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은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가 - 우리를 교묘하게 조종하는 경제학에 관한 진실
조너선 앨드리드 지음, 강주헌 옮김, 우석훈 해제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는 전 세계의 나라들이 주목하고 성공적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1순위 분야라 할 수 있습니다.

 

한 나라의 대통령이 여러 부분들에 대해 평가받을 때,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이 경제에 대한 부분이라는 것만 보아도 얼마나 어려우면서도 중요한 것인지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유례없는 세계적 어려움에 새로운 경기부양책과 활동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많은 찬반 논란이 생기고 이를 몸으로 느끼는 수많은 사람들이 경제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과정은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조너선 앨드리드의 책 <경제학은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가>는 경제학 교과서가 가르치는 개념들과 현대 사회가 어떤 식으로 상충되고 갈등을 빚는지를 보여줍니다. 저자에 따르면 대부분의 경제학 교과서는 자유시장 경제 질서가 시장의 본질이며, 정부 개입은 이러한 경제 질서를 해치는 것으로 가르칩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자유시장 경제 질서를 따르는 나라들은 시장의 자유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최소한의 정부 개입만 하는 것으로 정책을 운영해 왔지만, 점점 더 많은 나라의 국민들이 빈익빈 부익부 현상에 신음하며 정부에 복지 정책을 요구하고 무료 급식소와 푸드 뱅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대체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난 것일까요.

 

이러한 물음과 설명 외에도 본 책에는 일상 생활 속에서 한번쯤 생각해볼만한 많은 내용들이 들어있습니다.

 

협력할 것인가, 협력하지 않을 것인가?, 민주주의와 투표에 관한 이야기, 무임승차에 대한 경제학적 견해, 누군가의 가격과 인센티브 등에 대한 이야기, 왜 세상은 불평등해졌는가? 등 설령 경제에 관심이 없더라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저자는 경제학이 미시적으로도 거시적으로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한학문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본인의 삶에 가장 직접적으로 다가오는 학문 중 하나인 경제학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은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