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 인공 지능이 흉내 낼 수 없는 인간다움에 대하여
김재인 지음 / 우리학교 / 2024년 10월
평점 :
“인공 지능의 한계를 알게 될수록, 나만이 할 수 있는 일들이 보인다”
김재인의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는 청소년들이 흔히 느낄 인공 지능 시대의 불안과 혼란을 차분히 정리해 주면서도, 인간다움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도록 이끈다.
책은 단순히 인공 지능의 구조를 설명하는 것을 넘어,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특히 저자는 인공 지능이 지닌 한계를 가차 없이 보여주며, 그 빈틈 사이로 오히려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 더욱 빛나도록 한다.
예컨대, 챗 GPT나 미드 저니 같은 초거대 언어 모델의 한계를 언급하면서, “언어에 담기지 않은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인공 지능의 단점을 지적한다. 이 부분에서 독자는 인공 지능의 무한한 가능성 뒤에 숨겨진 빈틈을 보며, 인간이란 존재가 가지는 복합성과 심오함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또한, 저자는 인공 지능 시대에도 우리가 멈추지 말아야 할 배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융합의 시대를 맞이할 청소년들에게 수학과 글쓰기, 암기의 필요성을 짚어주며, 인공 지능으로 대체할 수 없는 인간다움의 토대를 어떻게 쌓아야 하는지 구체적인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인공 지능이 예술 작품을 모방할 수는 있지만 진정한 평가를 할 수 없고, 기계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지만 자발적인 창조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공부를 통해 인간이 가진 고유한 ‘용기’와 ‘창의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메시지가 진하게 다가온다.
결국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는 단순한 기술적 논의를 넘어, 독자가 인간다움에 대해 스스로 성찰하도록 돕는 철학적 사유의 장을 제공한다.
이 책은 단순히 공부의 필요성을 설파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본질을 바라보며 성장할 수 있는 용기와 지혜를 전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