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조너선 사프란 포어 지음, 송은주 옮김 / 민음사 / 2006년 8월
평점 :
뉴욕의 문학 신동의 작품이라고 해서 읽어 봤다. 샤프란 포어의 전작은 한 유대인이 러시아로 가서 나란 누구인가를 알아내는 과정을 담은 '모든 것이 아름답다'이다. 이 작품에 대한 호평들도 이미 들은 바 있었다.
일단 구입한 지 한달 가량 되었는데, 어제까지 약 절반 가량을 읽고 접기로 했다. 몇 가지 이 작품에 대한 칭찬에 대한 내 평가는 이렇다.
타이포 그라피 실험. 이미 오래 전부터 이런 실험이 나와서 오히려 고풍스럽다는 인상이다. 그동안 이런 데에 관심이 없으셨던 분들한테는 다소 신기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타이포그라피 실험과, 한 페이지에 한문장 정도씩 쓰고 지나가는 블랭크 실험(?)은 샤프란 포어만 쓰고 있는 게 아니다. 그의 부인인 니콜 크라우스도 '사랑의 역사'에 쓰고 있다. 이런 걸 독창적이라고 해야 할지. 아니면 보이스카우트, 걸스카우트적이라고 해야 할지.
흑백 사진 삽입. 환갑이 다 된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보면 연극 장면들을 찍은 흑백 사진들이 여러 컷 들어있다. 이게 왜 특별한 실험인지 잘 모르겠다. 내용과 관련 있는 알레고리가 사진들 속에 있는가 했지만, 딱히 그것도 아니었다. 귀고리한 여자가 나와야 할 장면, 열쇠 구멍이 나와야 할 장면, 다리를 넘는 장면, 코끼리가 이야기 되는 장면마다 그 사진들이 나와있다.
이 소설이 곤혹스러운 건, 지루하고 산만하다는 점이다. 가령 주인공 소년이 열쇠 주인인 블랙을 찾아 나서서 한 여인의 집으로 들어간 장면을 보자. 그 집 벽에 코끼리 사진이 걸려 있어서 코끼리에 관한 이야기들이 나온다. 무려 2페이지에 걸쳐서. 그런데 이게 이야기 진행과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인지.
이런 대목이 한 두 군데가 아니다.
디테일 속에 신(god)이 있다는 말이 있다. 신의 섭리가 작품 곳곳에 작용하듯이 디테일도 정밀하고 테마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디테일을 이렇게 별다른 개념 없이 사용한 작품에 대해 샐먼 루슈디나 조이스 캐럴 오츠가 그렇게 극찬을 했다는 게 다소 이해가 가지 않는다. 아마 둘 다 이제는 무대에서 내려오는 작가이기 때문에 그랬는 지도 모른다.
특히 '네가 있는 곳에 왜 나는 없는가'라는 제목으로 4개의 부에 나뉘어 쓰여 있는 이야기들은 산만하다 못해 난삽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앞서의 리뷰들에서 자극 받아 구입한 책이지만, 다소 후회스러운 느낌이 난다.
하지만 이런 독후감이 내 것이기만을 바란다. 정말 완독한 분이 계시면 어떻게 이런 독서 장애를 뛰어넘었는지 물어보고 싶다. 도움말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