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보별 ㅣ 창비아동문고 227
나가사끼 겐노스께 지음, 김병호 그림, 양미화 옮김 / 창비 / 2006년 8월
평점 :
평소에 일본 작품을 읽으면서 참 재미있는 책들이 많다는 생각을 하긴 하지만 언제나 전쟁이야기에서 자신들은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인 듯 비쳐지는 작품들이 많아 어쩐지 석연치 않은 부분들이 많았는데 이번 작품도 처음에는 그렇게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러나 '파리'의 오가와를 보면서 결국 일본이 가해자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일본국민 모두가 다 나빴던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잘못을 일으키는 장본인은 당시 정치를 장악하고 있던 일부 제국주의자들이었을테니까요. 이 책에 나오는 세 명의 바보들도 결국은 이 전쟁으로 불행해진 피해자라고 봐야 하겠지요.
군대에 징집당해 끌려간 곳이 포탄이 쏟아지는 전쟁터가 아니라 한가로운 중국의 농촌이라는 점도 당시의 상황을 너무나 잘 보여줍니다. 그 안에서 불안해하며 어떻게든 살아남으려고 한 바보들을 바라보며 가슴이 저밈을 느낍니다.
'파리'에서 마야마는 동생과 닮은 중국 소녀에게 양갱을 꼭 주고 싶어 필사적으로 파리를 모으고 그 때문에 오가와는 목숨까지 버렸는데 그토록 보고 싶었던 그 소녀의 미소는 양갱이 아니라 전쟁이 끝났다는 소식에서 볼 수 있음에 자신도 모르게 서러워짐을 느낍니다.
일본 특유의 분위기는 물씬 풍기지만 또 다른 느낌이 있는 <바보별> 전쟁을 모르는 세대를 위해 씌여졌다는 원종찬님의 그 한마디의 말은 이 작품 전체에 대한 그 어떤 해설보다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몇년 전에 <나무 의자와 두 사람의 이이다>라는 일본 동화를 읽고 많은 감동을 받았는데요, 두 작품을 같이 읽고 전쟁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면 보다 성숙한 아이들이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