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마을에 온 손님 모든요일그림책 8
박혜선 지음, 이수연 그림 / 모든요일그림책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대와 공존 이야기라는 것에 궁금증이 생겨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과연 책 제목에 나와있는 "우리 마을에 온 손님"은 누구인지, 그 손님과 어떤 일이 있었는지 궁금해하며 이 책을 읽어보았어요.








이 마을은 토끼 마을이랍니다. 어느 날 토끼마을에 다람쥐가 찾아왔어요.

굴참나무 숲으로 여행을 가는 중, 꽃이 너무 아름다워 잠깐 들렸다는 다람쥐. 토끼는 다람쥐에게 문을 열어주고 함께 놀았답니다. 뭔가 굉장히 평화로워 보여요. 아주 행복한 모습으로 토끼와 다람쥐는 함께 지냈답니다.







그 다음으로는 멧새가 산딸기를 들고 찾아왔고요, 그 다음은 달팽이가, 그 다음은 들쥐들이, 그 다음은 오소리 가족이 찾아왔답니다. 자꾸자꾸 찾아오는 동물들에게 흔쾌히 마을을 열어주는 토끼들. 덕분에 토끼마을은 북적북적 해졌어요. 많은 동물들로 인해 여기저기 집이 늘어나고 점점 더 많은 음식이 필요했답니다.








그러자 토끼들은 슬슬 화가 나기 시작했어요. 우리 살 곳도 없는데 자꾸 몰려오다니! 우리 먹을 음식도 없는데 자꾸 나눠 달라니! 그 외에도 여러가지 불편함 때문에 토끼들의 불만은 커져갔답니다. 토끼들의 불만은 어찌보면 당연한 거에요. 저 같아도 제 보금자리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면 불편함을 느끼고 불만이 쌓일 거 같아요. 이 그림책에는 동물들의 세계로 표현되었지만 어쩌면 우리의 모습이겠죠. 우리의 보금자리에 자꾸 영역을 넓히는 낯선이들. 그들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우리들. 없는 일이 아니니 더욱 현실감이 느껴졌어요.

결국 토끼들은 폭발하고, 모두 마을에게 나가라고 합니다. 하지만 커다란 웃음소리에 토끼들의 목소리는 묻혀버리고 말아요. 커다란 웃음소리의 주인공은 아이들이었죠. 아이들 웃음소리에 토끼들은 좀 더 시간을 가져볼까 고민했답니다.









그 모습을 보며 늙은 토끼가 말했어요.

"우리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도 이 마을에 온 손님이었지. (이하 생략) 어른들은 잊었지만 아이들은 알고 있는 거야. 마을에 온 손님을 따뜻하게 대해 줘야 한다는 걸."

마을에 찾아온 많은 동물들이 우리에게 낯선 손님인것처럼 우리도 누군가에게 낯선 손님이 될 수 있다는걸 말해주었어요. 편견없는 아이들처럼 다른 이에게 편견없이 대해야 한다는 것도 배울 수 있었죠. 그림책이지만 어른을 위한 동화 같았답니다. 타인에 대한 낯선 시선을 거두고 함께 살아가는 걸 배울 수 있는 그림책이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