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 검증된 전략으로 안정적인 수익 만드는 파이어족 프로젝트 무작정 따라하기 경제경영/재테크
강환국 지음 / 길벗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주요 내용

퀀트 투자가 뭐예요?

* 퀀트투자의 정의

  1. 언제, 어떤 자산을 사고

  2. 얼마나 오래 보유하고

  3. 언제 기존 자산 비중을 조정하거나, 팔거나, 다른 자산으로 교체하는지,

즉, 투자에 관련한 모든 의사결정이 규칙대로 이루어지는

규칙 기반(rule-based) 투자

'퀀트'는 Quantitative의 줄임말이다.

퀀트 투자의 제1규칙은 계량화가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계량화할 수 없는 애매모호한 투자방식은

퀀트투자에 적합하지 않다.

왜 퀀트 투자인가?

첫째, 배우기 쉽다.

가치투자, 기술적 투자, 매크로 투자 등 다른 투자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따라할 수 있다.

둘째, 가성비가 좋다.

몇 개월에 몇 분만 투자하고,

그 사이에는 아무것도 안 해도 될 정도로

투자시간 대비 가성비가 좋은 투자방식이다.

셋째, 전략의 검증이 가능하다.

백테스트(backtest)를 통해 자신의 전략을 검증할 수 있다.

넷째, 심리의 영향을 덜 받는다.

심리적 요인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다.

퀀트 투자의 목표

첫째, MDD를 20% 이하로 제한하기

최대낙폭(Maximum Drawdown)은

손실이 커질수록 본전에 도달하기 점점 더 어려워지고,

손실 회피 편향의 심리적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만족할 만한 수익 내기

'낙원계산기'를 이용해 현재 본인의 상황에 맞게

보유 자산, 저축금액, 은퇴시기 등을 입력하여

파이어 필요 자금을 계산할 수 있다.

◆ 투자로 돈 버는 3가지 방법

1. 자산배분

2. 마켓타이밍

3. 종목선정

1. 자산배분

균형 잡힌 자산배분에는 주식, 채권 실물 자산이 다 포함되어야 한다.

①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자산군 매수: 주식, 부동산, 채권, 금, 원자재

② 상관성이 낮은 자산군에 투자

③ 자산군별 변동성을 비슷하게 유지(변동성과 비중이 반비례)

◎한국형 올웨더 - 연복리 수익률: 7.9%, MDD: -7.2%

구분

ETF 상품

투자비중(%)

위험자산

미국주식

TIGEER S&P 500

17.5

한국주식

KOSEF 200TR

17.5

KODEX 골드 선물(H)

15

안전자산

한국 중기채

KOSEF 국고채 10년

25

미국 중기채

TIGER 미국채 10년 선물

25

2. 마켓타이밍

최근 가격의 추세, 계절성, 경제지표, 밸류에이션 지표 등으로

마켓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다.

① 가격을 사용한 마켓타이밍: 동적자산배분, 역추세, 상대모멘텀

② 계절성을 사용한 마켓타이밍: 핼러윈 전략, 종가 베팅, 요일 효과, 월말월초효과,

연말연초 전략, 특정 월 전략

③ 경제지표를 사용한 마켓타이밍: OECD 선행지수, 기타 거시경제 지표

④ 밸류에이션을 사용한 마켓타이밍: PER, PBR

⑤ 기타전략

◎한국형 올웨더에 핼러윈 전략 결합(주식비중±15%)

자산군

11~4월

5~10월

한국 주식

25

10

미국 주식

25

10

15

15

한국 중기채

17.5

32.5

미국 중기채

17.5

32.5

연복리수익률

9.1

MDD

7.5

3. 종목선정

저평가된 기업, 즉 가치주와 성장하는 기업(성장주)에

투자해야 한다.

가치지표가 우수한 주식은 수익이 높다.

(PSR, PGPR, POR, PER)

→ 가치주+소형주 전략: 높은 수익률(42%), 높은 MDD(-54%)

성장지표가 우수한 주식의 수익이 높다.

(매출성장률, 매출총이익성장률, 영업이익성장률, 순이익성장률)

→ 가치주+소형주 전략: 높은 수익률(39%), 높은 MDD(-54%)

③ 가치지표와 성장지표가 우수한 성장가치주도 수익이 높다.

가치지표+성장지표

→ 가치성장주+소형주 전략: 높은 수익률(47%), 높은 MDD(-58%)

④ 대형주 수익은 전반적으로 낮다.

⑤ 소형주 수익은 매우 높다.

⑥ 개별 주식 전략은 연복리수익률이 매우 높으나,

MDD도 매우 높아서 투자자가 버티기 어렵다.

⇒ 따라서 MDD를 줄이기 위해 자산배분을 먼저 하고,

주식 비중을 퀀트 전략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다.

마치며

자산배분을 시작으로 마켓타이밍 전략까지는

최적의 투자전략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읽었다.

(물론, 그런게 책에 나올리는 없겠지만;;)

자산을 배분해서 경제상황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익을 올린다는 기본 아이디어(올웨더 전략)에서 시작해서

손실위험을 줄였지만, 그와 함께 수익률도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마켓타이밍을 부가해서

수익률을 개선하는 데까지는 내용이 연결됐다.

그러나 마지막 가장 관심이 가는 부분인

종목선정과 그걸 앞의 두 단계(자산배분, 마켓타이밍)와 결합하여

그래서 결국 최종적으로 추천할만한 전략이 무엇인지가 빠졌다.

용두사미랄까?

그래도 굳이, 내 나름대로 이 책의 결론을 유추해 보자면,

성장가치주의 수익률이 무척 좋지만,

MDD가 너무 크니까,

자산배분&마켓타이밍을 섞어서

그걸 좀 줄이라는 말 같다.

책 말미에 성장가치주+소형주 전략에 포트폴리오를

몰빵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하거나,

책에 나온 전략이 모두 괜찮으니 성향에 맞게 투자하면 된다는 건..

이 책의 전체 기조에서 벗어난 내용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