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향해 날아라 앗, 우리집은 과학탐험대 43
테리 디어리.바바라 앨런 지음, 송현옥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내가 가보지도 못한 우주에 대하여 알아보기 

먼저 태양의 주위에는 수성이 먼저 있고 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몀왕성이 있다.하지만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이는 코페르니쿠스의 생각을 발전 시켰고,특히 목성은 자신의 둘레를 원 운동하는 4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 주위를 돈다고 보았다. 

그리고 옛날 모든 사람들은 바다가 없어지는 끝가지 가면 분명히 낭떠러지로 떨어진다고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콜럼버스가 배를 타고 출발을 하여 그토록 기다린던 인도의 땅을 보았다. 

그래서 콜럼버스는 지구 둥글다고 하며, 여러 사람들이 여행을 하고 게속 주장을 하자 지구는 둥글다고 모든 사람들이 믿었다. 

타이타닉호 

1912년 4월 14일.타이타닉호는 처녀 항해에 나섰다가 대서양에서 빙산과 충돌을 해 침몰했다.그 비극적인 사고로 1500명이 넘는 사람드이 죽었다.해저에 침몰해 있던 잔해를 185년에 발견을 하였다. 

나는 과학자가 되어서 모든 사람들이 우주를 관람을 할 수 있도록 우주선을 만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달나라에 가서 지구 처럼, 아무것도 없는 달 나라를 발전시켰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y? 물 [구판] 초등과학학습만화 Why? 21
김남석 지음 / 예림당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엄지와 꼼지 또는 차박사님과 물에 대해 알아보러 고고! 

1.물의 탄생 

나는 물이 어떻게 탄생을 했는지가 궁금하다.그래서 책을 읽게 되었는데46억 년 전,지구는 화산 폭발이 수없이 일어나며 마그마가 들끓고 있었다고 한다.그런데 마그마가 식어 암석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수증기를 머금은 가스가 새어나왔다.하지만 수증기는 차가운 공기 중에서 응결해 구름이 되었고,곧 엄청난 비가 쏟아졌다.내린 비가 모여 호수,강이 되고 더 낮은 곳으로 흘러들어 바다가 탄생하였다. 

2.돌고 도는 물  

물은 지구에서 절대 사라지지않는다.고체,액체,기체의 상태로 모습을 바꾸며 끊임없이 돌고 돌기 때문이다.액체 상태의 물은 태양 에너지를 받아 증발하면서 기체가 된다.하늘 높이 올라간 수증기는 식어서 작은 물방울이난 얼음 알갱이(우박)등으로 변한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되었다. 

3.생명의 기원,물 

원시 지구의 대기에는 산소는 없었고 이산화탄소, 질소, 수증기 등만 있었다.하지만 대기중의 물질들이 합쳐지면서 새로운 물질들이 생겨났다.이 물질들은 바다로 녹아들면서 리보오스 같은 유기물이 생겨났다.이 유기 물들이 원시 바다의 물질들과 결합하여 드디어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들이 바다에 생겨나게 되었다고 한다.바닷속엔 지금도 생명체의 구성 물질인 뉴클레오티드와 아미노산이 많이 떠다니고 있다. 

4.따끈따끈한 온천수 

온천수의 종류와 약호에는 단순천:함유된 성분이 묽은 온천.신경통,동맥경화 만성 피부병들에 좋다고 한다.하지만 나는 철전이라는 온천수에 들어가야 할 것 같다.왜냐하면 발에 무좀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좋다고 생각한다. 

나는 물이라면 마음껏 써도 된다고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물은 없어지지는 않지만 그래도  자연환경을 위해서 아껴써야 한다고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y? 화학 [구판] 초등과학학습만화 Why? 15
조영선 지음, 이영호 그림, 김건 감수 / 예림당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꼼지와엄지,몽 박사님과 화학에 대해 알아보자! 

1.바닷물을 마시면 왜 갈증이 날까요? 

바닷물을 마시면 바닷물에 포함되어있는 소금등의 무기염류가 몸 속의 혈액에 쌓여 혈액의 농도가 진해집니다.그러면 물은 삼투압이 있기 때문에 몸의 물이 혈액속으로 들어가게 된다.우리 몸의 신장은 혈액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오줌을 내보내는 데,이때 마시는 물의 양보다 내보내는 오줌의 양이 더 많아지면 탈수 증상이 나타나 목이 마르게 된다. 

2.내몸이 물에 뜨네! 

우리가 바닷가에 가면 먼저 하는 것이 운동이다. 운동을 한 후 물에 들어가서 누으면 내몸이 물에 뜬다.왜냐하면 사람은 몸을 반듯이 누이게 되면 물에 닿는 면적(부피)이 커져서 물에 쉽게 잘 뜬다고 몽 박사님께서 말하신다.하지만 몸을 세우게 되면 반대로 부력이 작아져서 물에 가라앉는다. 

3.신기한 얼음집(이글루) 

눈이 많이 내리거나 남극 같은 경우는 사람들이 대부분 이글루를 만들어 생활을 한다.그런데 이글루 속에 비밀이 숨겨져 있다.안 쪽에 물을 뿌리면 따뜻해 진다. 왜냐하면 고체 에 액체가있으면 기체가 되므로 기체는 액체이고 고체가 흡수 하기 때문이라고한다.더운 날 마당에 물을 뿌리면 시원해지는 이유도 물이 기체가 되면 주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4.물질은 알갱이로 되었다? 

우리의 생활에서 꼭 필요한 것은 산소 이다.그런데 나는 나무들이 많으면 공기가 왜 상쾌해지는 지가 궁금하다.왜냐하면 우리가 숨을 내뱉어 낼때 이산화 탄소가 배출되므로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받고 빛 에너지를 받아 양분을 주면서 산소를 공급해 주기 때문이라고 한다.또한 공기는 혼합물이라고 한다.혼합물에는 산소,질소,헬륨,아르곤,이산화탄소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5.가자,나노의 세계로! 

 우리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의 크기를 알려면 나노를 이해해야 한다. 

나노미터라는 것은 원자의 크기의 단위는 나노미터를 쓴다.1나노미터(nma)=10_9m=0.000000001m수소 원자의 지름=1곱하기10_10m=0.1nm이라고 한다. 원자의 크기는 매우 작다고 한다.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붙어 있는 하나의 탁구공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6.타는 물질에는 다 영혼이 있다. 

17세기의 독일의 화학자의 베허가 무언가 타고 나면 재가 되어 가벼워 진다는 것을 알게되었다.그것은 바로 플로지스톤이라고 슈탈이 말을 하였다.그런데라부아지에가 산화수은 실험을 보여주고  프랑스 사람이며 귀족이므로, 프랑스 혁명으로 사형을 당하게 되었다. 

나는 이책의 화학 편에서 우리 생활에 있는데에서 보이지 않는 물질에 원리에 대해서 많이 배웠다.다른 사람들이 못해도 계속 될 때까지 노력을 하면 성공을 할 수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2-17 18: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미라의 비밀 - 읽는재미 4단계 9
Dorling Kindersley사 지음, 새롬누리 옮김 / 삼성출판사 / 2001년 5월
평점 :
절판


 

미라를 관찰하러 고고!~ 

미라는 여러 사람에 의해서 만들어진다고 한다.그 중에서 사제장이라는 사람이 자칼 머리 모양의 가면을 쓰고 미라를 만든다고 한다.사제장은 미라를 만들때 쓰는 칼을 들어 시체의 왼쪽 옆구리를 길게 잘랐다.그리고 몸속에 손을 집어 넣고 간,허파,위장,창자를 꺼낸 다음 각각의 통에 넣었다고 한다. 

간은 비비원숭이 모양의 하피신의 통에 넣고,창자는 매 모양의 케베흐세누에프신의 통에 넣었다.그리고 간은 사람처럼 생긴 임세티신의 통에 넣었고,위장은 자칼머리 모양의 두아무테프신의 통에 넣었다. 

나는 처음에 죽은 사람들의 장기는 필요없는 존재라고 느꼈다. 하지만 사제장의 행동을 보고 죽은 사람들의 장기도 소중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미라나 누구든지 사후세계로 가기 위해서는 지하세게를 건너야 한다고 사람들이 말을 했다.그리고 사후세게로 가는 여행은 나일 강을 건너는 것 부터 시작되었다. 

사람들의 심장은 나쁜일을 많이 일을 저질렀을수록 무거운데,만약 심장이 깃털 보자 가벼우면 사후세계에서 다시 살아나 살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미라는 죽을 때에 붕대를 감아 관에 넣는다.그런데 미라를 존경을 하기 위해 금으로만든 물건이나 장식품등을 넣는다. 

잉카의 제국에서 잉카시원에 잇는 사람얼굴 모양의 황금 원반은 태양신을 상징한다. 

아직까지 미라를 한번도 본 적이 없지만 죽은 사람을 존경하기 위해서 그 오랜세월 동안 잘보존하고,과학적원리로 관에 넣어서 보존한 것이 대단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폭풍이 푸하푸하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25
애니타 개너리 지음, 송현옥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비를 쫒아다니는 바람의 물체는 토네이도와 폭풍이 있다. 

그런데 폭풍을 쫒는 사람들이 있다. 처음에는 나도 놀랐다.그 사람들은  폭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폭풍은 거의 대부분 원위치에서 80m쯤 날려보낸다.  

폭풍에는 번개가 있다. 번개 실험을 하려면 목숨을 내놓기도 하여야 한다.실험은 간단하다 줄에 연을 단후 전깃줄을 연결해 열쇠를 꼿아좋고 기다려 불꽃이 튀면 성공이다. 

번개는 공기가 구름사이로 세차게 움직여 번개가 만들어져 토네이도도 만들어지는 것이다.토네이도는 양지바른 곳에 습기가 많이 차 찬기운을 받고 생겨나는 현상이다.   

우리가 북반구에 산다면 저기압은 왼쪽에있다.북쪽에서는 저기압 주변에 부는 바람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무리 폭풍이 무서워도 토네이도에 대한 원리에 대해 사랑해 주세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2-17 18:1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