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비 ㅣ 범우문고 302
헤르만 헤세 지음, 홍경호 옮김 / 범우사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헤세를 처음 알게 된 건 중학교 1학년 국어시간을 통해서다. 원제는 '공작나방'인데 교과서에는 '나비'로 소개되었다. 이 작품은 나비 채집에 온통 정신이 팔려 있던 어린 헤세의 경험담에서 비롯 되었다. 성인이 된 주인공이 자신의 친구에게 유년 시절의 이야기를 고백하는 형식으로 소설이 전개된다.
끼니를 거를 정도로 나비수집에 빠져 있던 그 시절, '나'는 나비를 채집하며 지상의 모든 행복과 희열을 느낀다. 그런 '나'의 옆집엔 나무랄 데가 없다는 것이 흠인 에밀이라는 아이가 살고 있는데 어느 날 에밀이 공작나방을 잡았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나'는 이 진귀한 곤충이 보고 싶어 안달이 난다.
'나'는 공작나방을 보기 위해 에밀을 찾아갔으나 불행인지, 다행인지 에밀의 방에는 아무도 없없고 깔끔하게 정리된 에밀의 수집함을 열어 본 후 '나'는 그만 인생 최초의 도둑질을 하고 만다. 그러나 잘못을 깨달았을 땐 이미 주머니에 넣었던 공작나방이 모두 바스러진 후였다. '나'는 수집한 나비 전부를 주겠다며 에밀에게 용서를 빌었지만 에밀은 소리를 지르며 화를 내는 대신 경멸에 찬 눈초리로 '나'를 쳐다볼 뿐이었다. 소설의 결말은 어린 내가 받아들이기에는 꽤나 충격적이었다.
“그때 나는 처음으로, 한번 결딴 난 일은 다시 손을 써볼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 집으로 돌아가니 다행히 어머니는 아무 것도 묻지 않고 내게 키스를 해주셨지. 시간이 너무 늦었기 때문에 잠자리에 들 수밖에 없었지만, 잠들기 전에 몰래 식당에서 커다란 그 갈색 상자를 가져와 침대에 올려놓고는 어둠 속에서 그걸 열였지. 그러고는 나비들을 꺼내어 차례로 하나씩 손가락으로 가루를 만들어 버렸다네.”
그건 그렇고, 당시 나는 이 소설의 발단이 된 공작나방의 생김새가 무척 궁금했었다. '커다란 네 개의 신기한 눈'을 가진 공작나방은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 이 작품에서 나비에 대한 묘사가 얼마나 매력적이고 생생한지 이 작품을 계기로 나도 나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생겨 당시 내가 보던 사전이나 책에서 나비가 눈에 띄기만 하면 죄다 오려서 모으곤 했었다. 그러나 끝내 공작나방을 찾지 못했다.
고등학생이 된 후 선물 받은 이 책을 펼쳐 보고 나서 공작나방이 어떻게 생겼는지, 주인공이 왜 그토록 보고 싶어했는지알 수 있었다. 결코 다른 나비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화려하고 아름다웠지만 그 신비로움 때문에 조금은 무섭기도 했다. 나는 지금도 가끔씩 공작나방이 그려진 페이지를 펼쳐보면서 나의 학창시절을 떠올리곤 한다.
그런데 이 책에는 공작나방 뿐만 아니라 신기한 나비(심지어 애벌레까지) 그림이 다양하게 삽입되 있어 도감으로도 손색이 없다. 1989년 범우사에서 출판된 이 책은 나비에 관한 헤세의 단편과 시들은 물론 동판화로 인쇄된 어여쁜 나비들을 볼 수 있는 보물같은 책이다. 희귀함때문에 한편으로는 나 혼자만 알고 싶은 책이기도 했지만 이 책이 재출간되어 더없이 기쁘다. 좋은 작가, 좋은 작품은 시간이 증명해 주는 것일까. 잊혀지지 않는다는 것, 그것은 소중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