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작은 세계에서 발견한 뜻밖의 생물학 - 생명과학의 최전선에서 풀어가는 삶과 죽음의 비밀 서가명강 시리즈 35
이준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서가명강 책으로 서울대 생명과학부의 이준호 교수님이 쓰신 <매우 작은 세계에서 발견한 뜻밖의 생물학>을 리뷰해 보려 합니다.

책을 처음 받고 느낌이 '책이 참 이쁘네'였는데요. 취향 저격의 핑크색이 참 맘에 드는 책이었어요. 인상 좋은 책의 저자인 이준호 교수님이 이 책을 쓰신 목적이 독자들이 '생물학이 꽤 흥미로울 수도 있구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돕는 것이라고 하셨을 만큼 지금까지 서가명강의 책들 중 가장 쉽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책이었어요.

생물학은 호기심에서 출발하고 끈기로 완성하는 학문이다.

호기심을 갖지 않으면 어려운 실험을 반복하고 실패를 거듭 겪으면서 끈기를 발휘할 동력을 찾기 힘들다.

호기심이 있어야 새로운 궁금증이 과학적 질문으로 발전할 수 있다.

생명과학의 최전선에서 풀어가는 삶과 죽음의 비밀

생명의 비밀과 신비를 풀기 위해 생명과학은 어떤 질문을 던질 수 있을까? 지구의 모든 생명이 갖는 보편적 진실을 찾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물어야 할까? 태어나고 성장하고 늙고 죽는 삶의 과정에서 벌어지는 모든 생명현상은 결코 우연히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생명현상의 비밀을 풀기 위한 연구는 두 가지 질문으로 귀결된다. 그것은 '생명현상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그리고 '생명현상은 왜 일어나는가'다.

이 책에서는 '생명과학을 연구한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야기를 하는데요. 그것은 바로 호기심에서 비롯된 흥미로운 질문을 던지는 것에서 시작하다고 해요. 예를 들어 '곤충의 변태' 즉, 애벌레-번데기-나비의 완전히 다르면서도 같은 생명체를 보면서 우리는 궁금증을 가지게 되겠죠.

이런 생명현상에 대한 호기심이 생명과학의 시작이고 그 질문들은 '어떻게 그 현상이 일어났는가?' 그리고 '왜 일어났는가?'를 밝혀내면서 발전한다는 것이죠

그 중 어떻게 일어났느냐를 찾다 보면 '기전', '메커니즘'과 같이 분자생물학, 유전학 분야로 넘어가고 유전학적으로 어떤 순서로 일어나는가를 연구하게 되고, 왜 일어났나를 알아보다 보면 진화로 그 연계 고리가 넘어간다고 해요. 자연 선택 된 생명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진화의 흐름을 찾을 수 있는 것이죠.


모델생물과 생명과학의 발전

교수님의 전공은 예쁜꼬마선충이라고 하는데요. 예쁜꼬마선충도 모델생물로 많이 쓰인다는 것을 처음 알았어요. 보통 초파리 이후 동물 실험을 하면 생쥐 원숭이로 간다고 생각했는데 중간 단계 모델생물로 예쁜꼬마선충과 제브라피시를 많이 쓴다고 해요.

이렇듯 인간은 '인간의 생명과학'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 생물들을 이용해 연구를 해왔는데요. 이런 모델 생물들이 없었다면 생명과학의 눈부신 발전은 없었을 것 같아요.


모든 생명은 하나의 세포에서 시작한다

지구상에 있는 모든 동물은 태어나고 죽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요. 특히 모든 동물은 수정란 하나에서 출발하는 것은 동일하나 다양한 세포를 가진 개체로 나누어지게 되는데요. 지금은 이렇게 수정란과 수정란에서 만들어진 세포의 유전적 정보가 동일하다는 것이 양서류 실험 및 복제양 돌리의 실험에서까지 밝혀졌어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시계를 거꾸로 돌려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바꿀 수 있는 데까지 이미 '야마나카 이펙트'로 밝혀졌다고 해요.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의 탄생과 죽음 사이에는 경이로운 생명현상이 가득하다. 특히 하나의 수정란이 많은 세포로 이뤄진 복잡한 개체가 되는 발생의 과정은 더욱 그렇다. 20세기 들어 모델 생물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발생학은 차별적인 유전자의 발현, 세포사멸 등 생명 현상의 기전을 밝히고 발생의 시계를 거꾸로 되돌리는 데까지 이르렀다. 그렇다면 21세기 발생학은 어디까지 나아가게 될까? ​

우리는 다양해서 아름답다

우리는 언제나 지구가 아름답다고 이야기한다. 그때 아름답다고 말하는 대상은 지구의 기후가 아니라 그 안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생명들이다. 한두 가지 생명이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무수히 많은 다양한 생명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기에 아름답다. 어쩌면 진화의 과정 속에서 다양성이 확보되었기에 지구가 아름다운 것인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는 생물학, 생명공학, 유전공학이 얼마나 흥미로운 학문인지 우리가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질문을 가지고 생물학의 발전을 모델생물의 케이스를 들어 쉽게 설명해 주었어요. 이제 막 노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단계에 들어왔기 때문에 아직 생명공학에서는 밝혀야 할 연구가 많을 것 같아 읽으면서도 생명공학의 미래가 상당히 기대되었어요.

첫째는 연구원이 되고 싶어 하는데 이 책이 생명공학 연구의 케이스를 보여줄 수 있어 좋을 것 같아요.

교양과학 정도로 시야를 확장하고 싶으신 분이나, 생명과학으로 진로가 있는 고등학생들이 읽으면 좋을 책인 것 같아 추천드려요.


#매우작은세계에서발견한뜻밖의생물학 #이준호 #생명공학 #생물학 #예쁜꼬마선충 #생물학 #교양과학 #모델생물 #유전자 #노화방지 #돌연변이 #죽음 #추천과학도서 #서가명강서포터즈 #21세기북스 #책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