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야행로 창비세계문학 17
시가 나오야 지음 / 창비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암야행로』는 주인공 켄사꾸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이야기다. 비록 1인칭으로 서술되지는 않지만, 이 소설의 대부분은 켄사꾸가 겪은 일들, 그의 행동과 감정을 묘사하는 데에 할애된다. 실제로 한 대목에서는 켄사꾸가 쓰는 소설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그 내용은 바로 『암야행로』의 첫 부분과 일치한다. 이렇게 보면 『암야행로』는 켄사꾸가 쓴 소설이면서 동시에 켄사꾸에 대한 소설이 된다. 다른 한편으로 『암야행로』에서는 아버지와의 불화 등 작가 시가 나오야의 자전적인 체험들이 분신인 켄사꾸를 통해 전개된다. 그렇다면 켄사꾸를 기준으로 생각하든, 시가 나오야를 기준으로 생각하든 이 작품은 작가 개인의 경험을 사실적으로 써 나가는 소설, 즉 사소설(私小説)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줄거리는 간단하다. 켄사꾸는 어린 시절부터 왠지 부모에게 사랑받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으며 자라고 타인에게서 늘 거리감을 느낀다. 이런 소외감은 성인이 된 후 청혼을 거절당하면서 더욱 커진다. 이 모든 일의 이면에는 켄사쿠의 출생의 비밀이 숨어 있음이 밝혀진다. 할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의 부정한 관계에서 태어난 자식. 이 사실을 알게 된 켄사꾸는 큰 충격에 빠지지만, 마음에 드는 여자와 결혼하는 데 성공하면서 점차 안정을 되찾는 듯 보인다. 하지만 첫 아이는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아내와 사촌 오빠 사이에 부적절한 일이 일어났음이 드러난다. 다시 한 번 충격에 휩싸인 켄사꾸는 마음을 주체하지 못해 난폭해지고 한동안 가족과 떨어져 산 속 절에서 지낸다. 마음을 다스린 켄사꾸는 무리하게 등산을 하다 돌아와 병에 걸려 눕고, 마지막에는 아내가 그를 찾아온다.

켄사꾸의 방황과 여행, 사색으로 가득한 이 소설은 다소 지루하다. 이렇듯 한 인물에 집중해 그 내면을 그리는 소설을 읽을 때에는 그 인물에 얼마나 이입하느냐에 따라 독서의 집중도가 달라진다. 소설가라고는 하지만 제대로 글을 쓴다거나 책을 내고 활동하기보다는 아마 적당히 물려받은 듯 보이는 재산을 가지고 한량처럼 지내는 켄사꾸, 유곽의 게이샤들에게 여러 차례 이성적 관심을 느끼면서도 이런저런 사소한 계기로 금방 마음이 식어 버리곤 하는 변덕스러운 켄사꾸에게는 좀처럼 감정을 이입하기가 힘들다.(작품해설에 따르면 당대 일본 청년들이 이 캐릭터에게 크게 공감했다는데, 사실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갈대처럼 이랬다저랬다 하는 감정을 묘사하는 세세히 대목들에서는 작가가 굳이 왜 이토록 ‘사소한’ 것들까지 썼을까 싶기도 하다. 별것 아닌 일로 화가 났을 때 내 마음속에 일어났다 사그라지는 온갖 어린애 같은 감정들을 글로 하나하나 세세하게 적어 놓는다면 그런 묘사들과 비슷하지 않을까?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켄사꾸에게 어쩔 수 없이 공감이 가는 것도 사실이다. 『암야행로』는 너무나도 사소한 마음을 너무나도 섬세하게 그리므로 ‘사실적’이며 여기에 이 소설의 매력이 있다.

시가 나오야가 지나칠 정도로 ‘섬세하게’ 묘사하는 켄사꾸의 마음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불쾌함이라는 감정이다. 켄사꾸는 불쾌함을 느낀다. 썩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는 물론이고 때로는 가족들에게도, 심지어 스스로에게도 그렇다. 이는 무엇보다도 켄사꾸가 불쾌한 관계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며 그것이 어찌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햄릿의 우울함에는 그래도 출구가 있다. 그는 죽은 아버지의 복수를 갚기 위한 길을 가며 비극으로 치닫는다. 하지만 켄사꾸의 불쾌함을 해소할 방법은 없으며 그 자신이 이미 비극이다. 할아버지나 어머니가 살아 있었다면 그들을 원망할 수 있겠지만 두 사람은 이미 죽었고, 그렇다고 피해자라 할 수 있는 아버지를 탓할 수도 없다. 분출되지 못하고 억눌린 분노와 원망은 켄사꾸 안에 그대로 남아 그를 방해하고(그가 제대로 작품 활동을 하지 못하는 이유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더욱 큰 불쾌감을 불러온다. 켄사꾸는 타지로 여행을 떠나 가까운 사람들과 떨어져 지내면서 마음을 추스르려 하지만 그것은 미봉책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마음은 아내의 부정을 알게 되자 다시금 걷잡을 수 없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이때 켄사꾸는 또다시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결말 부분에서는 그전과는 달리 정말로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마음을 다스리는 듯하다.

 

“그러나 지금 그는 완전히 변했다. 일에 대한 집착 때문에 초조한 마음이 들긴 해도, 마침내 인류가 지구와 함께 멸망해버린다면 기꺼이 감수할 수 있으리라는 기분이었다.”(459쪽)

 

켄사꾸는 “무한한 인간의 욕망이 결국 어떤 의미에서 인간을 불행으로 이끄는 것은 아닐까.”라며 속세의 번뇌를 떨친 승려처럼 겸허한 태도를 드러낸다. 흡사 그의 아버지가 과거에 비슷한 일을 겪고도 분란을 일으키지 않은 것처럼, 켄사꾸도 아내의 잘못을 포용하기로 결심한 것일까? 켄사꾸는 이제야 진정으로 아버지를 이해하게 되었고, 스스로가 아버지, 즉 진정한 어른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솔직하고 적나라한 감정의 분출이나 토로 없이, 그런 성찰로 과연 그가 예전처럼 아내를 대할 수 있을까? 그가 병에 걸린 것은 어쩌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채 그를 답답하게 하는 마음의 앙금 때문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