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의 구조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야마다 아쓰오 지음, 양지영 옮김, 차재명 감수 / 성안당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시리즈를 읽어본 적 있었는데, 실제로 저에게 너무너무 유익했고 많은 도움이 된 책이었어요. 공부는 하고 싶은데 매번 보던 전공서는 그만 보고 싶고, 새로운 책 없나 찾아보다가 발견한 책이에요. 그림이 엄청 많이 나와있어서 눈에 쏙쏙 들어오는 정말 유익한 책이었답니다. 이 책은 의료종사자, 스포츠 관계자, 일반인들의 필독서라고 적혀있는데, 그렇게 불릴만하겠더라고요. 인체에 관심 많은 분들에게도 정말 흥미로운 책이 랍니다.








이번에 읽어본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시리즈는 "소화기의 구조"랍니다. 우리 가족은 소화기관쪽 문제로 병원을 자주 들락날락 했기 때문에 더더 관심이 가는 편이였어요. 소화기관은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는 기관을 말합니다. 입에서부터 시작하여 항문까지를 말하죠. 소화기관의 전체 구조를 보면 거의 몸 전체랍니다. 음식물이 들어가는 입에서부터 빠져나오는 항문까지, 아주 길게 이어지는 이 모든 것을 소화기관이라고 해요.










소화관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면 역시나 입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구강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도 알 수 있고요, 쭉쭉 내려와 식도, 위, 장까지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요.


위에도 정말 다양한 이름이 존재해요. 주머니 모양의 장기로 위저부, 위체부, 유문부로 나누고 그 안에서 또 나눠진답니다. 하나의 장기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다양한 이름이 붙여지고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간, 췌장, 담낭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답니다. 우선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랍니다. 무게도 1~1.5kg라고 해요. 간은 재생력이 강해서 절반 이상 절개해도 크기나 기능이 원래 상태로 회복될만큼 재생력이 강한 장기랍니다.

이런 간의 기능을 정말 다양해요. 우선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소는 간에서 대사가 이루어져 필요한 장기로 보내지거나 배설된답니다. 또한 간은 해독 기능이 있어 알코올과 약물을 해독한답니다. 간은 담즙도 만들고 면역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소화기관에 발생하는 증상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저의 오래된 고질병... 변비... 변비도 원인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요, 크게 기질성 변비와 기능성 변비로 나눌 수 있어요. 기질성 변비는 장에 종양이나 협착이 있어서 변이 통과하기 힘든 변비를 말하고 기능성 변비는 생활습관이 주요 원인이랍니다. 식이성 변비, 직장성 변비, 이완성 변비, 경련성 변비가 있어요. 저는 이 중 어떤 변비에 해당되는지 곰곰히 생각해보았답니다. 어쨌든 중요한건 적당한 운동습관과 식생활 개선이 필요한 것 같아요.









소화기관의 대표 질환 중 하나인 과민성대장증후군. 학창시절 이것 때문에 정말 힘들었었는데, 이 책을 보니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고 하네요. 스트레스에 의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고 하니 평소에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할 것 같아요.


너무너무 재미있지 않나요~? 관심있는 분야라 그런지 보면 볼수록 재미있고 유익했어요. 내용도 많이 어렵게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편하게 읽어볼 수 있답니다. 그동안 인체에 대해 궁금한게 많았던 분들은 두고두고 한 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