창시절 수포자였던 터라 수학에 대한 두려움과 거리감을 오래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초등학교 3학년인 딸아이가 수학을 어려워할 때마다 어떻게 도와줘야 할지 막막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에게 건네줄 수 있는 이야기가 생겼다. “수학은 누구에게나 언어처럼 본능적으로 타고난 능력이다”라는 메시지는 나 자신부터 위로받는 기분이었고, 동시에 아이와 함께 나눌 수 있는 새로운 출발점이 되었다.
책에서는 수학을 통해 길러지는 힘에 대해서도 강조한다. 단순한 계산 능력이나 문제 풀이 실력이 아니라,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력, 어려운 상황에서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끈기, 그리고 패턴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창의성까지 수학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수학이 단순한 과목을 넘어 삶의 중요한 기술을 길러주는 과정이라는 저자의 시각이 신선하고도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특히 ‘읽고 쓰기처럼 수학도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즐길 수 있다’는 관점이 마음에 남는다. 그동안 수학은 늘 시험과 평가, 그리고 성적과 직결된 부담스러운 영역으로만 여겨왔는데, 이 책은 수학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한다. 아이가 문제를 틀리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배우는 과정’ 그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줘야겠다는 다짐도 하게 된다.
<수학 자존감 수업>은 부모에게는 아이와 수학을 대하는 새로운 언어를 제공해 주고, 교사에게는 교육의 방향을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수학에 두려움을 느끼는 모든 이들에게 자신감을 되찾게 해주는 따뜻한 안내서가 될 것이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