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 교과서 - 인공지능 시대의 자동차 첨단기술을 이해하는 자율주행 메커니즘 해설 ㅣ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이정원 지음 / 보누스 / 2024년 7월
평점 :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있고 임베디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스레 자율주행자동차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먼저 '자율주행 기능의 수준을 정하는 기준, SAE 5단계'를 다뤘는데, 이것의 역할은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 단계를 명확히 정의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SAE 5단계는 자율주행 기능의 발전 상태를 0단계에서 5단계로 나누어 기술 수준을 평가하며, 이는 자율주행 차량의 발전 방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이 기준은 자율주행 기술의 평가와 인증에 더욱 중요하게 쓰일 것이다.
또한, '자율주행 시스템의 구성' 부분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부분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센서, 인공지능, GPS와 HD MAP 활용, 제어 기술 등을 다루며,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자율주행 기술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앞으로 자율주행 기술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 이 구성 요소들은 더 정교하고 복잡해질 것이다.
'운전자와 소통하는 기술의 중요성' 챕터에서는 자율주행 차량이 운전자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운전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자율주행 차량이 운전자에게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고, 운전자가 자율주행 차량에 신뢰를 갖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 기술은 안전성과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앞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더욱 중요하게 발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자율주행 스타트업의 주요 기술'에서는 대한민국의 주요 자율주행 기술 개발 회사들을 소개하고 있다. 솔직히 말해서 자율주행이라고 하면 테슬라 정도밖에 몰랐는데 이런 내용을 알 수 있어서 좋았고 취업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자율주행 기술의 기본 원리부터 미래 전망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어, 자율주행에 대해 잘 모르는 비전공자에게도 추천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