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에게 들려주는 꿋꿋한 말
김종원 지음 / 퍼스트펭귄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김종원 작가는 『너에게 들려주는 단단한 말』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어요.

이후 블로그, 인스타, 필사챌린지 등을 통해 작가가 전하는 삶에 대한 생각과 태도에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요, 

드디어 단단한 말의 후속작,『너에게 들려주는 꿋꿋한 말』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초판본에 한해 

하루 5분 생각을 키우는 필사 노트를 함께 증정하고 있는데요,

저는 10대 두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기 위해 필사노트는 양보하기로 했답니다.




10대에는 공부 뿐만 아니라, 세상에 부딪혀 보고, 실패해 보고, 배워야 해요.

때론 폭풍처럼 변화무쌍한 자신에게 혼란스럽더라도 가장 많은 가능성을 가진 시기예요. 

지금은 몰라도 괜찮고, 흔들려도 괜찮고, 실패해도 괜찮아요.

 중요한 건 멈추지 않고 살아가는 거예요.


『너에게 들려주는 꿋꿋한 말』은 

미래라는 무대를 서기 위한 리허설을 하고 있는 10대들에게 

자신의 무대에 당당히 설 수 있는 응원을 담아

자신감, 열정, 언어, 꿈, 성장, 생각, 태도, 관계라는 주제로 나뉘어 56가지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꿋꿋함'이란 계속 나아가는 힘입니다.

흔들리고, 넘어져도 툭툭 털고 일어나 다시 나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가장 먼저 알려주고 싶은 힘이니까요.


그런 꿋꿋함을 만들어 줄 첫번째 자신감이죠.


과목마다 평가를 받고, 시험을 보고, 공부를 하는 아이들이 모여 있는 학교라는 정해진 공간과 쉬는 시간 만나는 

SNS 속에서는 하루를 살아가는 아이들은 어느 순간 자신감이 떨어지는 자신과 마주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요.


저자는 살면서 자신감이 자꾸 떨어질 때

① 잘하는 부분은 모두 다르다.

② 내가 가진 재주를 사용하면 된다.

③ 모두가 같은 재주를 갖고 있으면 오히려 세상은 너무 단조로울 것이다.

④ 내 재주는 달라서 특별하다.

이런 태도를 가지면 자신감을 되찾을 수 있다고 해요.


자신감이라는 옷은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옷 중에서 가장 예쁘게 빛나는 외투입니다.

누구든 자신감을 걸치면 반짝반짝 빛나죠.


누구에게나 열려 있지만, 아무나 가질 수 없는, 내가 선택해야 하는 최고로 예쁜 외투죠.




매주 로또복권을 사며 당첨의 기대감으로 한주를 마무리 하는 아빠에게 

고딩이가 만약에 로또가 당첨되었다면 어떻게 할거냐는 질문을 한 적이 있어요.

"아빠는 당첨 플랜이 다 있단다. 

평소와 다름 없는 생활을 하되 계획해 두었던 방법대로 활용할 생각이지. 

당첨이 되었다고 해서 삶이 갑자기 달라져선 안돼. 

돈은 어디까지나 수단으로 활용해야해. 

따지고 보면 로또 당첨금이 어마어마한 금액이 아니거든. 

복권 당첨되었다고 일안하고 놀 생각하면 안돼.

 그런 생각한 순간부터 중독이 되는거야."

라는 이야기를 나누었었는데요,


복권 당첨자들이 파산하거나 신용불량자가 되는 이유를 저자는 해야 할 일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꼭 해야 할 일을 하며 살면 엄청난 일이 생겨도 어려울 게 없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나는 유혹에 빠거나 흔들리지 않고 나의 하루를 그저 반복합니다.

내 실력은 모두 그 반복에서 나온 결과입니다.


라는 문구가 오랫동안 기억에 남아요.

묵묵히 나의 하루를 반복하기 위한 원동력은 바로 꿈이겠죠!





『너에게 들려주는 꿋꿋한 말』

어른이 된 제가 읽어도 깨우치는 것들이 많았거든요.

청소년 자녀와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책이기에 부모님도 꼭 읽어보시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바쁜 하루 속, 아이에게 건네는 진심어린 응원의 말! 

"누구에게나 처음은 있어. 지금은 그냥 시작하면 돼."

"네가 생각하는 너보다, 너는 훨씬 더 괜찮은 사람이야."

이 짧은 이야기들이 아이, 나, 우리 가족에게 큰 힘이 되어줄 거예요.





#너에게들려주는꿋꿋한말 #퍼스트펭귄 #김종원 #청소년멘토링 #청소년성장도서 #10대필독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