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뜀틀, 넘기
박찬희 지음 / 한끼 / 2024년 12월
평점 :
이 책은 한끼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뜀틀, 넘기는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청소년의 필독서라고 소개하고 있어요.
이제 중1이 된 아이들 앞에 놓인 수많은 장애물을 어떻게 헤쳐나가는지 기대가 되는 책이에요.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나의 뜀틀 넘기에 실패했더라도 실패한 나를 안아주고 다독여 줄 수 있을 거예요.
뜀틀, 넘기의 주인공 서바움은 선천적 왜소증을 가지고 있으며,
키가 작아 또래들로부터 주목받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고,
자신의 신체적 특징에 대한 열등감과 주목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일 유학때 만난 바움이의 부모님은 독일어로 '나무'를 뜻하는 '바움(Baum)'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지만,
자신의 신체적 특징 때문에 바움이라는 이름이 더 어울리지 않다고 생각하고 주목을 받는 것 같아 그 이름을 부담스러워 합니다.
특히 체육 수업에서 자신이 신체적 한계와 주변의 무시 속에서 뜀틀을 넘는 과제는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친구들과 선생님의 도움을 통해 뜀틀 넘기에 도전을 결심하고,
조별 뜀틀 넘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바움이는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용기를 얻고 자신감을 회복하게 됩니다.
공미숙은 한국인 어머니와 흑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짙은 피부색과 긴 팔다리를 가졌습니다.
이로 인해 주변의 주목을 받으며 외모로 인해 편견과 차별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체육 활동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자신감을 표현하는 강인한 면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친구들과의 관계 속에서도 자신에 대한 긍정적은 태도를 보이고,
주변의 차별적 시선과 선입견 속에서도 자신의 정체정과 외모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재능을 통해 당당히 맞섭니다.
열등감에 사로잡혀 친구라는 존재를 만들 생각도 하지 못했던 바움이는
미숙이가 미노라는 성인남자를 만나러 간다는 말에 큰걱정을 하게 되고 말려 보지만 말을 듣지 않는 미숙이가 걱정이 되어 관계가 소원했던 엄마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미숙을 구해내는 내면이 강한 아이이기도 합니다.
서로의 상처를 볼 줄 아는 친구를 만나게 된 순간입니다.
다솜과 우혜는 오랜 단짝 친구입니다.
다솜이는 여성 히어로에 대한 동경으로 복싱을 배우기 시작했고,
자신의 관심사에 열정적이며, 자신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적극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혜는 내성적이고 섬세한 면을 지녔습니다.
오랜 친구인 다솜이의 변화로 인해 혼란스러워하며, 소외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다솜의 새로운 관심사로 인해 둘의 우정에 균열이 생기며, 감정의 거리감이 발생하지만,
서로의 감정을 솔직하게 공유하고, 변화된 상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통해 관계를 회복합니다.
다솜과 우혜는 오랜 단짝 친구입니다.
다솜이는 여성 히어로에 대한 동경으로 복싱을 배우기 시작했고,
자신의 관심사에 열정적이며, 자신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적극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혜는 내성적이고 섬세한 면을 지녔습니다.
오랜 친구인 다솜이의 변화로 인해 혼란스러워하며, 소외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다솜의 새로운 관심사로 인해 둘의 우정에 균열이 생기며, 감정의 거리감이 발생하지만,
서로의 감정을 솔직하게 공유하고, 변화된 상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통해 관계를 회복합니다.
이 책에서는 사회적 편견과 차별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바움과 공미숙은 외모와 신체적 특징으로 인해 차별적 시선을 받습니다.
외모와 신체적 조건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편견과 맞닿아 있습니다.
"진정한 가치는 외적 기준이 아니라 개인의 노력과 내면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편견은 사람들에게 보이지 않는 벽을 만들지만, 이를 깨뜨리는 힘은 이해와 공감에서 나옵니다.
사람마다 가진 차이와 고유함은 사회를 풍요롭게 만드는 중요한 원천입니다.
등장인물들이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딛고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와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도전은 두려움과 편견을 넘어설 때 가능하며, 이는 자존감을 회복하고 타인과 진정으로 연결되는 길일 것이라는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이 생기기 마련이예요.
누구나 자신 앞에 놓인 단계의 뜀틀을 넘어야만 다음 단계의 뜀틀을 도전할 수 있어요.
뜀틀의 높이가 높을수록 테이크 오프 보드는 많은 도움이 되는 것처럼
사춘기를 겪는 아이들 앞에 놓인 뜀틀을 넘기 위해 친구란 훌륭한 테이크 오프가 되는 것 같습니다.
박원 선생님이 준 뜀틀 넘기 수행평가는 뜀틀 넘기를 성공했는지가 평가 기준이 아니라,
조별 연습에 참여했는지가 수행 평가의 기준이죠.
뜀틀을 넘는데 실패한 자신을 안아줄 수 있는 스스로를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뜀틀, 넘기 를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뜀틀_넘기 #박찬희 #한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