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처음 가는 마음 창비청소년시선 36
이병일 지음 / 창비교육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생각했던 '시'라는 존재는, 온화하거나 정돈된 어투로 좋은 글귀를 적어내는 것이었다. 시의 주제와 소재는 다양하겠지만, 결국에는 읽기에 눈살이 찌푸려지거나 혹은 거부감이 없는 시만이 좋은 시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처음가는 마음'시를 읽고 나의 생각이 한참 잘못되었음을 깨달았다.

이 책은 시인 이병일이 청소년의 시선에서 그 성장의 흐름 속의 일상과 일탈들, 그리고 고민과 생각들을 담아내고 있다. 그 청소년의 시선이라함은, 모범생이거나 혹은 부모님 말씀을 잘 듣는, 말썽이라고는 눈꼽만큼도 피우지 않는 바른 청소년의 시선이 아니다. 이병일 시인은 회의감도 느끼고, 정체성을 확실히 하지 못하는, 고통에 민감한 한 소년의 눈으로 시를 써내려가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깨달음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청소년들이 그들의 삶을 되돌아보고 공감하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있다.

가족의 얘기, 학교의 얘기, 자기 자신의 얘기, 일상의 얘기, 상상의 얘기 등을 청소년의 시선과 말투에서 가감없이 자유롭게 표현해내고 있다. 우울한 이야기가 지속되는 것도 아니며, 우울한 이야기더라도 청소년의 따뜻하고 가벼운 서정의 세계로 풍덩 빠져들게 하고 있음에 실로 감탄을 감추지 못했다.

시인 이병일은 이 시를 써내려가며 본인의 과거를 되돌아보았다고 한다. '내가 모르는 나', '내 갈 길 간다', '마음을 쓸 줄 아는 사람' 이라는 세 가지의 큰 타이틀 아래, 각각 너무 마땅한 다양한 시들이 담겨져 있다. '내가 모르는 나'는 청소년 시기에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거나 혹은 자신의 보이지 않는 면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느끼는 여러가지 감정들을 담았다. '내 갈 길 간다'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지와 뜻대로 행동하고 나아가며 성장하는 청소년의 삶과 성장과정, 고민과정을 담았다. '마음을 쓸 줄 아는 사람'에서는 점점 마음도 몸도 커져가는 청소년이 자기 자신만 생각하는 이기적임이 아니라, 주변사람들을 챙기고 생각하는 모습으로 발전해나가는 모습을 담았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시선에서 그가 느끼는 가족에 대한 감정과 애틋함, 가끔은 원망스러움까지. 여러가지 복합적인 감정들을 이 시를 읽는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게끔 풀어내고 있다. 사실 내가 그동안 생각했던 '좋은 시'의 기준은 읽었을 때 좋은 내용의 혹은 좋은 말투의 그렇지도 않다면 좋은 느낌을 주는 시였다. 하지만 꼭 '좋은 시'가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꼭 바른 내용의 시가 아니어도, 일탈의 느낌을 주는 시라고 하여도, 그 나름대로 대단한 가치가 있으며 다른 방면으로 독자들에게 가르침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세상에 슬모없는 것은 없다. 나는 쓸모없는 것의 쓸모를 잘 알고 있다.'라는 시인의 시 속 한 구절처럼, 청소년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자신의 소중함, 주변사람들의 소중함을 느끼기를 바란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의 빛나는 가치를 가슴 깊이 느끼고 간직할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리브와 레앙드르 기린과 달팽이
알렉스 쿠소 지음, 자니크 코트 그림, 윤경희 옮김 / 창비교육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다 관계에 직면하게 된다. 사람과 사람이던, 동물과 동물이던간에 말이다. 이 책은 바닷속에서 남쪽을 향해 가는 레앙드로라는 곰과 북쪽을 향해 가는 올리브라는 문어가 서로를 만나는 여정을 담았다.

중간중간 수많은 장애물들을 거쳐서 서로의 존재를 알려고 하지만, 항상 타이밍이 엇갈려 만나지 못했다. 상대가 누구일지는 모르지만, 각자 상대방을 위한 편지를 남겼고, 그 편지를 읽으머 서로를 향해 찾아가는 내용이다.

둘이 서로를 향해 가는도중에 마주쳤지만 서로를 몇번이나 알아보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아직도 서로 모르는 사이였기 때문이다. 나는 이 부분에서 공감이 확 되었는데, 그 이유는 사람과 사람이 서로 관심이 없고 모르는 사이일때는 지나가도 모르지만, 아는 사이가 된 후로는 더 눈에 밟히고 알아차릴 수 있는데, 딱 그 느낌의 문장이었기 때문이다. 둘은 기나긴 여정을 떠나고 있지만, 계속해서 외로움을 느꼈다. 곁에 누가 없기 때문이었다. 외로움을 잘 느끼는 나는 이런 모습이 너무나 공감이 갔다. 레앙드로는 바위산에서 올리브를 기다리고, 올리브는 바위구멍에서 레앙드로를 기다렸지만 또 한번 타이밍이 엇갈려서 서로는 마주치지 못했다. 이제 마지막으로 그들은 서로의 외모를 묘사하며 서로를 찾을 수 있도록 올리브는 주황색 목도리 한가닥을, 레앙드로는 줄무늬 옷감 조각을 서로에게 남겼다. 이제 드디어 그들은 서로 만날 수 있었고, 금세 친해지며 좋은 시간을 보냈다.

이렇게 머나먼 북쪽 끝과 남쪽 끝에서 친구를 찾아 나선 올리브와 레앙드로의 바닷속 이야기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아름답다.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새로운 인연에 대한 기대감을 품는다. 누군가를 만나길 바라며 어디론가 떠나고, 도전을 하는 것이다. 세상은 넓고 방해물은 많지만, 서로 만날 인연이라면 어떻게 해서든 만날 수 있는 것임을 깨닫게 해준 책인 것 같다. 요즈음 인간관계에 대해 생각이 많고 고찰하는 시간을 갖는 나에게, 따뜻함을 안겨준 레앙드로와 올리브였다.

관계라는 것은 드넓은 바다를 헤엄쳐나가는 것과 같다. 나와 마음이 맞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아닌 사람도 있는 것이다. 그 넓은 바다에서 마음 맞는 사람이 당장 없다고 해서, 혹은 누구에세 상처를 받았다고 해서 나와 맞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지 않길 바란다. 나또한 많은 인간관계에 데이면서 깨달은 바가 많다. 이 책을 읽고 나와 맞을 사람은 어떻게 해서든 맞으며 나와 만날 사람은 어떻게 해서든 만나고, 그 관계와 내 스스로를 소중히 여겨야 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두 살 장래 희망
박성우 지음, 홍그림 그림 / 창비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보통 장래희망을 정할 때, 무슨 직업이며 어떠한 일을 한다하여 선뜻 다가가거나 다짐하지 못할 때가 많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장래희망의 길을 헤매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아이들이 훗날 미래의 직업을 결정하는데 느끼는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와준 책이다. 명확한 직업의 이름이 나와있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주변에서 흔히 쉽게 볼 수 있는 '~어떤 사람' 의 주제로 나와있다. 아이들이 어떤 사람이 되고싶은지를 정할 때, 무조건 직업명을 운운하는게 아니라 진짜 꿈을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이 어떤 사람이며,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잘 하는 지 깊이있게 고민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꼭 거창한 꿈이 아니더라도 모두가 훌륭하고 중요한 일을 하는 사람이 될 수 있음을 일깨워주는 책이다.

자전거를 잘 타는 사람, 주사를 잘 맞는 사람, 다리가 튼튼한 사람, 솔직한 사람, 고민을 잘 들어주는 사람, 귀 기울이는 사람, 예술을 가까이 하는 사람, 곤충에 대해 잘 아는 사람,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사람 등, 직업이라고 할 수 있으면서 직업이라고는 할 수 없는 기본적인 것들을 갖춘 사람이 될 수 있게끔 안내하고 있다. 아이들이 직업, 즉 장래희망에 대해 어렵게 생각하고 느끼는 경우가 다분한데, 이 책은 장래희망이 아이들 스스로 지킬 수 있고, 해낼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겪을 수 있는 것들임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책의 말투가 아이들에게 지시하거나 명령하는 것이 아닌,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이야기를 함으로써 아이들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있다. 실제로 아이들과 직접 대화하는 어투를 쓰면서 아이들이 책을 읽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돌봐주는 혹은 자신에게 용기를 주는 어른과 면대면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그림체도 부드럽게 그려졌으며, 각 ~어떤 사람에 맞는 구체적인 모양새의 그림으로 등장인물을 표현하고 있는 점도 참 좋았던 책이다. 아이들이 어렵지 않게, 부담없이, 막힘없이 술술 읽을 수 있는 책이며, 자신의 꿈이 무엇일까 고민하는 아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만한 책임이 확실한 것 같다. 책을 읽는동안 아이들은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달을 수 있으며 행복감을 얻을 수 있다. 아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자신이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는 책인 듯 하다.

나도 이 책을 읽고 그동안 내가 놓치고 살았던, 사소한 것들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또한 사람이 꿀 수 있는 꿈은 단 한가지가 아니며, 몇가지, 수십가지를 꿈꾸며 날아갈 수 있음을 느꼈다. 많은 어린이, 어른들이 이 책을 읽고 자신이 정말 하고싶은 꿈을 생각해보고, 찾기를 간절히 소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