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량한 길. 마른 나무한그루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포조와 럭키 

이들의 대화에 어떤 의미를 부여해야할까?? 

누군지도 모르고 이유도 모른채 마냥 고도를 기다리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  

고도에 대한 희망도 기대도 없는 '습관적 기다림' 

'기다려야한다는 사실'을 자꾸 망각하는 에스트라공과 이유는 모르지만 기다려야 한다는 사실을 주지시켜 주는 블라디미르, 그리고 두서없는 말들  

예수와 도둑이야기가 복음서 중 하나에만 실려있는데도 그 이야기를 사람들은 모두 믿는다는는 블라디미르의 이야기가 의미하는건뭘까? 사람들은 믿고 싶은것만 믿는다는 의미일까? 당시에는 동일한 가치를 가졌거나 혹은 의미없었던 말들이 어떤 이유에 의해서 갑자기 중요해지고 부각되었다는 의미일까??  과거의 객관적 사실은 사라지고 허구이거나 조작된 말만 남았다는 의미쯤으로 해석해 두면 될까?

2막은 1막으로 부터 상당한 시간이 지난후를 배경으로 하는듯 하지만, 상황은 여전하다. 다만 멀쩡던 포조는 눈이 멀었고, 럭키는 벙어리가 되었다. 

여전히 고도는 오지않고 또다시 소년이 달려와 고도는 오늘 오지 않는다고 말한다.

 죽지못해 살아가는 것처럼 시간이 가는것만을 기뻐하고 생각하지 않기위해 지껄이는 일.  

50년째 구두이야기를하는 것처럼 해결방법도 없는 걱정을 습관처럼 달고 사는 일 

죽는일쯤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 큰소리치는 일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도 모른채 언젠가는..이라며 막연히 무언가를 기다리는 일 

그냥 이게 사는 거겠지..   

벅찬기대도 없이 기다리는 고도를, 오히려 조금 두려울지도 모를 고도를 기다리며 이들은 쓸데없는 말들을 늘어놓으며 서로를 위로하고 있는게 아닐까?

고도를 기다리는 일쯤 중요하지 않지만  매일 그 나무로 찾아가는 에스트라공도, 고도를 기다리는 동안의 외로움을 달래려 에스트라공과 이야기하려는 블라디미르도..사실은 고도가 아니라 서로를 기다리는게 아닐까? 이 매마른 나무로 찾아올 서로를 위해 이날이후 기억되든 기억되지 않든  시시껄렁한 말들만 늘어놓는 이 장소로 해질녘 찾아오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고도가 오기를 애타게 기다리면서도, 고도가 오지 않아도 하루하루를 살아갈 수 있는게 아닐까?

고도를 기다리며....참 어렵다.. 

우울하고 씁쓸하면서도, 웃음이 나오고,,외로운듯하면서 위로되기도하고.. 

체념이면서 희망이기도 하고... 

두고 두고 읽을 고도를 기다리며가 기대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