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르미도르 1~5 세트 - 전5권 - RETRO PAN
김혜린 지음 / 거북이북스(북소울) / 2023년 3월
평점 :

적은 용돈으로 꼭 사보던 만화 잡지가 있었습니다. <댕기> 제목도 예쁘고, 그림도 예쁘고, 만화도 재미있었죠. 여동생이랑 용돈을 합쳐서 한 달에 2권씩 사면서 행복했던 고등학교 시절이었습니다. 그때 댕기를 통해 <불의 검>을 알게 되었고, 요즘 말로 하는 앓이에 빠졌죠. 사랑이라는 것이 이처럼 아플 수도 있다는 것과 만화가 이렇게 뛰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후로 김혜린은 여고시절 낙인 같은 사람이 되었죠. 그 김혜린의 초기작이라니, 그것도 서평단에서 만나다니. 놀라움을 갖고 프랑스 혁명 가장 뜨거웠던 테르미도르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작가 김혜린은 1962년생입니다. 사범대 재학 중 장대한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 휘말린 운명과 사랑, 인간과 여성, 권력과 민중, 억압과 투쟁, 고통과 희망을 정교하게 설계하고 피를 토하듯이 그려내기 시작했죠. <북해의 별>, <비천무>, <테르미도르>, <불의 검>등 김혜린이 창조해낸 대서사 장편 만화는 한국 순정만화 역사의 위대한 자산으로 오롯이 남아있죠.
이야기는 프랑스 혁명의 가장 뜨거웠던 달(테르미도르)를 배경으로 3남녀의 혁명과 엇갈린 사랑에 대해 나오고 있어요. 귀족이었던 줄르와 알뤼느, 출신성분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미친 여자의 아들이라 불리는 유제니가 주인공입니다. 이들은 황금빛 레몬 숲에서 어릴 때 잠깐 만난 적 있었지만, 각자의 삶을 삽니다. 시간이 흘러 어른이 된 줄르와 알뤼느, 유제니는 각자 다른 방식으로 혁명을 이해하고 참여하게 됩니다. 증오심에 불타는 평민과 노예들에 의해 알뤼느의 집은 불타고, 부모님들은 모두 돌아가시게 됩니다. 마침 방화가 일어났을 때 함께 있던 줄르도 폭도들의 칼에 부상을 당하고, 알뤼느는 철저히 혼자가 됩니다. 자신이 사랑했던 줄르를 살해한 유제니에게 복수하기 위해 삶을 살아가죠. 이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자신만큼 만 이해한 혁명에 가담합니다. 유제니는 혁명군의 행동대장으로, 알뤼느는 왕당파의 정보 수집원으로, 줄르는 혁명지의 기자로 가담하죠. 이들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가장 뜨거웠던 테르미도르에서 승리자는 누구일까요? 만화가 쉽게 읽힌다는 편견을 깬 촘촘한 역사적 사실 위에 세워진 세 남녀의 혁명 속으로 함께 따라가 봅시다.

다 똑같아...! 저들은- 자신의 오만한 소신과 야망을 그럴듯한 포장지로 싸놓은 채 타인의 피를 요구한다. (2권 56페이지, 줄르의 독백)
혁명은 피를 부르고, 그 피는 가진 자의 것이 아닙니다. 혁명의 원래 뜻은 바래지고, 남는 것은 힘 있는 자의 오만한 소신과 야망이죠. 그들은 그걸 듯한 포장지로 싸놓은 채 자신의 피가 아닌 타인의 피를 요구해요. 혁명이라는 것이 우리 역사에서도 그러했듯이 늘 가장 약한 자들의 피를 먹이 삼아 힘을 키워갑니다. 동학 농민혁명도 그러했고, 3.1만 세 운동도 그러했죠. 어수선한 혁명의 시기에 자신의 욕심들을 채우며 빠르게 자리를 옮기고, 노선을 갈아탄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사는 것은 보기도 인정하기도 힘듭니다. 이제 혁명을 보는 것은, 경험하는 것은 쉽지 않을 지도 모르겠어요. 그렇다고 혁명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매일의 삶에서 자신과 뜨거운 혁명을 치르는 사람만이 인생의 진정한 승리자가 아닐까요? 타인의 피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뜨거운 피를 제물 삼아 자신의 삶 위에 치열한 혁명을 펼치는 사람만이.

개인 개인으로 접하면 다 이해될 듯하고 옳은 듯한 사람들이 왜 집단이 되면 뭉뚱그려진 무언가로... 소름 끼치는 숨소리로 변해버리는지. 집단의 힘... 난 그 광기가 무서워요. (3권 129페이지 알뤼느의 대사 중에서)
치열하게 싸우는 요즘 정치 뉴스에서 누군가 한 말입니다. 국회의원 한 명 한 명은 다 괜찮고, 성품도 좋은데, 왜 당으로만 가면 대화도 안 되고, 막무가내가 되는지 모르겠다고요. 알뤼느가 귀족의 체포를 막지 못해 미안하다고 하면서 하는 말입니다. 자신에게 직접적인 피해나 억울함이 없더라도 집단이라는 무리 속에 속해서 잔인해지고, 멈출 수도 없는 폭력에 대해 말해요. 뭉뚱그려진 무언가가 되지 않는 개인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생각해 봅니다.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에 범람하듯 쓸려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요. 자기 자신이 있어야 합니다. 무엇에도 휘둘리지 않는 단단한 자기 자신. 그런 자기 자신을 위해 역사를 공부하고, 문학을 읽으며, 사랑을 배우죠. 집단이 광기를 내뿜지 않도록 정치가 정치로서 작동했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봅니다.

나는 묘석 속에 누워있지 않을 테다! 나는 하늘 속에서 쉬지 않을 테다. 나는 땅 위에...
(5권 113~114 유제니의 마지막)
얼마 전에 읽은 <아버지의 해방일지>라는 책에서 아버지는 실패한 혁명을 평생 지고 사셨습니다. 유제니는 휘몰아치는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가장 신뢰했던 친구의 처형, 멘토로 믿고 따랐던 사람의 처형을 경험합니다. 그럼에도 자신은 혁명의 한가운데 가장 치열한 자리에서 떠나지 못하죠. 알뤼느를 통해 사랑이라는 감정을 처음 배우고 낯설어하고 편안해 하고 싶어 하기도 하지만, 자신의 자리를 땅 위에 돌려놓습니다. 자고 나면 바뀌는 혁명세력들에 의해 감옥에 갇히게 되고, 한때 자신의 동료였던 이의 도움으로 감옥에서 나오게 됩니다. 그 후에 잠깐 알뤼느와 재회하기도 하지만, 어머니와 자신이 살았던 수도원에 가서 최후를 맞게 됩니다. 혁명가에게 실패한 혁명을 등에 지고 사는 것은 어쩌면 죽음보다 더 한 고통일지 모릅니다. 그래서일까요? 유제니가 마지막을 선택한 것은. 자신의 마지막을 혁명가처럼 당당하게 결정한 모습이 한 페이지에 다 담기지 않는 힘이 느껴집니다. 흑백이지만 분명하게 느껴지는 붉은 태양과 선명한 피와 그 피를 머금고 이제는 자유가 된 붉은 스카프까지 색감까지도 느껴지는 탁월함이 느껴져요. 한참을 그의 마지막에 머무릅니다. 유제니는 만화 속 인물만이 아닐 것 같은 느낌으로. 이름 없이 죽어간 많은 사람들일지도 몰라요. 광주에서, 제주에서, 고문실에서...
테르미도르는 어렵습니다. 김혜린이기 때문이고, 제가 잘 몰라서이기도 합니다. 프랑스 혁명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잘 이해되지 않는 것은 제가 부족해서지 작가의 잘못이 아닙니다. 역사를 배워야 함을 만화를 읽으면 깨닫게 될 줄을 저도 몰랐습니다. 누가 가상의 인물이고 누가 실존 인물인지도 구별하지 못하겠고, 기사나 시가 같은 독백도 작가가 쓴 것인지 인용한 것인지 구별하지 못합니다. 물론 인용한 것이라면 주석이 있겠지요. 그만큼 뛰어나다는 얘기입니다. 마치 그 안에서 주인공의 한 사람으로 살아본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평생 자신을 버린 남자를 그리워하다가 미쳐가는 엄마를 돌본 유제니가 어머니의 죽음 앞에서 느끼는 감정은 무어라 설명하기 어렵죠. 그냥 어머니의 묘위에서 쓰러지는 것 밖에. 또한 알뤼느를 남겨 두고 자신의 마지막을 위해 수도원으로 갈 때의 마음도 모르겠습니다. 그냥 만화 주인공이라고 넘기기엔 사실감과 안타까움이 너무 큽니다. 꼭 진짜 살아 있는 사람 같으니까요. 이렇게 써놓고는 자신이 한없이 한심해 보입니다. 이 정도 밖에 보지 못하고, 느끼지 못하고, 또한 쓰지 못하다니...
만화의 품격을 높여준 김혜린의 작품을 만나 감사합니다. 어린 시절 <불의 검>의 주인공 때문에 아팠고, <비천무>의 주인공으로 인해 가슴 아프다, 가슴 저민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를 배웠습니다. 코끝을 간질이던 라일락향이 나고, 설렘으로 서점으로 향하던 봄밤이 어제처럼 분명하게 떠오릅니다. 추억을 넘어선 추억. 언제가 되어도 바래지 않을 이름 김혜린입니다. 스마트폰의 총천연색의 웹툰이 요일마다 나오는 요즘이지만, 종이책을 넘기며, 흑과 백으로만 그려진 그림들을 통해 위안을 얻습니다. 화려한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왠지 따라오지 못할 흑백의 품격 같은 것, 흑백 사신의 아련함 같은 것이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추억의 한 페이지 속에 잠들어 있던 우리의 주인공들을 꺼내 보세요. 그때와는 다르게 말을 걸어올지도 몰라요. 혁명을 꿈꾸었던 젊은 날에서 멀리 떠나와 있는 지금, 그들의 나이 들지도 않고, 식지도 않는 열정을 만나실 수 있을 겁니다. 비록 내 삶의 자리가 꿈꾸던 자리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때 우리가 꾸었던 꿈이 거짓은 아니니까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