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야마모토 기타로.이시카와 마사토 지음, 정한뉘 옮김 / 시그마북스 / 2024년 10월
평점 :
시그마북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 입니다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의 주제는 유사과학인데요,
일상에서 관심이 가장 많이 가는 부분이 이 유사과학 분야인 것 같아요.
때로는 그러싸해 보여서 현혹되기도 하고, 그 근거가 있다고 보여서 사실처럼 믿게 되어 버리는 일도 있잖아요.
요즘은 이런 유사과학을 상품 마케팅에도 이용하기 때문에 실제로 구매까지 이르는 경우도 종종 있었답니다.
우리가 현혹되는 유사과학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에서
과학은 넓은 의미로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을 한 체계적인 지식이므로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 인문과학도 과학의 범주에 들어가므로 무언가를 규명하기 위한 방법론이자 문명사회를 지탱해온 기둥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과학을 신뢰하는 이유는 편리하게 쓸 수 있어서이기도 하고, 교리가 아니라 도구이므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대상으로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과학과 유사과학을 딱 잘라 구별하기 어려운 이유는 수많은 철학자가 오랫동안 논쟁을 해 왔지만 일괄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는 구획 문제라는 난제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럼에도 살아가면서 우리는 과학과 유사과학을 구별해야 하는 안목을 길러야 하지요.
세상에는 생각보다 많은 사기의 유형이 존재하니까요.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에서는 포피와 쿤의 과학철학 토론을 참고해서
유사과학을 구별하는 포인트로
이론, 데이터, 이론과 데이터, 사회 라는 총 네가지 관점을 고안 · 활용했습니다.
|
모든 일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
가설을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할 재료인 '데이터'
이론과 데이터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이론'과 '데이터'
경험의 효과와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방식을 설명하는 '사회'
유사 과학 해당하는 매우 흥미로운 주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학창 시절 교실에서 분신사바하는 친구들이 많았어요.
두 명의 친구가 양손을 잡고 사이에 연필을 끼워 넣고 "분신 사바 분신 사바~"하고 주문을 걸면 책상 위에 놓인 종이에 뭐가 막 그러지면서 불려온 귀신이 질문에 답을 해준다고 많이들 했었답니다.
귀신과 과학이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지만,
가위에 눌린다든지, 유체이탈을 경험했다든지,
신내림을 받은 무속인이 작두를 탄다든지
하는 그런 기이한 행위들에 관심이 많이 갈 수 밖에 없는데요.
06 귀신은 모순투성이 에서는
육체에서 의식만 빠져나와ㅣ 떠다니며 자기 몸을 위에서 내다보는 유체이탈이나,
빈사 상태일 때 꽃밭을 걷거나 돌아가신 조상님과 만나는 등의 임사체험이나,
벽의 얼룩을 보고 사람의 얼굴이라고 느끼는 변상증으로 귀신을 봤다고 생각하는
모두 착각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귀신의 존재는 모순이 너무 많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6장 유사과학을 꿰뚫어 보는 사람의 관점 파트에 있다고 생각해요.
유사과학에 빠지지 않기 위한 자세를 정리해 봤어요.
광고는 트릭을 자주 사용하기에 작게 써진 광고 속 경고 문구를 알아보아야 합니다.
입소문에 의해 선입견을 갖지 말고 실제 위험성을 따져보아야 합니다.
유전자 조작과 유전체 편집의 차이를 확실히 알고 유전자 조작이라는 부정적인 선입견에 주의해야 합니다.
좋은 사고 방식을 터득해야 합니다.
인상만으로 단정짓지 말아야 합니다.
아무리 몸에 좋아도 과하면 탈이나는 법! 양을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문제를 바라볼 때 비교하는 사고를 가져야 합니다.
유사과학에 빠지지 않는 사람의 관점을 익혀서 유사과학을 구별하는데 적용한다면,
살아가는데 큰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를 통해 알아보세요.
#그런건과학이아닙니다 #시그마북스 #유사과학 #가짜과학 #사이과학 #허상과학