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 - 엄마와 딸의 공동 회고록
하재영 지음 / 휴머니스트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이 책의 제목을 봤을 때 어머니를 부정하는 딸의 이야기인 줄 알았다.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라는 말은 에밀리 디킨슨이 편지에 썼던 유명한 문장이라고 한다. 이 문장을 여러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데, 에이드리엔 리치는 디킨슨이 어머니의 인생과 동떨어진 인생을 살았다는 것, 그녀에게 중요한 것을 어머니는 이해할 수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디킨슨의 이런 고백은 이 시대 모든 딸의 선언이라 할 수 있다.

어머니가 원하는 사람이 되려고 삶의 한때를 바치고, 아무리 노력해도 그런 사람이 될 수 없다는 사실에 좌절하고, 마침내 어머니의 뜻대로 살지 않기로 결심한 딸은 "나는 결코 어머니가 없었다"라는 선언을 한다. 이 선언은 모계에 대한 부정이 아니고 내면의 여성적 힘을 선포하는 것이고 어머니의 시대를 넘어서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눈치챘겠지만 이 책은 페미니즘과 관련된 책이다. 결혼하는 순간 '나'가 아닌 누군가의 아내, 며느리, 엄마로 살아야 했던, 그 시절 여자들의 책이다. 작가의 어머니의 회고록이자 딸의 회고록, 두 사람의 이야기가 번갈아가며 나온다.









어머니는 아내로 며느리로 엄마로 한 평생을 살았다.

친정어머니보다 시어머니와 더 오랜 세월을 함께 했고, 가족 안에서 목소리 한 번 내지 않고 그저 순응하며 살았다. 엄마에게 여성의 일생이란, 특별한 사람으로 고독하게 지내는 삶과 평범한 사람으로 원만하게 지내는 삶으로 이분되어 있고 양자택일해야 한다면 후자가 더 행복한 삶이라 믿었다.

생각해 보면 우리 집도 그랬다. 우리 엄마도 나에게 "여자가 너무 잘나면 남자가 기를 못 편다"라며 남편보다 덜 잘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여자, 딸이라는 이유만으로 오빠, 남동생을 위해 일을 해야 했고 많은 것을 포기해야 했던 삶 때문인지 엄마는 여자가 너무 잘나면 화목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엄마가 겪었던 불평등한 일이 그 시절 여자의 평범함이었다.









모성을 강요하는 세상, 자녀가 가진 결함을 어머니에게 떠넘기는 것, 늘 가족에게 헌신하고 희생해야 하는 것. 그 시절 우리 어머니들의 모습이었다. 수많은 어머니가 딸에게 하는 조언 중 하나인 "너는 엄마처럼 살지 마."라는 말이 떠올랐다. 이 말을 하는 사람이 엄마인 것도, 그 조언의 대상이 딸인 것도 씁쓸하게 느껴졌다. 늘 엄마를 이해하고 싶었지만 이해할 수 없는 대상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엄마가 많이 생각났고 아내로 며느리로 엄마로 살아왔던 한 중년의 여성을 꼭 안아주고 싶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