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금융시장의 최소 단위, 사람
유발 하라리 : 인간이 고안한 것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효율적인 상호 신뢰 시스템이 돈이다.
돈의 가치는 물리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신뢰 체계가 만들어낸 심리적 가치다.
02. 주식 시장
구매자와 판매자의 마음이 동의하여 형성하는 상품의 가치
사람의 욕구는 의식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대체로 자신도 모르는 무의식적 방식으로 작동한다.
주식에서 최종 매매는 사람이 한다.
가격 : 구매자가 상품을 사기 위해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돈 혹은 가치
주가는 시장 참여자들이 합의한 가격
유진 파마, 효율적 시장 가설 : 정보가 주가에 반영되어 있어 평균 이상의 수익을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주가는 합리적이다.
로버트 쉴러 교수 : 주가는 심리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시장은 대체로 합리적인 변화로 작동하다가 가끔 중요한 시기에 비합리적인 변화가 우세하게 작동한다.
마이클 보부신, 복잡계 이론 :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시장 가격은 없다. 투자자의 다양성이 실패하는 지점에 이익을 볼 수 있는 지점이 나온다.
찰리 채플린 :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 주식도 그렇다.
03. 투자 행동
성공한 투자자의 조언은 지키기 어렵다. 사람마다 다 다르니까
유전적, 환경적 차이로 의사 결정 방식이 다양하다. 뇌가 다르다.
지연 할인 : 결과가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결과의 주관적 가치가 감소한다.
- 지금 5만 원을 10일 뒤 10만 원 보다 선호
확률 할인 : 가능성이 감소하면 주관적 가치도 감소
- 100% 확률도 5만 원 보다, 95% 확률로 10만 원을 선호
중독 : 작지만 즉각적인 보상 선호 + 낮은 확률에서 높은 보상을 선호
대니얼 카너먼 : 금융 시장의 의사결정이 반드시 돈에만 관계된 건 아니다. 다양한 욕구들이 작용
주식 시장에 영향을 주는 욕구
1) 생존과 안전의 욕구 : 불확실한 미래 대비, 정부 부동산 억제로 주식시장에 몰림,
2) 성장과 실현의 욕구 : 자본주의는 인간의 기본적인 성장 욕구를 인정하고 충족, 기업의 성장과 함께 참여
3) 권력과 지배의 욕구 : 주식 시장에서의 경쟁, 기업도 개인도
4) 자극과 흥분의 욕구 : 게임하듯 주식 차트를
욕구 : 배고픔, 음식으로 해소 가능
욕망 : 새로운 음식을 먹고 싶은 마음, 배고픔이 해소되어도 욕망은 지속적
주식 시장에서는 채워지지 않는 욕망으로 인해 실패하는 사람이 많다.
- 자기가 마음먹은 대로 원칙을 지키지 못하는 이유
04.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
뭐 사야 해?, 언제?
투자자의 투자 생각을 만드는 과정,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힘을 키우는 습관이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