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야나부 아키라 지음, 김옥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서양과 동양은 오랜 시간 서로의 존재를 모른 채 다소 상반되는 언어, 사회 등의 모습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세계는 어느덧 지구촌이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게 하루에도 동서양을 가리지 않는 수많은 교류가 일어나고 지구의 정반대 편에 있는 나라도 서로 연락을 주고받고 정보를 알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세계가 이러한 모습을 가지게 되기까지 수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동서양을 막론하고 타 국가를 이해하기 위한 첫 시작은 그 나라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었을 것입니다.

 

흔히 한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의 가치, 문화, 관습 등을 반영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는 굳이 타 언어를 익히지 않더라도 일상 속에서 느낄 수 있는데 흔히 유행어, 신조어로 불리는 것들은 이전에는 잘 쓰이지 않거나 없던 말이었지만 사람들이 최근 가장 많이 쓰는 말을 의미합니다. 이는 곧 이 단어들이 그 사회의 새로운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겠죠.

 

본 책 역시 이러한 언어의 가치와 의미, 역사를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번역어와 비교문화론을 연구하는 교수였던 저자는 번역과 관련 된 수많은 저서를 집필하였고 본 책은 그 중 일본이 최초로 서양의 사상과 학문을 받아들이던 당시 서양의 개념어를 번역하고 보급하기 위해 일본 지식인들이 가졌던 고민의 역사와 결과를 본 책에 담아냈습니다.

 

비록 일본에서 집필된 책이지만 아직도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단어 중 일본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이 많이 남아있을 정도로 역사적, 문화적 교류가 많은 나라인 만큼 이들이 고민했던 번역의 역사는 우리와 관련이 없다고 치부하기에는 꽤 흥미로운 점이 많습니다. 실제로 책에서 다뤄지는 번역어들은 모두 한국에서 쓰이고 있는 단어들이기도 합니다.

 

사회, 연애, 존재, 권리, 자유 등 책에서 다뤄지는 단어들의 최초 번역 역사를 통해 더욱 명확한 의미와 뉘앙스를 이해하게 된다면 단순히 한 언어가 받아들여 지는 과정뿐 아니라 단어와 사회에 대한 이해도가 한층 높아지게 되는 계기를 만들어줄 수 있는 책이라 생각되기에 한 번쯤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추천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