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르별 독서법 -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임수현 지음 / 디페랑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르별독서법
🖋️#임수현 지음
🛋️#디페랑스
🌊#한줄평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는 독서가 아닌, 나를 위한 남는 독서 방법
🕯️#감상평
여러가지 이유로 책을 읽는다
문제는,
읽고 난 후 기억이 남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10대와 20대 초중반에 읽었던 책들은
그저 읽었다는 기억이 전부다
유일하게 스토리와 등장인물까지 기억하는 책은
이문열 평역의 삼국지이다
재미있어서 읽고 또 읽었다
하지만 모든 책들을 재독할 수는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
지금도 매력적인 신간이 얼마나 쏟아지고 있는가
북스타그램을 시작한 첫번째 이유는
책을 읽고 기록하는 사람들이 부러워서였다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았고
현생이 너무 바쁘지 않은 한 계속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있다
두번째 이유는
읽은 책들의 기록을 남기고 싶어서다
어려서 독후감을 썼던 것처럼
읽고난 후 생각을 정리하고 나누고 싶었다
그러다 문득 든 생각은
분야별로 책을 읽는 방법을 달리해야겠다는 것이다
소설을 읽은 후
에세이를 읽은 후
자기계발서를 읽은 후
실용서를 읽은 후
깨닫는 것도 느끼는 것도 표현하는 법도 다 달랐다
필사와 독서록으로
기록을 남겨야 했지만
바쁘다는 이유로 그러지 못했다
그래도 좋아하는 책을 향한 애정표현은
기억해주는 것이 아닐까
’장르별 독서법‘은 그동안 간지러웠던 부분을
살짝 긁어주었다
독서법에 관련된 첫 책이어서
비교 대상이 없다
독서법에 대한 몇 권을 책을 더 읽고 난 후엔
좀 더 구체적인 비교가 가능할듯 하다
고민했던 부분들에 대한 답을 얻었고
역시 장르별로 책을 읽는 법은 다르다는 것을
확실히 인식할 수 있었다
반성되는 부분은
아직 독서 스펙트럼이 너무 작다는 것과
편향된 독서를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다양한 분야의 역작들을 계속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구체적인 독서계획을 세워서
제대로 된 가르침을 받아보고 싶다
지식은 실제적이어야 한다. 책에서 어떤 중요한 내용을 읽었다면 어떻게든 그 실체를 파악하려는 추가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P40
과거의 데이터에 기반해 도출된 이론의 틀을 넘어설 수 있게 하는 동력은 직관과 상상력, 그리고 창의력이다. - P178
상상은 인간의 특권이다. 문학은 상상력을 지닌 인간이 지켜내야 할 최후의 보루다. - P2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