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을 끌 거야! 괜찮아, 괜찮아 5
제임스 프로이모스 글.그림, 강미경 옮김 / 두레아이들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에서 텔레비젼을 보는 일은 거의 없는 듯
대신 특별히 봐야 할 다큐나 정보등의 프로그램은 보여줄려고 한다
대신 영어 흘려듣기를 위해
 디비디를 시청하는 편이라
티비랑 완전 떨어질 수 없는 관계임은 분명한 듯
명절에 할아버지댁을 다녀오면
재미들린 티비시청에
아직은 엄마의 테두리안에서
환경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아이들이라는 생각이 든다
책 제목만 보고도 어떤 내용인지 궁금했다 

 

주인공인 토드의 엄마 아빠는
너무 바빠서
"가서 텔레비젼 보렴"
이란 말을 자주 한다
 
바쁜 부모님이라
학부모 회의때도 누가 토드를 데리고 갈지를 놓고 의논한다
그때
텔레비젼이 토드를 데리고 가겠다고 ~~

 

그런 토드와 텔레비젼을 사람들은
이상하게 쳐다보지만
텔레비젼은 금방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었고
사람들은 텔레비젼을 칭찬하기 시작한다
 
선생님도 토드에 대한 상담을 텔레비젼에게 하게 되고
토드의 모든 생활은 텔레비젼이 책임지게 되지
텔레비젼은 중대한 결정을 하게 된다
토드를 정식으로 입양을 하고자~

 

토드의 부모님은 화가 머리끝까지 났다

 

 

토드의 부모님은 텔레비젼과 이야기도 나누고
하물며 텔레비젼 흉내도 내본다
나도 생각해보면 몸이 지치고 힘들때
아이들 영어라는 명목으로 디비디를 많이 보여줄때도 있기에
난 토드의 부모와는 달라 라고는 말할 수 없는 듯 하다
만약 나에게 텔레비젼이 너의 아이들을 입양하겠다고 한다면
난 어떻게 할까?
잠시 고민해 본다
답은 책의 제목인 듯~
텔레비젼을 끈다..
그리고 아이와 소통하는 시간을 많이 가진다는 것...
아마 이 책은 텔레비젼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부모와 아이간의 소통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지 않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리 나는 물감 상자 - 색과 소리의 추상화가 칸딘스키 스콜라 똑똑한 그림책 3
바브 로젠스톡 글, 메리 그랑프레 그림, 염명순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와 이번 여름방학에는
미술관 전시를 많이 다녔어요
작품을 보고
 화가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좋은 시간이였지요
예전에는
마냥 어렵게만 느껴졌다면
지금은 그 화가를 이해하게 되고
왜 저런 작품이 나왔는지
알게되니~
색과 소리의 추상화가 칸딘스키?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이 화가는 어떤 화가일까가 너무 궁금해졌어요~

 

주인공의 이름은 바실리 칸디스키입니다

붓으로 물감을 휘젓자
소용돌이 치는 색깔에서
오케스트라의
멋진 교향곡 연주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지요

 

도윤이와 책을 읽으면서 물감을 섞을때마다
소리가 들린다는 바샤의 이야기에
공감보다는 칸딘스키의 이야기를 창작동화처럼 꾸몄구나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지요..
근데 왠걸요
뒷 페이지에 있는  덧붙이는 글을 보는 순간
아이와 저는

새로운 사실에

깜짝 놀라게 됩니다

왜 책 제목이

화가 칸딘스키가 아니고

색과 소리의 추상화가 칸딘스키

소리 나는 물감 상자였는지도요

칸딘스키라는 화가에 대해서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캡틴 존 스미스 - 모험심 강한 아이 위인들의 어린시절
토마스 바튼 지음, 오소희 옮김 / 리빙북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캡틴 존 스미스 누구지? 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읽어 본 책이다

아이들 위인전에도 어떤 전집에서도 이름을 들어 본 적이 없는지라 굉장히 궁금했다

스미스의 어렸을때부터 커가는 과정이 일화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읽으면서 하나를 깨닫게 된다  우리가 흔히 위인이라고 하는 사람들을 적어 놓은 책들을 읽어보면 그들의 업적을 높이면서 그들을 과대평가한다는 것 위인이라하더라도 분명 모자라고 잘못된 성장과정도 있을텐데 보통은 업적을 중심으로 표현하기에 그들의 내면적인 모습을 잘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스미스 책을 읽으면서 이 사람 우리랑 비슷하네 그냥 평범하네 라는 생각이 자꾸 든다. 그런 과정에서 무언가를 해내고 극복해 가고 일구어나간다

아!! 위인에 대한 생각의 전환을 가지는 계기가 된다 내 아이도 지금은 꿈을 가지고는 있지만 무엇을 어떻게 해줘야 될지 부모로서도 미지수인 이 상황에서 아이가 커가는 모습을 조금 떨어진 곳에서 격려하고 봐라봐줘야겠구나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힘센 게 최고야 - 속마음을 잘 표현하게 도와주는 책 좋은습관 길러주는 생활동화 22
홍은경 지음, 안경희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제목을 보고 딱 초2인 큰 아이 도윤이가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 생활동화를 떠올리면 유아기에 많이 읽어야 하는 전집의 한 종류로 생각하겠지만  아이를 키우다보니 각 성장 단계마다 필요한게 바로 생활동화이구나란 걸 절실히 느낀다.
항상 답은 아이를 기다려주자 그러면 다시 돌아온다 이지만~
요런 재미있는 생활동화를 접하면서 엄마도 아이의 맘을 이해해주는 계기가 되고 아이도 어쩌면 내재되어 있던 속상한 것을 풀 수 있는 시간이 될꺼라 믿기에 도윤이가 읽어주었으면 했다
재밌는 그림에 눈에 피로하지 않게 큰 글씨~
술술 읽어나가는 도윤이에게 이 책이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궁금했다~
아이가 읽으면서 크크크 웃는다
이것저것 나에게 많은 걸 이야기 한다
아저씨 콧구멍이 넘 웃겨요~
주인공도 핸드폰이 갖고 싶나봐요~ 나도 갖고 싶은데 사주면 안되요?
주인공이 나랑 똑깥은 태권도를 하네요
나는 동생이 태어났을 때 몇 살이였죠? 나는 동생에게 어떻게 했나요?
주인공이 정말 힘이 세네요~ 나도 좀 힘이 센데~ 그렇지만 친구들을 때리지는 않아요~ 등등​
생활동화가 동화로만 끝났다면 엄마가 뭘 해 줄 수 있을까 ? 살짝 고민도 드는데 동화뒤에는 아이의 맘을 읽을 수 있는 코너가 있어서 도윤이랑  같이 읽고 맘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책 뒤의 활용지를 이용해서 도윤이와 엄마가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봤다
도윤이의 마음 읽기^^
근데 도윤이의 재미있는 단어에 내가 빵 터졌네
도윤이가 엄마한테 혼날때 속마음은 어떠니? 라는 질문에
앞에 여러 말을 적고는 마지막에 원형탈모가 생길 것 같아요..라고 했다..
순간 내가 그렇게 잔소리를 많이 했나 싶기도 하고~
원형탈모라는게 어떻게 생기는 건데 하니 학교 생명과학시간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원형탈모가 생긴다고 배웠다며 자기도 그렇게 될 확률이 엄마한테 혼날 때라는 것이다 라고 말해주는데 왜 이렇게 미안하지?^^
힘이 센 주인공과 살짝 도윤이게 비춰진 모습은 동생과 연관되어 있는지라
동생에게 엄마 아빠의 사랑을 빼앗기 기분 ~
동생이라서 오빠가 항상 양보해야하는 것~등
그래서 도윤이게 부탁을 했다
도윤이는 힘이 세어서 우리를 지켜줄 수 있는 막강한 힘을 지녔는데
그 힘을 나쁜 사람에게 써주면 좋지만 도윤이가 동생에게 그 힘을 사용한다면
엄마는 둘 다 사랑하지만 기분이 좋지 않을 것 같다고~이야기 했더니
잘 이해해주고 받아들여준다.
그러면서 도윤이가 하는 말 동생이랑 놀 때 힘 조절을 해볼게요 하네^^
둘이 힘 조절을 하면서 노는 모습을 찍어봤다~
중간에 보니 려원이가 애앵~~ 모기울음 소리를 내서 봤더니 도윤이가 힘 조절이 잘 안되고 있다.. 도윤이에게 힘~~~~이라고 말했더니..
웃으면서 살살할게요 한다...ㅋㅋ
힘센게 최고야~ 책을 읽은 도윤이와 이런 저런 이야기로 서로의 맘을 알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수학을 못해요! 독깨비 (책콩 어린이) 31
엘리자베트 브라미 지음, 박선주 옮김, 레미 쿠르종 그림 / 책과콩나무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큰 애가 초등학교 들어가면서 제일로 관심가는 과목이 수학이였고 현재도 관심사는 수학이다
왜 내가 수학정보에 관심이 많아지고
학년 올라갈수록 더 신경쓰이는지 그 이유를 찬찬히 생각해보니 선배맘들이 하는 이야기중에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포자가 생긴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인 것 같다
나는 수학을 못해요! 이 책은 주인공이 수학이라는 과목에 대해서 가지는 생각, 어른들의 편견등 심리를 잘 묘사한 책이기에 수학에 관심이 덜 한 아이가 읽었을 때 아이의 맘을 읽어 줄 수 있는 책이 아닐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