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사는 세상을 위한 미술관 인권 수업 사고뭉치 23
공주형 지음 / 탐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갖게 하는 책이다. 사람 사는 세상을 위한 미술관 인권 수업은 미술이 단순히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대상이 아니라, 시대의 흔적을 담고 인간의 권리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힘을 가진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이 책은 고대 그리스 조각부터 현대의 퍼포먼스 아트까지 다양한 시대와 장르를 아우르며, 미술 속에 담긴 인간의 삶과 사회적 메시지를 조명한다. 예술은 언제나 당대의 사회를 반영하고, 때로는 그 사회를 바꾸는 힘이 된다. 이를테면 로댕의 칼레의 시민이 영웅의 전형적인 모습을 벗어던지며 새로운 인간상을 보여주거나, 케테 콜비츠의 판화가 억압받는 사람들의 얼굴을 담아내는 것처럼 말이다.

책에서 다루는 작품들은 단순한 감상의 대상이 아니다. 그것들은 질문을 던지고, 불편함을 일으키며, 기존의 틀을 흔든다. 찰스 에버츠의 마천루의 점심 속 노동자들의 위태로운 모습, 에드워드 호퍼의 밤샘하는 사람들 속 고독한 노동자들의 일상은, 우리 사회가 아직 해결하지 못한 노동 환경과 인간다운 삶에 대한 고민을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예술은 우리가 미처 보지 못한 현실을 드러내고,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책은 인권 감수성을 기르는 데도 좋은 길잡이가 된다. 특히 청소년 독자들에게, 이 책은 단순한 미술 교양서가 아니라 자기 삶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넓혀주는 철학적 경험이 될 것이다. ‘나의 인권은 타인의 인권을 지킬 때 보장된다’는 메시지는 결국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연대와 실천으로 이어질 것이다.

결국, 이 책이 보여주는 것은 미술관이 단순한 전시 공간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상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창이라는 점이다. 미술을 통해 인간다운 삶을 고민하고, 더 나은 사회를 상상하는 경험을 하고 싶다면, 이 책을 펼쳐보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